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유럽연합의 CSR정책과 독일의 CSR정책 현황 - - 기업의 사회적 책임과 함께 지속 가능한 CSR로의 이행 - □ 기업의 사회적 책임, CSR의 정의 ㅇ 독일 연방노동사회부(BMAS)에 따르면, CSR(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은 기업의 사회적 책임 ㅇ 유럽연합위원회(EU Commission)에 따르면 CSR은 사회통합, 환경, 윤리, 소비자, 인권, 준법(準法)에 관련된 기업의 사회적 책임 □ 유럽연합 및 독일의 CSR 현황 ㅇ 유럽연합의 CSR 현황 - 신흥국과 개발 도상국의 서구 기업의 생산 현장에서 발생한 수많은 비극적인 재난이 시발점 - 유엔 인권 이사회(UNHRC), UN 기업과 인권 이행 원칙(UN Guiding Principles on Business ..
- 불가리아 자전거, 전기 자전거 제조업 성황 및 유럽으로 수출량 증가 - - 전기 자전거 시대 도래에 따른 관련 부품의 수요 증가 기대 - □ 자전거 시장 관련 HS CODE 및 관세율 ㅇ 일반 자전거: 모터를 갖추지 않은 이륜자전거와 그 밖의 자전거(HS Code 8712.00) ㅇ 전기 자전거: 모터사이클과 보조 모터를 갖춘 자전거(HS Code 8711.60) ㅇ 전기 자전거 배터리: 리튬이온 및 리튬폴리머 배터리(HS Code 8507.60) ㅇ 한-EU FTA로 인해 상기 제품을 한국에서 수출할 경우 무관세(0%) · 참고로 전기 자전거 기본세율은 6%, 리튬이온 및 리튬폴리머 배터리 기본세율은 2.7%지만 한국은 면세 □ 불가리아 자전거 제조업 성황 ㅇ 불가리아는 유럽의 자전거 주요 생산국 ..
- 현지 합작기업에 수출 품목 허가, 관련 분야 성장 기대 - - 완화된 수출 규제로 인해 외국 기업 수출 가능 품목 확대 - ☐ 미얀마 상무부 공지 ㅇ 외국인 합작기업 수출 허가품목 공지 - 미얀마 상무부(Ministry of Commerce)는 Notification 24/2019를 통해 외국인 합작기업에게 일부 품목의 수출을 허가 - 해당 품목에는 고기, 생선 등 육어류, 가공된 농작물, 제지 및 제지용 펄프, 종자, 가공금속, 가공·완제품 과일, 목재가구 등이 포함. - 수출 시 아래 조건을 갖추어야 하며, 관련 부처의 추천을 필요함. 또한 국내 생산자로부터 상품을 구입하는 외국 합작기업만이 수출 라이선스를 받을 수 있음. - 미얀마 수출품 품질 향상 및 국내 생산 원료에 대한 수요를 늘리는 것을..
- 전력난 속 부패 스캔들 추가 폭로로, 정치적 부담 - 대선 앞두고 공공부문 투명성 강화를 위한 전방위적 노력 전개 예상 □ 도미니카공화국, 정전 심화로 곳곳에서 시위 발생 ○ 최근 전국적으로 정전이 심화되면서 주민들의 항의시위가 자주 발생하고 영세상인들의 부담이 가중되고 있음 - 시위 발생지역은 주로 비상용 자가발전 시설을 갖추지 못하고 있는 영세층 거주 지역으로, 일부 지역에서는 폐타이어, 쓰레기 등을 태우며 장시간 정전 지속 발생에 항의 - 도미니카공화국 소상인협회(Confecomercio)장 Gilberto Luna는 콜마도(도미니카공화국의 미니마트)에서 판매하는 품목의 30% 이상이 요냉장 제품으로, 특히 중소 영세 상인들이 매 회 4~5시간 이상 지속되는 정전으로 인한 영업 중단, 매출하락으..
- 쇼트클립 동영상 이용자 6억4800만 명 돌파, 전체 네티즌의 78.2% - - 강한 전파력으로 정부기관도 쇼트클립 즐겨 활용 - - 쇼트클립 마케팅, 대세 마케팅 수단으로 떠올라 - 자료: 搜狗图片 □ 쇼트클립 동영상 시장 현황 ㅇ 쇼트클립은 전파력이 강한 특성과 폭발적으로 증가하는 이용자를 기반으로 대세 브랜드 마케팅 수단으로 부상함. - 자투리 시간에 킬링 타임용으로 적합한 쇼트클립은 현대인의 생활 습관에 부합해 많은 소비자가 쇼트클립 동영상에 열광함. ㅇ CNNIC가 발표한 에 따르면 쇼트클립 동영상 사용자가 6억 4800만 명에 달하며 전체 네티즌의 78.2%를 차지함. - 쇼트클립 월 이용자 수(Monthly Active Users)가 5억 명이 넘으며 1인당 평균 사용시간은 1시간을 넘는..
