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 카자흐스탄 제약시장, 지난 10년간 7.2배 증가 -
- 대부분 수입에 의존. 특히 항생제, 항암제 수입 의존율은 95% 이상 -
□ 카자흐스탄 제약시장의 역사
ㅇ 카자흐스탄의 제약시장은 90년대 중반 들어서야 제대로 발전하기 시작.
- 94년까지 카자흐스탄의 제약산업은 국영기업인 Pharmacia에 의해 통제. Pharmacia사만 의약품 판매, 유통권한을 지니고 있었음. 당시 Pharmacia사는 1,832개의 약국, 64개의 국영병원, 1,768개의 의료시설을 보유하고 있었음.
ㅇ 하지만, 96년부터 제약분야 민영화가 진행되고 독점구조가 깨지면서 빠르게 시장이 재편되기 시작.
- 90년 초에는 국영기업에 의한 공산주의적 분배 성격이 강했다면, 96년부터는 적극적으로 자본주의 논리를 수용해 민영화되었음.
- 이후 많은 민영 약국이 생겼으며, 의약품 물류창고, 유통 업자들이 등장함. 이러한 제약산업 구조는 현재까지 계속되고 있음.
카자흐스탄의 약국
자료원: yandex.kz
□ 카자흐스탄 제약산업의 특징
ㅇ 현재 카자흐스탄 제약산업은 텡게화 평가절하로 잠시 유통량이 감소하기도 했지만, 수요는꾸준히 증가 중. 의료 산업이 발전하면서 제약산업도 같이 성장 추세
- 카자흐스탄은 전체 의약품의 85% 이상을 수입에 의존하고 있어 환율에 민감한 편임. 최근 5년 간 텡게화 가치가 2배 이상 폭락하면서 의약품 공급이 원할하지 않았던 시기도 있었음.
ㅇ 동시에 카자흐스탄 제약산업은 의약품들의 품질이 낮은 점과 국가병원에서 간혹 의약품 부족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음.
- 국가병원은 의약품을 공공입찰을 통해 조달하는데, 내부적인 문제로 입찰이 늦어지는 경우가 비일비재함. 심지어는 전염병 유행이 다 끝난 뒤에 백신 입찰공고가 게재된 적도 있었음.
- 이는 실질적인 재고 부족사태라기 보다는 행정적, 절차적 지연에 따른 인위적인 의약품 부족사태에 가까웠음.
ㅇ 하지만, 최근에 카자흐스탄은 이러한 문제들을 상당히 개선함. 전문가들은 카자흐스탄이 CIS에서 러시아 다음으로 제약산업이 발전한 국가로 여김. 대부분의 의약품은 수입되지만, 국내에서도 생산이 되며 그 비중은 약 15%에 달함.
- 다양한 외국계 제약회사들이 카자흐스탄에 공장을 설립하고 의약품을 제조 중
□ 수요 동향
ㅇ 대부분의 의약품은 수입됨. 카자흐스탄에서 제조된 의약품이 일부 수출되기도 하지만, 수입되는 양의 1/43에 불과함.
ㅇ 국내 제약생산 시설이 부족하여 수출량이 적은 것도 있지만, 카자흐 국내에서 생산된 제품들은 국제표준을 충족시키지 못하거나 품질이 낮아 세계시장에서 경쟁이 불가
ㅇ 카자흐스탄 제약시장에는 다양한 유통기업들이 존재. 대표적으로 IC Pharmacy사는 현지에서 생산된 의약품을 유통하며, Amanat, Inkar 등은 러시아, 벨라루스, 프랑스, 오스트리아, 이탈리아 등에서 제조된 의약품들을 유통함. 일반 의약품과 제네릭 의약품을 동시에 취급
ㅇ 다양한 외국계 제약회사들은 의약품 수출확대를 위해 카자흐스탄에 지사를 운영 중이며, 그 수가 약 50개에 달함.
- 외국계 제약회사들은 특히, 카자흐스탄에서 전혀 생산이 되지 않는 C형 간염, 향정신성 약물, 항암제 의약품의 판매 확대를 계획하고 있음.
□ 수입 동향
ㅇ 카자흐스탄이 2018년에 수입한 의약품의 총 중량은 21,700톤으로 2017년 대비 5.6% 증가함.
