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뢰할 수 있는 현지 파트너 선정이 가장 중요함 - - 국립병원과 직접 경쟁하기보다 만성병 등 틈새수요 겨냥해야 - □ 개요 ㅇ 한쿤(漢琨)중의병원은 2018년 8월 설립된 중일합자의 2급 사립 당뇨병전문병원임 * 중국은 병상 수, 의료설비와 정보화 시스템 수준에 따라 병원을 1~3급으로 구분함. 2급 병원은 병상 수가 100~499개이고, 내과, 외과, 소아과, 안과 등 치료를 제공할 수 있는 중소형 병원을 의미함 - 중국 파트너가 30%, 일본기업의 홍콩법인이 70%의 지분을 보유한 중일합자병원임 - 건축면적은 1만 4천 여㎡, 병상 수는 80개 일반 병상과 100개 투석병상(외래환자용) 등 총 180개 보유 - 당뇨병 전문클리닉 이외에도 외과, 산부인과, 피부과, 중의과(中醫), 소아과, 이비인..
- 2018년 체코 맥주 생산 및 수출 최대치 달성, 연간 1인당 맥주소비도 전년대비 증가 - - 펍에서 가정으로 맥주 소비가 이동하면서 병·캔맥주 수요 증가 - - 다양한 맥주 수요로 무알콜, 맛과 향이 첨가된 맥주, 수제맥주 인기 증가 - □ 2018년 체코 최대 맥주 생산 및 수출 달성 ㅇ 황금빛 라거의 효시인 필스너 우르켈이 탄생한 체코는 유럽 10대 맥주 수출국이며 세계 최대 1인당 맥주 소비량을 기록하는 맥주 강국임. 또한, 많은 체코인이 즐기는 맥주는 ‘흐르는 빵’에 비유되기도 할 정도로 체코 문화에서 빼놓을 수 없는 요소임. ㅇ세계 최대 1인당 맥주 소비국으로 알려진 체코에서도 맥주 소비는 2009년 154리터에서 최근 몇년간은 140리터대로 소비가 정체되는 추세이나, 2018년에는 병·캔..
- 2017년 9월 비처방 의약품의 온라인 판매 법안 승인 – - 러시아 최대 유통기업 X5 리테일, 의약품 온라인 판매를 위한 사업 제휴 – □ 러시아 의약품 판매 현황 ㅇ 동유럽 지역의 가장 큰 의약품 시장 - 시장조사기관인 러시아 DSM그룹에 따르면 러시아 의약품 시장은 2019년 1분기 1.7% 성장한 40억 달러(약 2,550억 루블)에 이를 것으로 전망되었음. - 2017년 이후 경제위기에서 벗어나면서 의약품 판매도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음. 러시아 의약품 판매 규모 및 전망 (단위 : 백만 달러) 년도 2016 2017 2018 2019b 2020b 2021b 2022b 2023b 의약품 판매 규모 13,721 16,584 16,525 16,562 17,162 18,623 20,127 21,..
- 3D 프린터는 향후 몇 년 내에 사용량 대폭 증가 예상 - - 프린터 수요는 늘고 있으나, 숙련된 전문 인력이 대거 부족 - □ 개요 ㅇ 시사지 EXAME에 따르면 3D 프린팅은 향후 몇 년 내에 사용이 대폭 증가 할 것으로 예상됨. - 3 D 인쇄는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는데, 현재로써는 기계를 능숙하게 작동할 수 있는 숙련 된 전문 인력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남. □ 세부 내용 ㅇ세계 경제 포럼 (World Business Forum) 2018 년 보고서에 따르면 조사에 참가한 브라질 기업 중 49 %가 2022 년까지 3D 프린팅에 투자 할 계획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 동 보고서에 따르면, 3D 프린팅 시장에 대해 가장 많은 투자를 계획하고 있는 분야는 항공교통 물류 분야이며 2위..
- 톈진 시정부, 최근 경제성장 부진 속 적극적인 산업 지원 정책 및 투자 확대 – - 장비제조, 항공우주 등 주요 산업 성장, 산업다변화 등 경제 성장 견인 기대 - □ 톈진 주요 경제지표 분석 ㅇ 2018년 톈진시 국내총생산(GDP) 1조 8809억 위안 달성 - 2018년 톈진시 국내총생산(GDP) 가치는 1조 8809억 위안으로 2017년 GDP 1조 8549억 위안 대비 1.4% 성장함 - 각 산업별 생산 가치는 1차 산업 172억 7100만 위안(0.91%), 2차 산업 7609억 8100만 위안(40.45%), 3차 산업 1조 1027억 1200만 위안(58.62%)임 - 특히, 2018년 기준 톈진의 서비스 산업 비중은 58.6%, 전체 평균 52.16% 보다 높지만 베이징(80.98%),..
