- 전 세계 2018년 5,000만 t에서 2050년 1억 2,000만 t으로 증가 추산 -- 독일의 전자전기 폐기물 회수율 48%, EU 목표 45% 소폭 상회 –- 부상하는 전기자동차 시장과 더불어 배터리 재활용 기술에 대한 관심 증가 - □ 2018년 전 세계 전자전기 폐기물 2010년 대비 47.3% 증가 ○ 전 세계적으로 전자전기 폐기물이 점차 증가하고 있는 추세임. 한델스블라트 리서치 연구소(Handelsblatt Research Institute)에 따르면, 2018년 전자전기 폐기물은5,000만 t 으로 2010년 3,400만 t 대비 47.3% 증가하였으며, 2050년 1억 2,000만 t으로 증가할 것으로 추산됨. * 2050년 전망은 최악(Worst-Case)의 시나리오에 근거한 추산..
- 2018/2019 회계연도 기준 인도 공작기계 소비, 30.4억 달러로 전년대비 45% 증가 -- 자동차, 엔지니어, 항공우주, 방위산업의 성장에 따라 공작기계 수요는 지속 증가 전망 - □ 세계 9위 공작기계 생산국, 인도 ㅇ 2018년 세계 공작기계 생산, 946억 달러로 전년대비 4.6% 증가 - 미국 가드너사에서 발표한 ‘2018년 세계 공작기계 시장 동향’ 보고서에 따르면, 2018년 시계 공작기계 시장은 디스플레이, 반도체 등 수요 산업의 설비투자 증가로 인해 2년 연속 상승 - 세계 공작기계 산업은 생산(946억 달러, +4.6%), 수출(516억 달러, +9.4%), 수입(488억 달러, +9.8%), 소비(918억 달러, +4.6%) 모두 2017년에 이어 상승세를 보임. * 공작기계..
- 핀테크는 영국에서 빠르게 성장하는 산업 분야 중 하나 -- 영국 정부는 핀테크 부문의 경쟁력 향상을 위해 적극적으로 지원 -- 규제 샌드박스는 영국 금융시장 내 혁신기술 도입을 촉진 - □ 영국 핀테크 산업 개요 ㅇ 영국 핀테크 산업 규모 - 금융서비스 강국인 영국에는 8만 9,000개의 금융 및 보험 회사가 존재함. 이 중에서 핀테크 기업은 1,600개 이상이며 이 숫자는 2030년까지 두 배로 늘어날 것으로 전망 - 핀테크 산업은 영국 경제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분야중 하나로, 전체 GDP 중 약 70억 파운드를 기여함. * 영국의 GDP는 2019년 3분기 기준, 522,525백만 파운드 - 영국 내 핀테크에 대한 벤처캐피탈(VC), 사모펀드(PE), 기업형벤처캐피탈(CVC) 등 투자규모는 ..
- 스타트업 생태계를 한 눈에 파악할 수 있는 주요 지표 제공 -- ‘플랫폼’과 ‘AI’등이 스타트업의 주류로 자리 잡아가는 반면, ‘가상현실’ 등에 대한 관심 하락 - □ 전세계 스타트업 동향을 보여줄 Slush 데이터 ㅇ 북유럽 최대 스타트업 컨퍼런스 중 하나인 Slush는 2014년도부터 2019년도까지의 데이터를 분석하여 스타트업 동향을 발표 - 지난 6년 간 Slush에 참가한 15,000개사의 신청서에서 키워드를 추출하여 트렌드 요약 - 대부분의 트렌드 변화는 유럽의 벤처캐피탈 투자 동향을 반영하는 결과로 해석됨. □ 플랫폼, 인공지능(AI)/머신러닝(ML)에 대한 관심 증가 플랫폼(좌), 인공지능/머신러닝(우) 스타트업 참가비중 자료원: Soaked by Slush ㅇ2019년 참가 스타트업..
- 도시화 및 정부의 인프라 개발 계획으로 엘리베이터 및 에스컬레이터 수요 증가 -- 나이지리아 현지 제조업체의 부재로 글로벌 브랜드 제품 수입 및 유통 활발 - □ 시장 동향 ㅇ 나이지리아에서는 1940년대 후반에 CFAO Plc로 대표되는 Otis 엘리베이터 회사에 의해 엘리베이터와 에스컬레이터가 처음 도입되었지만 여전히 나이지리아에 현지 제조회사는 없음 나이지리아가 엘리베이터 & 에스컬레이터 및 부속품 수 수출국 및 수입액 (단위: 천 달러) 국가 2014 2015 2016 2017 2018 세계 (총 수입액) 105,981 71,195 36,150 32,151 60,254 중국 19,661 20,203 11,338 10,621 20,819 영국 3,874 3,333 1,143 1,569 5,320..