ㅇ 수입금액은 8억 7,000만불로 전년대비 15% 증가
ㅇ 최대 수입국은 독일(1억 7,300만 달러), 러시아(7,000만 달러), 인도(6,600만 달러), 프랑스(6,700만 달러) 순이었음.
카자흐스탄의 의약품 수입현황(순위: 수입중량 기준)
자료원: info.kz, 카자흐스탄 통계청
KAZAKHSTAN IMPORT / EXPORT STATISTICS
(RUSSIA AND BELARUS ARE NOT INCLUDED)
| EXPORT | IMPORT | ||||
HS CODE | ITEM | Unit | TON(s) | AMOUNT | TON(s) | AMOUNT |
3004 | Medicaments (Except Vaccines Etc., Bandages Or Pharmaceuticals), Of Products (Mixed Or Not) For Therapeutic Etc. Uses, In Dosage Or Retail Sale Form | 500.8 | 6,336.7 | 15,721.1 | 785,401.5 | |
Countries of CIS | KG | 468.9 | 1,504.7 | 1,889.8 | 23,801.6 | |
MOLDOVA | KG | 1.1 | 612.4 | 32.5 | 1,816.6 | |
TAJIKISTAN | KG | 445.4 | 242.3 |
|
| |
TURKMENISTAN | KG | 10.7 | 130.7 |
|
| |
UZBEKISTAN | KG | 11.8 | 519.4 | 628.3 | 696.5 | |
UKRAINE | KG |
|
| 1,229.0 | 21,288.4 | |
Other countries of the world | KG | 31.9 | 4,832 | 13,831.3 | 761,599.9 | |
AUSTRIA | KG |
|
| 104.4 | 10,725.8 | |
ARGENTINA | KG |
|
| 1.0 | 863.3 | |
BELGIUM | KG | 0.1 | 388.2 | 99.6 | 16,171.8 | |
BULGARIA | KG |
|
| 271.0 | 7,520.0 | |
BOSNIA AND HERZEGOWINA | KG |
|
| 8.4 | 248.8 | |
BRAZIL | KG |
|
| 0.3 | 91.6 | |
HUNGARY | KG | | | 269.8 | 35,270.7 | |
VIETNAM | KG |
|
| 44.8 | 1,335.5 | |
GERMANY | KG | 0.1 | 35.8 | 2,345.6 | 173,510.4 | |
HONGKONG | KG |
|
| 0.3 | 18.3 | |
GREECE | KG |
|
| 64.1 | 5,163.7 | |
GERGIA | KG | 4.8 | 118.6 | 1.1 | 137.5 | |
DENMARK | KG |
|
| 45.2 | 13,615.4 | |
EGYPT | KG |
|
| 192.5 | 13,842.8 | |
ISRAIL | KG |
|
| 2.6 | 1,170.5 | |
INDIA | KG |
|
| 1,771.8 | 66,624.9 | |
INDONESIA | KG |
|
| 2.4 | 220.7 | |
JORDAN | KG |
|
| 0.3 | 82.3 | |
IRAN, ISLAMIC REPUBLIC | KG |
|
| 0.8 | 1,274.5 | |
IRELAND | KG |
|
| 161.7 | 18,853.0 | |
SPAIN | KG |
|
| 340.7 | 22,074.2 | |
ITALY | KG | | 0.1 | 211.0 | 43,916.1 | |
CANADA | KG |
|
| 6.8 | 3,696.5 | |
CYPRUS | KG |
|
| 10.2 | 1,121.9 | |
CHINA | KG | 0.6 | 0.3 | 3,295.9 | 4,508.3 | |
SOUTH KOREA | KG |
|
| 4.8 | 703.8 | |
CUBA | KG |
|
| 0.0 | 22.0 | |
LATVIA | KG |
|
| 52.6 | 8,469.5 | |
LITHUANIA | KG |
|
| 1.2 | 89.9 | |
MALTA | KG |
|
| 0.1 | 34.7 | |
MEXICO | KG |
|
| 3.2 | 107.2 | |
MONGOLIA | KG | 2.8 | 828.1 |
|
| |
NETHERLANDS | KG | 1.3 | 704.3 | 389.9 | 21,410.6 | |
UAE | KG |
|
| 0.3 | 106.1 | |
PAKISTAN | KG |
|
| 100.4 | 2,713.7 | |
