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 모로코 제 8회 플라스틱 산업 전시회, 경제 중심지 카사블랑카에서 개최
- 모로코외 스페인, 프랑스, 중국, 인도 등 13개국에서 참가
전시회 | 2019 모로코 플라스틱 산업 전시회 (Plast expo 8th Edition) |
개최기간 | 2019년 6월 25~28일 (4일간) |
개최장소 | Casablanca International Fair (AMDIE) |
전시면적 | 4,500m2 |
참가국 | 13개 국 (모로코, 스페인, 프랑스, 이탈리아, 중국, 인도, 터키, 이집트, 카타르 등) |
참가업체 | 총 185부스 |
참관객 수 | 약 20,000명(주최측 추산) |
주최기관 | Moroccan Federation of Plastics |
홈페이지 | |
주요 전시 품목 | Plastics, Petrochemicals, Rubber and composites, Machines, Recycled products |
1. 전시회 개요
ㅇ 이번 모로코 플라스틱 전시회는 2005년 최초 개최이후 올해로 8회째를 맞이함(격년 개최). 현지 모로코 업체뿐만 아니라 세계
각지에서 13개국 185개 업체가 참가
- 모로코와 교역이 많은 프랑스, 스페인을 비롯, 터키, 이집트, 카타르 등 남유럽 및 중동지역에서 주로 참가
- 아시아 국가의 참여도 활발하여 중국 47개사, 인도 7개사, 대만 4개사 등이 참가. 다만 한국 참가업체는 없었음
ㅇ 대표 전시품목은 플라스틱, 석유화학, 고무, 기계 및 액세서리, 재활용 등의 원재료, 중간재 및 완성제품이 대부분을 차지
- 특히 최근 플라스틱이 다양한 산업에 활용되는 추세를 반영, 'Plastics at the center of innovative industrial alliances'란
주제하에 전시회이외 세미나도 병행 개최
ㅇ 전시회 홈페이지에서 참관 신청시 이메일로 무료 입장티켓 획득 가능
- 다만, 행사 카타로그는 250 MAD (약 3만원)에 판매하는데 전시일정을 비롯, 참가업체 연락처 등 행사 세부정보 입수 가능
ㅇ 자동차, 항공 등 현지 제조업 활성화에 따른 수요 확대로 제조업체 뿐 아니라 다양한 수입업체 및 유통업체가 참가
- 자동차는 현재 약 40만대에서 2025년까지 100만대 생산계획으로 부품 조달관련 로컬비율 확대 추진(50-60%->80%)
- 항공분야는 보잉사가 2001년 Safran과 조인트 벤처이후 2016년 sourcing ecosytem을 론칭하는 등 관련산업 확대
2. 주요 전시관 및 상담관 구성
전시장(전체) 및 입구 전경 | |
|
|
중국 및 현지업체 부스 전경 | |
|
|
자료 : KOTRA 카사블랑카 무역관
ㅇ 모로코의 3위 수입국가인 중국의 경우, 전체부스(185개)의 약 25%인 47개 업체가 대규모로 중국 파빌리온을 구성
- 상대적으로 저렴한 가격을 앞세워 플라스틱 시장에도 공격적인 마케팅 노력 지속
ㅇ 기존 플라스틱 분야이외에도 석유화학, 고무, 기계 및 액세서리 등 다양한 분야의 소비재 및 산업재 제품을 선보임
- 특히 플라스틱, 몰드와 함께 재활용 산업 관련 부스가 많은 관람객의 이목을 끌었음
대표 참가업체 | 홈페이지 |
모로코. Beweplast | |
이탈리아. Amplast | |
중국. Zhejiang Chovyting Machinery | |
이집트. Farid and partners for plastic |
자료 : 현지 전시회 방문
3. (현지전문가 코멘트) 주최측, 참가업체 인터뷰 및 시사점
ㅇ (주최측) 모로코 플라스틱 업계의 성장 및 국제화 지원이 동 행사의 주요 목적
- 모로코는 자동차 등 제조업 중심 산업 고도화를 추진하나 주요 원재료, 부품 등을 수입에 의존하고 있어 산업기반 강화가 필요
- 이에 국제 전시회 개최를 통해 수입선을 다변화하고 외국 유력업체의 현지 투자진출 및 모로코 기업과의 네트워크를 적극 추진
ㅇ (외국참가업체) 모로코의 향후 높은 성장 잠재력 및 신규 사업기회가 매력적으로 응답
- 인터뷰에 응한 대부분의 외국업체가 모로코의 유럽 및 아프리카 시장으로의 지리적 인접성을 가장 큰 장점으로 꼽음
- 일부는 2-3번 참가한 업체도 있었는데 기존 고객사의 요구 물량이 점차 증가하고 있어 모로코 시장에도 만족감을 표시
- 재활용 산업에 종사하는 터키업체에 따르면, 아직은 모로코 시장이 초기단계로 관련기업이 많지 않기에 동 분야에 경험있는
외국기업의 입장에서는 현지 시장 진출이 용이함을 언급
ㅇ 아직까지는 지리적 원거리, 정보 부재 등으로 한국기업의 관심도는 높지 않은 상황
- 모로코 플라스틱 산업 동향 및 관련 국내외 업체 파악 등을 위해 해외 전시회 참여 등 적극적인 진출 노력이 필요
4. 전시 참가 문의
주최기관 | 연락처 |
Moroccan Federation of Plastics | Contact : Mr. SAOUAF Nabil Tel. +212 (0) 522 662 458 Fax. +212 (0) 522 662 460 Mimosa Bd & Tamaris street Ain Sebaa, Casablanca E-mail : federationdeplasturgie@gmail.com Web : www.fmplasturgie.ma |
자료원 : 전시회 참관에 따른 인터뷰, 현지 신문, 무역관 자료 종합
'글로벌 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9 전북 CIS 사절단 참관기 (0) | 2019.07.01 |
---|---|
2019 카자흐스탄 제약산업 동향 (0) | 2019.07.01 |
인도 동영상 스트리밍 서비스(OTT) 시장 동향 (0) | 2019.07.01 |
2019 충청북도 농식품 무역사절단 현장 인터뷰 (0) | 2019.07.01 |
스타트업 스케일업! 캐나다 엑셀러레이터를 활용하자 (0) | 2019.07.01 |
- 베트남
- 필리핀
- 이스라엘
- 독일
- 전시회
- 일본
- 리우
- 콜롬비아
- 자동차
- 삼성
- 말레이시아
- 이집트
- 칠레
- 태국
- 인도
- 호주
- 미얀마
- 올림픽
- 남아공
- 스페인
- 캐나다
- 중국
- 화장품
- 브라질
- 코로나
- 미국
- 브렉시트
- 멕시코
- 홍콩
- 영국
- 인도네시아
- 러시아
- 터키
- 삼성전자
- 싱가포르
- 에콰도르
- 이란
- 네델란드
- 리우올림픽
- 프랑스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