□ 사절단 개요 행사명 2019 전북 CIS 무역사절단 일시 2019. 6. 12(수) 9:00 ~ 17:30 주관 KOTRA,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 장소 Intercontinental Hotel 규모 국내기업 9개사, 총 상담 45건 품목 식품, 전통차, 의료기기, 생활용품, 소비재 ㅇ 9개사가 참가한 전북 무역사절단은 전통차, 의료기기, 화장품, 생활소비재 등 다양한 품목들의 기업이 참여함. 상담 전 진행된 사전간담회에서는 카자흐스탄 경제 현황, 카자흐스탄 시장 동향 등에 대한 설명이 진행 ㅇ 사후간담회에서는 제품 인증정보, 무역관의 사후지원 방안 등을 안내하고 기업 간 상담회 성과를 공유함. ㅇ 상담회는 알마티 인터콘티넨탈 호텔에서 진행됐으며, 약 70건의 수출상담을 진행 □ 참가기업 리스트 ㅇ 전북..
- 카자흐스탄 제약시장, 지난 10년간 7.2배 증가 - - 대부분 수입에 의존. 특히 항생제, 항암제 수입 의존율은 95% 이상 - □ 카자흐스탄 제약시장의 역사 ㅇ 카자흐스탄의 제약시장은 90년대 중반 들어서야 제대로 발전하기 시작. - 94년까지 카자흐스탄의 제약산업은 국영기업인 Pharmacia에 의해 통제. Pharmacia사만 의약품 판매, 유통권한을 지니고 있었음. 당시 Pharmacia사는 1,832개의 약국, 64개의 국영병원, 1,768개의 의료시설을 보유하고 있었음. ㅇ 하지만, 96년부터 제약분야 민영화가 진행되고 독점구조가 깨지면서 빠르게 시장이 재편되기 시작. - 90년 초에는 국영기업에 의한 공산주의적 분배 성격이 강했다면, 96년부터는 적극적으로 자본주의 논리를 수용해 민영화..
- 모로코 제 8회 플라스틱 산업 전시회, 경제 중심지 카사블랑카에서 개최 - 모로코외 스페인, 프랑스, 중국, 인도 등 13개국에서 참가 전시회 2019 모로코 플라스틱 산업 전시회 (Plast expo 8th Edition) 개최기간 2019년 6월 25~28일 (4일간) 개최장소 Casablanca International Fair (AMDIE) 전시면적 4,500m2 참가국 13개 국 (모로코, 스페인, 프랑스, 이탈리아, 중국, 인도, 터키, 이집트, 카타르 등) 참가업체 총 185부스 참관객 수 약 20,000명(주최측 추산) 주최기관 Moroccan Federation of Plastics 홈페이지 www.plast-expo.ma 주요 전시 품목 Plastics, Petrochemicals,..
- 급증하는 온라인 사용자 수, 인프라 확충에 힙입어 소비자 접근성 확대 - - 한류 컨텐츠의 인도 시장진출 가능성 - ☐ 인도 동영상 스트리밍 서비스(Over the Top, 이하 ‘OTT') ○ 동영상 스트리밍 서비스(OTT)에 대하여 - OTT는 기존 TV방송이나 케이블처럼 전파나 유선 케이블망이 아닌 범용 인터넷망으로 방송 프로그램, 영화, 기타 영상 컨텐츠를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서비스를 말함. 'Over the Top'의 Top은 셋톱박스를 의미하는데, 초기에는 셋톱박스를 기반으로 하는 인터넷 동영상 서비스를 의미하였으나 최근에는 스마트폰과 같은 디지털 단말기를 통해 스트리밍 방식으로 영상 컨텐츠를 제공하는 플랫폼 서비스를 지칭함. - 넷플릭스(Netflix), 유튜브가 대표적인 OTT 서비스 ..
□ 사절단 개요 및 일정 ◦ 행사 개요 행 사 명 2019 충청북도 농식품 수출상담회 개최일시 2019년 6월 19일 (수) 장 소 오사카 리가로얄 호텔 참가기업 (한국) 충북 소재 농식품 기업 7개사 / (일본) 對韓 수입관심 바이어 21개사 참가품목 식품 (가공식품, 각종 소스․조미료, 콜라겐 제품, 훈제 식품, 김 등) □ 행사 사진 본 상담회는 상담제품 시식코너를 마련하여 참가 바이어들이 직접 시식할 수 있도록 함 개별 상담 현장 □ 참가 바이어 인터뷰 내용 ◦ 한국 제품의 강점 및 특징 - (특화된 건강음식 이미지) 日 식품 시장은 이미 포화상태이기 때문에 맛은 물론이고 건강, 다이어트 등 기능까지 갖춘 제품이 필요함. 이러한 측면에서 잘 형성되어 있는 한국의 건강 식품 이미지가 특산물 제품, ..
- 코로나
- 삼성
- 이스라엘
- 캐나다
- 삼성전자
- 호주
- 이란
- 네델란드
- 미국
- 자동차
- 멕시코
- 화장품
- 중국
- 필리핀
- 미얀마
- 브렉시트
- 베트남
- 리우
- 터키
- 말레이시아
- 영국
- 이집트
- 올림픽
- 러시아
- 콜롬비아
- 에콰도르
- 칠레
- 프랑스
- 독일
- 홍콩
- 스페인
- 인도
- 리우올림픽
- 인도네시아
- 남아공
- 브라질
- 싱가포르
- 일본
- 전시회
- 태국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