PALESTINE | KG |
|
| 0.8 | 173.4 | |
POLAND | KG |
|
| 770.3 | 22,097.7 | |
PORTUGAL | KG |
|
| 2.9 | 559.8 | |
PORTO RICO | KG |
|
| 7.3 | 8,800.1 | |
| REPUBLIC OF MACEDONIA | KG |
|
| 11.0 | 438.4 |
RUMANIA | KG |
|
| 135.9 | 12,042.5 | |
SAN MARINO | KG |
|
| 22.9 | 400.3 | |
SAUDI ARABIA | KG |
|
| 8.3 | 520.2 | |
SERBIA | KG |
|
| 2.4 | 236.9 | |
SINGAPORE | KG |
|
| 0.6 | 167.1 | |
SLOVAKIA | KG |
|
| 35.2 | 2,264.6 | |
SLOVENIA | KG | 22.0 | 1,471.7 | 566.7 | 36,367.9 | |
THE UNITED KINGDOM | KG | 0.0 | 0.8 | 134.8 | 19,553.9 | |
THE UNITED STATES | KG |
|
| 54.5 | 25,382.9 | |
TAILAND | KG |
|
| 5.7 | 1,767.3 | |
TURKEY | KG | 0.3 | 401.5 | 531.3 | 17,293.0 | |
URUGUAY | KG | 0.0 | 0.9 |
|
| |
FINLAND | KG |
|
| 25.7 | 11,352.8 | |
FRANCE | KG |
|
| 1,190.3 | 67,915.9 | |
CROATIA | KG |
|
| 37.2 | 4,562.3 | |
CZECH REPUBLIC | KG | 0.0 | 0.0 | 112.3 | 13,715.0 | |
CHILE | KG |
|
| 2.1 | 102.6 | |
SWITZERLAND | KG | 0.0 | 881.7 | 190.6 | 23,048.2 | |
SWEDEN | KG |
|
| 146.5 | 13,280.6 | |
ESTONIA | KG |
|
| 17.3 | 895.5 | |
SOUTH AFRICA | KG |
|
| 1.0 | 260.1 | |
JAPAN | KG |
|
| 12.8 | 2,685.1 |
자료원: 카자흐스탄 통계청(2018)
□ 의약품 국내 생산
ㅇ 카자흐스탄 제약산업은 역동적으로 성장 중인 산업으로 Pfizer, Sanofi, Polpharma, Nobel, Pharmstandard, Kelun 등 112개 이상의 내외국의 제약회사들이 시장에 참여 중. 그 중 51개사가 의약품을 현지 생산하지만, 국제표준을 충족시키는 곳은 12개에 불과
- 최근 10년 간 카자흐스탄의 제약시장은 약 7.2배 이상 증가했음. 국가의 정책적인 지원 또한 시장규모를 확대하는데 큰 역할을 함.
- 의약품 구매를 위해 지난 2011년 약 2억 4,600만불의 국고가 할당된 것을 시작으로 2016년에는 국고지원금액이 4억 3,700만 불까지 증가함.
ㅇ 폴란드의 Polpharma사를 시작으로, Abdi Ibrahim, Nobel(터키) 등 외국계 제약회사들은 카자흐스탄에 생산시설을 건설하여 의약품을 생산 중. 하지만, 그들 중 대부분은 단순 포장지만 현지에서 생산할 뿐 핵심 원료는 수입에 의존하고 R&D 시설도 없기에 사실상 전량 수입하는 것과 다름이 없음.
- 다만, 현지에서 생산된 제품은 Made in Kazakhstan 브랜드가 되기에 국가입찰 등에 유리하게 참여가 가능
카자흐스탄에 생산기반을 둔 제약업체 리스트
Company Name | Annual Sales Volume (in Mln USD) | Annual Sales Volume (in Mln boxes) |
1. Sanofi-aventis | 94.0 | 9.9 |
2. Akrihin | 82.8 | 68.7 |
3. GlaxoSmithKline | 82.7 | 7.7 |
4. Nycomed/takeda | 81.3 | 11.7 |
5. Bayer healthcare | 76.2 | 6.0 |
6. Roche | 60.7 | 0.2 |
7. Teva | 52.9 | 11.2 |
8. Pfizer | 49.9 | 29 |
9. Johnson & Johnson | 46.7 | 0.9 |
10.Menarini | 43.5 | 13.9 |
자료원: kapital.kz
ㅇ 현재 투자가 활발한 곳은 Sanofi사로 쉼켄트 지역에 공장을 건축하고 Essentiale-N 의약품을 생산 중. Sanofi사는 2020년까지 미국기업인 Pfizer와 협업으로 공장 규모를 확대할 예정임.
