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FDA의 개정된 식품 라벨링 규제, 2020년 1월 1일부터 시행 -- 미국으로 수입된 식품 및 음료에도 적용, 식품 및 음료 수출기업들 유의해야 - □ 美 식약청의 새로운 식품 라벨링 규제 ◦ FDA, 식품 라벨링 규제 개정 - 지난 2016년 5월 미국 식약청(U.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이하 FDA)은 포장 식품(Packaged foods)의 영양성분표(Nutrition Facts) 라벨 규정에 대한 최종 개정사항을 발표 - 식습관과 비만, 심장병 등 만성 질환과의 연관성을 비롯한 새로운 식품영양학적 정보가 반영될 새로운 식품 라벨은 향후 더 정확한 식품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소비자의 식품 선택을 용이하게 할 것으로 예측됨. - 2018년 발효 예정이었던 새로운 ..
- 중남미 최고 수준의 성장률 지속 -- 지속가능한 경제발전을 위해 조속한 세제 개혁과 재정건전성 강화 노력 필요 - □ 2019년 도미니카공화국 경제성장률 잠정집계 결과 ㅇ 중앙은행 발표에 따르면 도미니카공화국의 2019년 국내총생산(GDP)은 전년대비 5.1% 증가했음. 이는 중남미에서 가장 높은 수준으로 UN 중남미카리브위원회가 추산한 2019년 중남미 평균 경제성장률인 0.1%를 크게 앞서고 있음. 2019년 중남미 주요국 잠정 경제성장률(단위: %)자료: 도미니카공화국 중앙은행(기타국 자료는 UN 중남미카리브위원회 ’19년 12월 전망치 인용) ㅇ 중앙은행은 통화위원회의 시의적절한 금리인하 정책으로 시중에 유동성이 증가해 민간소비와 투자 확대 및 경기부양 효과를 봤다고 평가 - 도미니카공화국의 ..
- 멕시코 및 미국 비준 절차 완료, 캐나다 2월 내 비준 예정 -- USMCA로 인한 영향에 대해 지속적인 모니터링 필수- □ 트럼프 대통령, USMCA 수정안 서명 ㅇ 2020년 1월 29일 트럼프 대통령이 USMCA 수정안에 서명을 완료해 USMCA 발효에 한 걸음 더 가까워짐. 주: USMCA(US-Mexico-Canada Agreement)는 NAFTA(North America Free Trade Agreement)를 대체할 미국, 멕시코, 캐나다 간의 무역협정 - 트럼프 대통령은 USMCA를 현재까지 이뤄진 무역협정 중 가장 크고 공정하며 균형잡힌 현대적인 협정이라고 평가함. 미국 농업계의 돌파구로 작용할 것이며, 제조업체와 자동차업체 근로자에게도 엄청난 승리라며 트럼프 행정부의 핵심 국정과제..
- 맞벌이 세대 증가로 육아의 수고를 덜 수 있는 서비스 다양화 - - 정액제 기저귀, 정기구독 이유식 등 일본 시장에서 주목 얻어 - □ 일본 정기구독 서비스 확대 추세 ㅇ 고객에게 정기적으로 서비스를 제공하고 정액 이용료를 징수하는 판매방식인 정기구독 서비스(subscription) 시장이 일본에서 성장세를 나타내고 있으며, 서비스 범주도 다양해지고 있음. - 야노경제연구소(矢野経済研究所)의 조사에 의하면 일본 정기구독 서비스 시장 규모는 2018년 기준 5627억 엔(약 6조 원) 규모로 ‘23년까지 연평균 8.9%의 비율로 성장할 전망임. - 과거 일본에서는 서적, 학원 등의 교육 분야나 통신판매로 이뤄지는 건강식품 및 화장품 등이 정기구독 서비스의 대표적인 사례였던 반면 최근에는 패션, 식료품 ..
- 환율 평가절하를 부당보조금으로 간주하는 상계관세 부과 규정 신설 -- WTO 근거 규정 부재, 타국의 통화정책 침해 가능성, 집행 실효성 등에서 논란 - □ 경과 ○ 2월 3일, 미국 상무부는 '환율 상계관세' 도입을 위한 수정 규정을 관보에 게재함. - ‘환율 상계관세’는 타국이 수출경쟁력을 높이려고 인위적으로 통화 가치를 절하하는 행위(환율 조작)를 부당보조금 지급과 동일하게 간주하고, 이에 대응하기 위해 상계관세(countervailing duty)를 부과하는 제도를 일컬음. - 중국 등 미국의 주요 교역국들이 의도적으로 자국의 환율 가치를 낮추고 있다고 판단될 경우 해당 수입품에 징벌적 관세를 부과함으로써 공정 교역을 달성하고자 하는 목적임. ○ 작년 5월 28일 상무부가 최초 제안했던 이 조..