- 필리핀 경제성장과 가계소득 증가로 주류시장 성장 지속세 - - 한류 열풍으로 한국 주류에 대한 관심 또한 증가 - □ 필리핀 주류 시장 동향 ㅇ 필리핀에서의 주류 소비물량은 2016년이후 큰 폭으로 증가함. - 2016년 24억 8230만 리터를 기록했으며 2022년에는 33억 5230만 리터로 6년간 약 11억 리터의 소비물량 성장 전망 - 주요 기업들의 현지 시장 맞춤 전략 및 2016년 이후 높은 경제성장 및 가계수입 증가가 주요 요인 필리핀 주류 소비액 증가 추이 (단위: 백만 리터) 자료원: 유로모니터 ㅇ 필리핀의 주종 별 소비패턴으로는 맥주 소비 성향이 가장 강하며 증류주가 그 뒤를 이음. - 맥주의 경우 2017년 기준 소비량이 20억 6820만 리터에 달해 타 주종에 비해 현저히 높으며..
- 잦은 전력 부족현상 발생, 미얀마 정부 전기요금 인상 - - 전력 관련 산업 투자진출 기회로 - ☐ 전기 요금 인상 배경 ㅇ 경제 개방 이후 전력 수요 증가 - 현재 미얀마의 전기 보급률은 2015/16 회계연도 34%에서 2017/18 회계연도에 44%로 10% 이상 증가 - 그러나 전력 수요가 공급보다 빠른 속도로 증가하여 공급증가에도 불구하고 매년 전기부족 사태는 상존 - 정부가 전기요금 인상을 발표하자 양곤전력공사, 만달레이전력공사 등 전력공급 기업들은 전기 계량기를 일반 시민들이 확인할 수 있도록 조치해 각 가정에서 전기 사용량을 정확히 알게하기 위해 조치를 시행하고 있음. - 미얀마의 전력난은 만성적인 현상으로 발전량이 절대적으로 부족하여 매년 전력이 부족하지만, 오히려 국가에서 전기요금에..
- 2019-20 연방정부 예산안 발표, Make in India를 필두로 기본관세 조정 - - 예산안 발표를 통해 강력한 Make in India 의지 표출 - □ Make in India(메이크 인 인디아) 실현을 위한 관세 조정 ○ 2019-20 연방정부 예산안 발표 - 5월 총선을 통해 재집권에 성공한 모디정부는 7월 5일(금) 인도 국회에서 2019-20 회계연도 연방정부 예산안을 발표하였음. - 이번 예산안은 인도를 제조업 중심지로 만든다는 메이크 인 인디아(이하, ‘Make In India’) 정책을 실현하기 위하여, 국방, 전기자동차, 재생에너지, 철강 및 화학 관련 품목의 관세를 조정하였음. ○ 관세조정 배경 및 내용 - 재무부 장관 ‘니르말라 시따라만(Nirmala Sitharaman)..
- 메인주 등 3개 주 스티로폼 용기 사용 금지법 제정 - - 기업들도 스티로폼 용기 사용 중단하고 친환경제품으로 대체 - □ 메인(Maine)주, 주정부 최초로 스티로폼 용기 사용 금지법 제정 ㅇ 자넷 밀스(Janet Mills) 메인주 주지사는 2019년 5월 폴리스타이렌 폼(스티로폼) 식품 용기의 사용을 금지하는 법에 서명함. - 주정부 차원의 스티로폼 식품용기 사용 금지법 제정은 메인주가 최초이며 2021년 1월 1일부터 발효될 예정 ㅇ 메인주는 보도자료를 통해 스티로폼 용기는 플라스틱으로 인한 환경 오염의 매우 큰 원인이라고 지적 - 스티로폼은 재활용 될 수 없고 마이크로플라스틱으로 부셔져 해양을 오염시키며 수십 년간 남아있다가 미세입자로 분해되어 환경을 오염시키고 결과적으로 식품 공급체인으로 ..
- 인도네시아 온라인 쇼핑몰에 부는 한류 열풍 지속으로 인해 한국 상품 꾸준히 입점 중 - - 인도네시아 온라인 쇼핑몰에서 인기 있는 품목은 패션의류, 전자제품, 패션의류, 뷰티, 헬스케어, 영유아제품 - □ 전자상거래 시장 성장 배경 및 규모 ㅇ 동남아시아 전자상거래 시장 꾸준히 성장, 구글-테마섹에 따르면 2018년 인도네시아는 동남아시아에서 전자상거래 총 거래액(GMV)이 가장 큰 국가임. ㅇ 인도네시아는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라인, 트위터, 유튜브와 같은 소셜미디어(SNS) 사용률이 굉장히 높음. 동시에 전자상거래, 라이드 헤일링, 핀테크와 같은 디지털 경제 열풍을 주도하는 핵심 산업들이 성장하고 있음. ㅇ 인도네시아는 세계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전자상거래 시장으로 주목받았음. 인도네시아 전..
- 호주
- 스페인
- 홍콩
- 일본
- 싱가포르
- 미얀마
- 올림픽
- 독일
- 콜롬비아
- 베트남
- 브렉시트
- 코로나
- 프랑스
- 인도네시아
- 삼성전자
- 삼성
- 미국
- 남아공
- 말레이시아
- 인도
- 중국
- 에콰도르
- 이란
- 브라질
- 전시회
- 태국
- 터키
- 화장품
- 영국
- 필리핀
- 캐나다
- 자동차
- 이스라엘
- 칠레
- 이집트
- 멕시코
- 러시아
- 리우올림픽
- 리우
- 네델란드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