□ 유통 구조
ㅇ 주요 의약품 유통회사가 약국, 국영병원 등에 제품을 납품하고 있으며, 이들이 전체 물량의 80%을 공급 중임.
ㅇ 그 중 Amanat사가 성장폭이 가장 큼. 해당 회사는 2008년에 제품수입을 176% 늘리며 Top 5 유통업체에 이름을 올리기도 했음.
ㅇ Amanat은 자체의 약국체인도 운영 중인데, 카라간다, 파블로다르, 아스타나, 발하쉬 지역에 32개의 점포를 오픈함.
ㅇ Amanat 외 카자흐스탄의 주요 유통기업은 아래와 같음.
- Medservice Plus
- Zerde
- EMITI international
- Inkar
- Medicus
- Interpharm
- Akniet
- Stofarm
- Romat
ㅇ 아울러, Ecopharma, Hippocrates, L-pharma, MT-Pharma, IP Volkov와 같은 유통기업들은 적극적으로 국가입찰에 참여하는 유통회사들임. 국가입찰에 참여하는 기업들의 영업마진은 큰 편으로 알려져 있음.
□ 국가인증(State Registration) 정보
ㅇ 카자흐스탄 내 의약품을 유통하기 위해서는 국가인증을 취득해야 하며, 이는 국영 의약품, 의료기기, 의료서비스 연구센터에서 담당하고 있음. 의약품 등록시 제품의 효능과 성분 등을 확인하게 됨. 해당 연구소로부터 승인을 받으면, 카자흐스탄 보건부에서 국가인증을 취득할 수 있음.
ㅇ 등록절차에는 통상적으로 7-8개월이 소요됨. 자세한 등록절차와 가격은 www.nce.kz/en에서 확인 가능
State Registration of Drugs, Medical Equipments and Devices
carried out by NCE(National Center of Expertise of medicine)
| Name | Medical Equipment | Medical Device | Medicine | |
1 | Expert works Price for expert works depends on safety class of ME & MD There are 3 types: 1st safety class 2A safety class 2B safety class 3rd safety class |
~ 100 - 1500 USD
| |||
2 | Submission fee for each item | 65 USD | |||
3 | Registration validity period | 7 years | 5 years | 5 years | |
4 | Translation of documents (can be done by Korean company but should notarized in Kazakhstan by local notary officer) |
1 page - 3000KZT (~9USD) | |||
5 | Agent fee for state registration | ~1000 USD - 1500 USD | |||
6 | Agent fee for state re-registration | ~ 800 USD - 1300 USD | |||
7 | Visit of experts from NCE | 2 persons at the expense of Korean company | |||
| Analytical Normative Document fee | - | ~ 150 - 400 USD | ||
8 | International Certificates required | Mill test certificates | GMP CPP | ||
9 | Certification fee Time required - 2 weeks | - | 500 USD | ||
10 | Clinical investigation | - | GCP (general clinical practice) | ||
11 | State registration obtaining period | 5 - 6 months | 7 - 8 months | ||
| |
자료원: www.nce.kz/en
□ 경쟁 동향
ㅇ 인도계, 러시아계 제약회사들이 카자흐스탄에 적극 진입 중이며, 경쟁이 심화되고 있음.
ㅇ 반면, 현지에서 생산이 불가한 항생제와 항암제는 타 의약품에 비해 가격대가 높은 편임.
