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 노후화된 교통시설 개선 및 에너지 개발을 위한 인프라 증설 활발 -
- 현지기업과 협업을 통해 시장 진출전략 유효 -
□ 미국 메가 프로젝트 현황
ㅇ 메가 프로젝트 동향
- 메가 프로젝트는 보통 수년에 걸쳐 진행되고 10억 달러 이상 투자 규모의 프로젝트를 의미
- 2012년 전체 건설 프로젝트 중 3% 내외를 차지하던 메가 프로젝트는 2016년 10% 기록 후 큰 폭 상승해 2018년에는 33% 기록
- 투자 규모 5억에서 10억 사이 대형프로젝트도 전체 건설 프로젝트 중 점유율이 증가하고 있으나 상대적인 상승 폭이 낮아 2018년 기준 대형프로젝트의 점유율은 13% 수준
건설 프로젝트 중 메가 프로젝트, 대형프로젝트 비율 동향
자료: Reed, Dodge, FMI
ㅇ 메가 프로젝트 수와 규모 증가
- 2012년 이후 320개의 메가 프로젝트가 진행됐음. 이는 총 7180억 달러 규모임. 대형프로젝트의 경우 착공 수 572건, 3730억 달러 규모 기록
- 메가 프로젝트의 평균 비용 증가 추세로 2019~2023년 메가 프로젝트 평균 규모는 29억 달러로 2012~2018년 평균값인 21억 달러에 비해 37% 증가
- 현재 미국 내 674개의 메가 프로젝트가 계획 중이며, 이는 총 2조 달러 규모
메가 프로젝트 수
자료: Reed, Dodge, FMI
메가 프로젝트 규모
자료: Reed, Dodge, FMI
ㅇ 인프라, 교통 프로젝트 활발
- 계획 중인 메가 프로젝트 중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부문은 인프라 프로젝트로 전체의 38% 점유
- 교통 부문 메가 프로젝트는 2012년에서 2018년 사이 점유율 10%에서 2019년에서 2050년 사이 19%를 점유할 것으로 보여 가장 큰 폭의 상승률을 보임.
자료: Reed, Dodge, FMI
ㅇ 지역별로는 남부, 서부 지역에 집중
- 계획된 메가 프로젝트 투자액 중 37%는 남부 지역, 30%는 서부지역에 투자 예정
- 주별로는 뉴욕주 15%, 캘리포니아주 15%, 텍사스주 10%의 순
지역별 메가 프로젝트 분포 현황
주: 원의 크기가 메가 프로젝트 규모와 비례
자료: Reed, Dodge, FMI
□ 주요 건설 기업
D.R. Horton
| - 본사 소재지: 텍사스주 알링턴 - 설립연도: 1978 - 고용인원: 8,437명 - 매출액: 161억 달러 - 미국 최대 주택 건설 기업으로 2019년 포천 500대 기업 중 194위 - 29개 주에서 사업 운영 - Emerald Homes, Express Homes, Freedom Homes의 세 영역으로 구분 |
Bechtel
| - 본사 소재지: 버지니아주 레스톤 - 설립연도: 1898 - 고용인원: 55,000명 - 매출액: 259억 달러 - 미국 최대 건설 기업 중 하나로 인프라, 오일가스, 보안 및 환경 등 프로젝트 진행. 후버댐(Hoover Dam)은 Bechtel 최초의 메가 프로젝트 |
Turner Construction Company
| - 본사 소재지: 뉴욕주 뉴욕 - 설립연도: 1902 - 고용인원: 5,200명 - 매출액: 156억 달러 - 독일 건설 기업인 Hochtief의 자회사 - 연간 북미 지역에서 총 100억 달러, 1,500개 건설 프로젝트 진행 |
Fluor Corporation
| - 본사 소재지: 텍사스주 어빙 - 설립연도: 1890 - 고용인원: 61,551명 - 매출액: 190억 달러 - 2019년 포천 500대 기업 중 149위 - 다국적 EPC 기업으로 에너지, 화학, 전력, 인프라, 첨단 제조 등 다양한 분야의 프로젝트 진행 - 제조시설 건설 업계 1위 |
AECOM
| - 본사 소재지: 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 - 설립연도: 1990 - 고용인원: 86,000명 - 매출액: 201억 달러 - 150개 국가에서 운영 - 크게 디자인 및 컨설팅 서비스, 건설 서비스, 매니지먼트 서비스, 부동산 개발의 4개 부문으로 나뉘어 운영 중 |
EMCOR Group
| - 본사 소재지: 코네티컷주 노워크 - 설립연도: 1994 - 고용인원: 33,000명 - 매출액: 81억 달러 - 전기 건설 및 설비 서비스, 기계 건설 및 설비 서비스, 건축 서비스, 산업 서비스 제공 |
□ 진행 중인 주요 메가 프로젝트
ㅇ [에너지개발] Alaska LNG
- Alaska LNG 프로젝트는 세계에서 가장 큰 천연가스 개발 프로젝트 중 하나
- 투자 규모는 450억 달러에서 최대 650억 달러 사이
- 알래스카의 케나이(Kenai)반도에 위치한 니키스키(Nikiski)에 LNG 액화공장, 저장 및 선적 터미널 건설 및 노스슬로프(North Slope)까지 연결된 800마일 거리의 파이프라인과 가스처리 공장 건설 프로젝트
- 노스슬로프의 천연가스 매장량은 35Tcf
- 액화공장의 용량은 20mtpa, 선적 터미널에는 16만 입방미터의 LNG 저장탱크 2~3대, 해상 하역시설, 정박지 두 곳 건설 예정
- Alaska Gasline Development Corporation(AGDC) (25%), BP(20%), ConocoPhillips Alaska Inc.(20%) and ExxonMobil (35%) 네 기업이 함께 Alaska LNG 소유
자료: Alaska LNG
ㅇ [에너지개발] Corpus Christi LNG Liquefaction Plant
- Chenieer Energy가 텍사스주 코퍼스 크리스티(Corpus Christi) 액화시설 건설 프로젝트 운영
- LNG 트레인 1, 2호의 건설은 거의 마무리 단계로 1호는 2018년 11월 LNG 생산 개시
- 현재는 LNG 트레인 3호 건설 중이며, 2021년 하반기 상업 서비스 계획. 추가로 2022년에는 4호, 5호 운행을 목표로 함.
