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 현지 합작기업에 수출 품목 허가, 관련 분야 성장 기대 -
- 완화된 수출 규제로 인해 외국 기업 수출 가능 품목 확대 -
☐ 미얀마 상무부 공지
ㅇ 외국인 합작기업 수출 허가품목 공지
- 미얀마 상무부(Ministry of Commerce)는 Notification 24/2019를 통해 외국인 합작기업에게 일부 품목의 수출을 허가
- 해당 품목에는 고기, 생선 등 육어류, 가공된 농작물, 제지 및 제지용 펄프, 종자, 가공금속, 가공·완제품 과일, 목재가구 등이 포함.
- 수출 시 아래 조건을 갖추어야 하며, 관련 부처의 추천을 필요함. 또한 국내 생산자로부터 상품을 구입하는 외국 합작기업만이 수출 라이선스를 받을 수 있음.
- 미얀마 수출품 품질 향상 및 국내 생산 원료에 대한 수요를 늘리는 것을 목표로 함.
품목 | 비고 |
고기 및 생선 | 미얀마 농업축산부(Livestock Breeding and Veterinary Department) 및 수산부(Fisheries Department)의 추천으로 수출 라이선스를 신청할 수 있음. |
가공된 농작물 | - 모든 콩류, 옥수수, 깨는 가루 아니면 바로 먹을 수 있는 단계까지 가공하거나 껍질을 까서 포장 후 미얀마 식약청(FDA)의 승인 조건을 포함한 해당 기관의 승인을 받아 수출 가능 - 쌀 또는 파쇄미곡(싸라기) 수출 시 해외에서 현지 은행으로 최초 투자금 최소 3백만 달러 송금 내역, 쌀을 저장하기 위한 창고, 미얀마 미곡협회 회원 등의 조건을 갖추어야 함. |
제지 및 제지용 펄프 | 수출 라이선스 신청이 필요 없는 품목으로 지정하였으나 다른 수출 절차가 필요함. |
종자 | 종자법에 의해 농업부(Agriculture Department)의 승인을 받아 수출 가능 |
가공금속 | 해당 기관의 가공금속 거래 승인을 받아서 광업부(Mines Department)의 승인을 받은 후 수출 가능 |
가공·완제품 과일 | 식품법에 의해 해당 기관의 승인을 받아 수출 가능 |
목재 가구 | 천연자원 및 환경보전부(Ministry of Natural Resources and Environmental Conservation)의 승인을 받아 수출 가능 |
미얀마 품목별 수출 현황
(단위 : USD 백만)
품목 | 2013-14 | 2014-15 | 2015-16 | 2016-17 | 2017-18 | 2018 4~9월까지 | 2018-19 4월까지 |
농산물 | 2,661.011 | 2,919.658 | 2,615.774 | 2,928.097 | 3,087.123 | 1,278.758 | 9,812.118 |
수산물 | 516.042 | 421.042 | 469.522 | 581.526 | 699.043 | 298.144 | 495.983 |
광물 | 1,339.455 | 1,498.884 | 968.349 | 1,010.783 | 1,784.021 | 1,049.183 | 878.477 |
임산물 | 948.028 | 94.395 | 212.965 | 247.006 | 212.120 | 95.211 | 103.599 |
자료 : 미얀마 상무부(Ministry of Commerce)
주 : 2013-14 회계연도~2017-18 회계연도까지는 미얀마 기존 회계연도 기준 4월 1일부터 이듬해 3월 31일까지이며,
2018.4월~9월까지는 공백기간. 2018-19 회계연도부터는 2018.10월~2019.9월까지로 회계연도 변경
☐ 관련 품목 현황
◦ 농업은 미얀마 대표 산업
- 미얀마에서 농업(축산업 및 수산업 포함)은 GDP의 23.3%를 차지하고 있음. 2018년 미얀마 농산물 총 재배(Gross Area Sown) 면적은 50,526천 에이커, 순 재배 (Net Area Sown) 면적은 33,097천 에이커 규모
- 동일 토지를 여러 번 이용하는 다모작(Multi-cropping)이 일반적
- 미얀마는 농작물을 주로 아프리카, EU, 중국, 싱가포르, 말레이시아, 필리핀, 인도, 인도네시아 등으로 수출
- 콩, 과일, 깨, 옥수수, 캐슈넛, 양파, 마늘 등 농작물 수출이 전체 수출의 25%를 차지함. 중국 및 EU의 수요 증가로 인해 쌀 수출도 증가세를 보임.
- 미얀마 농산물의 품질 향상 및 수출 확대를 위해 2016년부터 농산물 우수관리제도 (GAP, Good Agricultural Practices)인증을 시작함.
ㅇ 수산물 시장 현황
- 미얀마 수산물 시장은 해양 어업과 민물 어업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해양 어업에는 내륙 및 해상 어업이 포함되며, 민물 어업에는 물고기 양식업이 포함.
- 수산물 수출량이 2011-2012 회계연도부터 6억 이상이었으나 2014-2015 회계연도부터 감소하고 있음.
- Rohu, Mrigal, Katla, Carfu, Catfish, Barbus 종류의 민물 생선을, 영국, 이탈리아, 프랑스, 키프로스, 네덜란드, 스웨덴, 독일 등으로 수출하고 있음.