- 美상무부, 환율 평가절하를 부당보조금으로 간주, 상계관세 부과 규정 신설 -- WTO 근거한 규정 부재, 타국의 통화정책 침해 가능성, 집행 실효성 등에서 논란 가중 -- 미중 갈등의 2라운드는 환율로 이에 대한 대비책 마련 필요 - □ 경 과 ○ 2.3일, 美상무부는 「환율 상계관세」 도입을 위한 수정 규정을 관보에 게재함. - ‘환율 상계관세’ 는 타국이 수출경쟁력을 제고코자 인위적으로 통화 가치를 절하하는 행위(환율조작)를 부당보조금 지급과 동일하게 간주하고, 이에 대응하기 위해 상계관세(countervailing duty)를 부과하는 제도를 일컬음. - 중국 등 미국의 주요 교역국들이 의도적으로 자국의 환율가치를 낮추고 있다 판단될 경우, 해당 수입품에 징벌적 관세를 부과함으로써 공정 교역을 ..
- 세계 경제 성장 둔화와 송환법 시위 사태로 2020년 홍콩 경제 쇠퇴 전망 -- 웨강아오 대만구 및 일대일로 사업 등의 계획을 통해 새로운 기회 포착 - □ 행사 기본 정보 ○ 행사 개요 행사명 ‘난관을 극복하고 기회를 잡는다’ 홍콩중화총상회 포럼 (CGCC Forum- Overcome Challenges Take up Opportunities) 개최 일시 2020년1월 8일 (수) 14:30-17:30 주최 홍콩중화총상회 (The Chinese General Chamber of Commerce, Hong Kong) 연사 - Dr Jonathan Choi, Chairman, The Chinese General Chamber of Commerce - The Hon Paul Chan, Financial ..
- 편의성에 기반한 스마트 물류가 대세로 떠오를 전망 - □ 중국 물류단지 현황 ㅇ 중국 물류 및 구매연합회 자료에 따르면 2018년 중국에서 운영, 건설 및 계획 중인 각종 물류단지는 1638개에 달했는데, 2015년보다 428개 늘어난 것임. - 2015~2018년 중국의 물류단지 수량은 연평균 10.7% 성장했음. 2006~2018년 중국의 물류단지 현황자료: 중국 물류 및 구매연합회(中国物流与采购联合会) ㅇ 물류단지는 경제 발전, 다양한 운송방식의 통합을 촉진할 수 있고 도시 환경 개선 등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기 때문에 중국 정부 및 기업들은 앞다퉈 지역과 도시의 물류 발전을 위한 역점사업에 전폭적으로 투자하고 있음. - 2018년 중국의 물류단지 1600여 개 중 1113개가 운영돼 운영률이..
- 러시아 Open Innovation Startup Tour 2020, 블라디보스톡에서 시작 –- 96개 Startup 참가, 정보기술, 생명과학, 산업 및 에너지 기술 등 3개 분야에서 열띤 경쟁 - □ 러시아 Startup의 잔치, 블라디보스톡에서 시작 ㅇ 1월 23, 24일 이틀간 블라디보스톡의 극동연방대학교에서 2020년 러시아 Open Innovation Startup Tour가 개최되었음. - Open Innovation Startup Tour는 2011년부터 개최되는 행사로 2019년까지 95개 도시에서 열렸으며, 7만 5,000개 Startup이 참가해 이 중 15,000개가 채택되어 실제로 적용되었음. - 2020년에는 1월부터 4월까지 블라디보스톡, 아르항겔스크, 이바노보, 페름, 크..
자료출처 : KOTRA 해외시장뉴스(경제 무역)
- 독일
- 필리핀
- 리우올림픽
- 싱가포르
- 호주
- 스페인
- 태국
- 베트남
- 에콰도르
- 화장품
- 인도네시아
- 삼성전자
- 일본
- 영국
- 중국
- 캐나다
- 멕시코
- 프랑스
- 자동차
- 콜롬비아
- 인도
- 러시아
- 리우
- 이란
- 미얀마
- 코로나
- 터키
- 이스라엘
- 전시회
- 삼성
- 미국
- 브라질
- 말레이시아
- 브렉시트
- 이집트
- 올림픽
- 홍콩
- 칠레
- 네델란드
- 남아공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