- Bechtel이 프로젝트의 디자인과 건설 진행
- 투자 규모는 245억 달러
자료: Cheniere
ㅇ [교통인프라] California High-Speed Rail
- California High-Speed Rail Authority의 캘리포니아 고속철도 건설 프로젝트
- 투자 규모는 640억 달러
- 2015년 착공했으며, 거리는 총 800여 마일. 2025년 부분 운영 개시 계획
- 샌프란시스코와 로스앤젤레스를 2시간 40분에 주파 예정
자료: California High-Speed Rail Authority
ㅇ [도시개발] Hudson Yards
- 뉴욕주 맨하탄 서부지역의 도심개발 프로젝트로 미국 최대 민간 부동산 개발 프로젝트
- 오피스빌딩, 고급 주거주택, 호텔 쇼핑몰 등 16개 빌딩의 복합단지 조성 사업
- 투자 규모는 250억 달러로 2024년 완공 예정
- 개발업체는 The Related Companies L.P., Oxford Properties Group Inc 등이 있으며, 건축설계는 Kohn Pedersen Fox, Thomas Heatherwick, Foster + Partners 등
□ 시사점
ㅇ 미국 건설시장은 2020년에도 견조한 성장 전망
- 미국 기기생산자협회(Association of Equipment Manufacturers, AEM)에 따르면 미국 건설시장은 2019년 3.3% 성장했으며 2020년에는 1.7% 성장, 향후 5년간 약 1.5~2% 성장 전망
- 상업용 시설 건설 및 인프라 확충으로 건설시장 성장 동력
- 미국 건설시장의 위협 요소로는 정치, 경제적 불확실성, 자재가격 인상, 이자율 상승, 건설 인력 부족 등
- 건설업계 관계자인 D씨는 2017년과 2018년은 시장에 대해 긍정적인 시각이 대부분이었으나 현재는 긍정과 부정의 시각이 혼재돼 있다고 함. 특히 관세에 대한 부분이 시장 불확실성의 주요 원인이라고 함.
ㅇ 대도시 중심의 메가 프로젝트
- 향후 3~5년 동안 20개 대도시 시장이 전체 건설의 약 50% 차지
- 이 중 뉴욕, 로스앤젤레스, 댈러스, 휴스턴, 워싱턴 5개 도시에서 미국 전체 건설의 20% 발생 예상
- 도시지역에서의 건설은 주요 인프라 개선에 대한 수요 증가로 이어질 전망
ㅇ 인프라 확충 활발
- 노후화된 도로, 철도 등 교통 인프라 개선 위한 프로젝트 진행 중
- 셰일혁명으로 인한 셰일자원 생산단가 인하 및 생산량 급증. 원유, 천연가스 수출량이 크게 증가해 이를 위한 인프라 확충이 걸프만 지역 중심으로 활발함.
걸프만 지역 수출 터미널 현황
자료: SP Global
ㅇ 진출지역에 대한 정보 조사 필수
- 공공프로젝트의 경우 주별로 진행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관련 제도가 상이하므로 진출을 목표로 하는 지역에 대한 사전 정보 조사가 필수적
- 현지 발주처, 경쟁기업, 벤더 등 시장구조와 지역 및 문화 특성에 대한 이해도 제고 요구
ㅇ 미국 현지 기업 인수를 통한 미국 시장 진출 가능성
- 시장에 익숙한 현지 기업을 인수해 프로젝트 참여 가능성 높일 수 있음.
- 유럽계 건설기업인 Skanska, ACS 등이 현지 기업 인수를 통해 미국 시장에 진출한 사례
- 기업 인수를 통해 네트워크와 노하우, 경험을 활용할 수 있음.
자료: Reed, Dodge, FMI, SP Global, IBIS World, AEM, KOTRA 달라스 무역관 자료 종합
'글로벌 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나이지리아 엘리베이터 및 에스컬레이터 시장 현황 (0) | 2020.01.28 |
---|---|
2020년 극동러시아 新이슈, 新정책 (0) | 2020.01.21 |
터키 무역부, 한국산 합성필라멘트사 직물 반덤핑 재조사 개시 (0) | 2020.01.21 |
2020 對아르헨티나 수출, 중간재나 원자재가 유리 (0) | 2020.01.21 |
과테말라 철강 세이프가드 조사 현황 (0) | 2020.01.21 |
- 말레이시아
- 싱가포르
- 프랑스
- 미얀마
- 브라질
- 올림픽
- 리우
- 이집트
- 삼성전자
- 영국
- 콜롬비아
- 인도네시아
- 이스라엘
- 코로나
- 전시회
- 태국
- 칠레
- 중국
- 화장품
- 멕시코
- 인도
- 이란
- 일본
- 러시아
- 브렉시트
- 홍콩
- 터키
- 미국
- 스페인
- 삼성
- 베트남
- 독일
- 필리핀
- 네델란드
- 자동차
- 남아공
- 리우올림픽
- 호주
- 캐나다
- 에콰도르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