현지에서 유통되는 주요 항암제
1USD = 377.18 KZT as of 2019.06.24
| Picture | Description | Price (USD) / Pcs |
| | Item Name: Zometa (4mg) Target Market: Public Procurement Manufacturer: Novartis Pharma Stein AG Country of Origin: Switzerland | ~ 165 USD / 1 flacon |
| | Item Name: Aclasta (5mg) Target Market: Public Procurement Manufacturer: Novartis Pharma Stein AG Country of Origin: Switzerland | ~ 256 USD / 1 flacon |
| | Item Name: TAD (4ml) Target Market: Public Procurement / Drug Store Manufacturer: Biomedica Foscama Country of Origin: Italy | ~ 37 USD / 10 flacons |
| | Item Name: Oncoxin capsula Target Market: Public Procurement Manufacturer: Catalysis S.L. Country of Origin: Spain | ~ 56 USD / 90 capsules |
| | Item Name: Rezorba (4mg) Target Market: Public Procurement Manufacturer: F-Sintez Country of Origin: Russia | ~ 130 USD / 1 flacon |
| | Item Name: Rezoklastin (4mg) Target Market: Public Procurement Manufacturer: F-Sintez Country of Origin: Russia | ~ 82 USD / 1 flacon |
| | Item Name: Zolerix (4mg) Target Market: Public Procurement Manufacturer: Biocad Country of Origin: Russia | n/a / 1 flacon |
| | Item Name: Arglabin (4mg) Target Market: Public Procurement Manufacturer: Phytohimiya Institute Country of Origin: Kazakhstan | New anticancer drug under clinical trials |
현지에서 유통되는 주요 항생제
1USD = 377.18 KZT as of 2019.06.24
| Item Name / Description | Country of Origin | Price (USD) |
| Flemoxin Solutab® / 250 mg / 20 pills | Yamanouchi / Netherlands | ~ 5.0 |
| Ciprolet® / 500 mg / 10 pills | Dr.Reddy`s Laboratories L / India | ~ 2.4 |
| Sumamed ® / 500 mg / 3 pills | Pliva Hrvatska d.o.o. / Croatia | ~ 11.6 |
| Zinnat / 125mg/5ml /50 ml suspension | Glaxo Wellcome / Egipt | ~ 8.0 |
| Ospamox / 125mg/5ml, 60 ml | Sandoz Pharmaceuticals / Austria | ~ 2.6 |
| Amoxiclav / 625mg | Lek Pharmaceuticals d.d. / Slovenia | ~ 12.7 |
□ 시사점 및 무역관 의견
ㅇ 제약산업은 빠르게 성장하는 산업 중 하나로 전망이 밝음. 작년 나자르바예프 전 대통령이 "국민의 건강한 삶을 위해 의료서비스를 개선하겠다."고 연설한 이래 해당 분야 많은 국고지원이 이루어지고 있음.
ㅇ 하지만, 아직까지 기술수준이 낮아 대부분의 의약품을 수입에 의존하고 있음. 특히 항생제, 항암제는 전량 수입으로 가격이 높게 형성되어 있으며, 국립암병원, 국가병원 등에서 국가입찰이 진행되기도 함.
ㅇ 의약품 진출 시, 직접투자보다는 현지의 주요 유통업자와 파트너십 계약을 맺고 제품을 납품하는 것이 유리
자료원: 카자흐스탄 통계청, 카자흐스탄 보건부, info.kz, kapital.kz, KOTRA 알마티무역관 자료 종합
'글로벌 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짧지만 강력한 쇼트클립, 중국 마케팅 시장의 대세로 부상 (0) | 2019.07.02 |
---|---|
2019 전북 CIS 사절단 참관기 (0) | 2019.07.01 |
제8회 모로코 플라스틱 산업 전시회 참관기 (0) | 2019.07.01 |
인도 동영상 스트리밍 서비스(OTT) 시장 동향 (0) | 2019.07.01 |
2019 충청북도 농식품 무역사절단 현장 인터뷰 (0) | 2019.07.01 |
- 멕시코
- 중국
- 호주
- 칠레
- 말레이시아
- 홍콩
- 에콰도르
- 코로나
- 자동차
- 이란
- 영국
- 리우
- 이집트
- 인도네시아
- 브라질
- 일본
- 독일
- 캐나다
- 브렉시트
- 스페인
- 삼성
- 필리핀
- 남아공
- 싱가포르
- 태국
- 베트남
- 이스라엘
- 전시회
- 화장품
- 프랑스
- 콜롬비아
- 터키
- 삼성전자
- 미얀마
- 리우올림픽
- 올림픽
- 인도
- 러시아
- 미국
- 네델란드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