- 극동러시아 인구확대, 외자유치, 제조업 육성에 초점 - □ “극동 모기지” 시행 ㅇ 러시아 정부, 극동 거주자를 위한 주택대출 프로그램 승인 - 2019년 말 러시아 극동및북극개발부는 극동 지역 거주자에 대해 특혜 주택대출 프로그램을 승인하였으며, 2020년부터 시행됨. - 이 프로그램에 따르면, 35세 이하의 젊은 가족과 자녀가 있는 편부모 가정은 극동지역에서 주택 구입 시 2% 금리로 대출을 받을 수 있음. - 또한 ‘극동 헥타르’ 프로그램 수여자가 받은 토지에 집을 지을 때에도 2% 금리로 대출을 받을 수 있음. 이 때에는 연령 제한 등의 조건이 없음. - ‘극동 헥타르’는 2016년부터 러시아 정부가 실시하는 정책으로 기존 거주민 및 타 지역 러시아인 중 신청자를 대상으로 극동지역 땅 1ha를..
- 노후화된 교통시설 개선 및 에너지 개발을 위한 인프라 증설 활발 - - 현지기업과 협업을 통해 시장 진출전략 유효 - □ 미국 메가 프로젝트 현황 ㅇ 메가 프로젝트 동향 - 메가 프로젝트는 보통 수년에 걸쳐 진행되고 10억 달러 이상 투자 규모의 프로젝트를 의미 - 2012년 전체 건설 프로젝트 중 3% 내외를 차지하던 메가 프로젝트는 2016년 10% 기록 후 큰 폭 상승해 2018년에는 33% 기록 - 투자 규모 5억에서 10억 사이 대형프로젝트도 전체 건설 프로젝트 중 점유율이 증가하고 있으나 상대적인 상승 폭이 낮아 2018년 기준 대형프로젝트의 점유율은 13% 수준 건설 프로젝트 중 메가 프로젝트, 대형프로젝트 비율 동향 자료: Reed, Dodge, FMI ㅇ 메가 프로젝트 수와 규모 증가..
- 한국 포함한 아시아 5개국 원산 합성필라멘트사 직물 반덤핑 재조사 시행 결정 -- 관련업체는 2월 9일까지 이의제기 통해 예외조치 신청 가능 - □ 대상 HS Code 및 품목명 ㅇ HS Code 5407(합성필라멘트사의 직물(제5404호 재료로 직조한 직물을 포함한다)) □ 재조사 시행 배경 ㅇ 터키 정부는 2006년 6월, 대한민국, 중국을 비롯한 5개 아시아 국가를 대상으로 HS Code 5407 제품에 대해 반덤핑관세를 부과한 이후, 현재 총 8개국산 제품에 대해 반덤핑 조치 시행 중 - 반덤핑관세 부과 대상국: 대한민국, 그리스, 대만, 말레이시아, 불가리아, 중국, 태국, 필리핀 ㅇ 아시아 5개국을 대상으로 2006년부터 시행된 반덤핑 규제는 현지업체의 재조사 요청에 의해 두 차례 연장 시..
- 2020 아르헨티나, 보호무역주의로 전환 가능성 높음 -- 현지에서 생산되지 않는 원자재, 중간재 수출 공략이 필요 - □ 2020년 정치경제 개관 ㅇ 아르헨티나 좌익 페론주의 연합인 인민전선(Frente de Todos)당의 알베르토 페르난데스는 2019.10.27.(일) 선거에서 당선된 후 2019.12.10.(화) 대통령에 정식 취임했음. - 알베르토 대통령은 비교적 실용주의적, 중도주의적인 태도를 보일 것으로 예측되고 있음. - 그러나 경제문제에 관해 일관되지 못한 태도를 보이고 있어 아직은 전체적인 예측이 불가능한 상태임. ㅇ 국제통화기금(IMF)으로부터 들여오기로 한 구제금융 중 남은 금액(약 56억 달러)을 모두 받기 위해서는 국제통화기금의 요구사항을 받아들일 수밖에 없을 것으로 예측됨...
- 과테말라 철강 세이프가드 조사 현황 - - 세이프가드 조사 결과 발표는 신정부에서 진행 예정 - □ 세이프가드 조사 현황 ㅇ 과테말라는 19년 9월 WTO에 철강판재류에 대한 세이프가드 조사를 알리는 통보문을 발송. 조사 대상 제품은 7225.91.00, 7225.92.00, 7225.99.00 세번에 해당하는 제품(관세율 0%)으로 제소기업은 Ternium Internacional Guatemala 임 - 7225 합금강의 평판압연제품(폭이 600밀리미터 이상인 것으로 한정한다) - 7225.91.00 아연을 전해도금하거나 도포한 것 - 7225.92.00 그 밖의 방법으로 아연을 도금하거나 도포한 것 - 7225.99.00 기타 ㅇ Ternium사는 18년 2월 수입산 철강제품(HTS 7225)에..
- 말레이시아
- 리우올림픽
- 싱가포르
- 에콰도르
- 멕시코
- 호주
- 인도네시아
- 러시아
- 삼성전자
- 화장품
- 전시회
- 터키
- 태국
- 네델란드
- 칠레
- 리우
- 브렉시트
- 영국
- 콜롬비아
- 필리핀
- 남아공
- 코로나
- 브라질
- 스페인
- 인도
- 미얀마
- 미국
- 자동차
- 베트남
- 이스라엘
- 일본
- 이집트
- 프랑스
- 삼성
- 캐나다
- 독일
- 이란
- 홍콩
- 중국
- 올림픽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