- 현재 양곤, 에야와디, 따닌다리 지역에 약 120개의 냉동설비 가 있으며, 이중 23개는 EU에 수산물을 수출할 수 있는 기준 검사 절차를 통과
ㅇ 광물 시장 현황
- 미얀마는 동, 아연, 주석, 텅스텐, 석유, 보석류, 가공금속 등 풍부한 광물 자원을 보유하고 있음.
- 미얀마에서 광물 수출은 2014-2015 회계연도 14억 9,888만 달러에서 2015-2016 회계연도 9억 6,834만 달러로 감소.
ㅇ 임산물 시장 현황
- 미얀마는 2014년에 원목 수출을 일시 중단한 바 있으며, 2019년 6월 최근에 원목 수출을 재허가
- 미얀마 민간 산림 조림지에는 티크, 하드우드 등 산업용 작물이 재배되고 있으며, 약 300여개의 민간 목재 조림지가 있음.
2017-2018 회계연도 미얀마 수출 품목 비중
자료 : 미얀마 통계청(CSO)
품목별 한국의 대미얀마 수입 현황
(단위 : USD 천불)
품목 | MTI 3단위 기준 | 2016 | 2017 | 2018 | 2019.5 |
곡실류 | 011 | 9,331 | 11,948 | 9,198 | 3,153 |
어류 | 041 | 834 | 966 | 802 | 221 |
갑각류 | 042 | 1,240 | 1,418 | 2,318 | 1,023 |
목재류 | 031 | 1,513 | 1,611 | 2,206 | 676 |
종자류 | 017 | 2,184 | 887 | 1,503 | 320 |
농산가공품 | 016 | 25,974 | 19,682 | 22,438 | 9,886 |
자료 : 한국무역협회
☐ 미얀마 수출입 규제 변화
ㅇ 일부 품목의 무역업 허가 승인
- 미얀마는 경제 개방 초기에 현지기업에게만 수출입을 허가해 주었으나, 2015년 11월에 현지 기업과 합작기업에게 일부 품목의 수출입 허가 승인
- 당시 비료, 농약, 종자 등 농업분야 및 의료기기를 승인하였으며, 2016년에 건축자재를 추가로 승인
ㅇ 2015년 3월에 국가수출전략(NES) 설립
- 미얀마 수출입을 균등하게 하기 위해 미얀마 상무부는 2015-2019 국가수출전략(NES) 5개년 계획을 설립하였음.
- 쌀, 콩류, 수산물, 의류봉제, 임산물, 고무, 관광 등 7개 분야로 나누어서 중소·중견 기업의 수출 촉진을 목표로 하였음.
ㅇ 2020-2025년 국가수출전략(NES)
- 2020-2025년 국가수출전략(NES)에는 보석 및 장신구류, 과일 및 채소, 농산물·농산식품류, 공예품 등을 추가
- 고부가가치 상품들을 포함하면서 기존 2015-2019 NES보다 농식품 가공업 수출 촉진, 부가가치 제품 생산 향상 및 중소기업의 성장을 목표로 한 것으로 보임.
☐ 인터뷰 및 시사점
ㅇ Bayint Naung Commodity Market의 Secretary U Than Oo 인터뷰
- 합작기업의 수출품목 확대로 인해 외국 합작기업의 비중이 더욱 늘어날 것으로 전망되며, 국내 기업들과 경쟁이 심화될 것으로 예상함.
- 한편, 시장 내에 원자재를 구입하는 외국 합작기업이 증가하면 농민과 생산자들에게 좋은 기회로 보이며, 수출 원자재로 선택받기 위해 품질이 좋은 물건을 생산하려는 노력이 증가할 것으로 전망함.
- 단기적으로 원자재 가격이 증가하고, 수출제품 경쟁이 심화되는 등 미얀마 제조 기업에게는 타격이 발생할 것
- 하지만 장기적으로 미얀마 소비자의 후생이 증가하고, 미얀마의 수출경쟁력이 강화되어 미얀마 수출 역량이 확대될 것으로 전망
ㅇ 미얀마 상무부 Assistant Director U Thein Myint Wai
- 이번에 하가한 수출 품목들은 미얀마 국가수출전략(NES)에 포함되어 있으며, 앞으로 허가 품목이 확대가 될 것이라고 함.
- 정부는 장기적으로 국내 생산품의 부가가치를 높이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으며, 국내 농산물 품질 향상, 생산성 향상 계획을 세우고 있음.
- 향후 농업 분야에 대한 정부 투자가 늘어나고 있는 추세로, 농업을 고부가가치 수출산업으로 육성할 계획임.
ㅇ 수출 품목 확대 전망
- 미얀마는 만성적으로 외환보유고가 부족하고, 최근 해외투자까지 주춤하고 있음.
- 미얀마 정부는 이를 타개하고자 수출산업 육성에 관심을 기울이고 있음.
- 정부는 앞으로 현지 시장의 필요성, 국내 기업 발전, 대외교역 촉진, 수출 증가를 위해 외국 합작기업의 수출 품목을 확대해 나갈 것
- 특히 이번 조치로 인해 농업부문 활성화와 외국인 투자에도 긍정적인 영향이 미칠 것으로 기대됨.
- 외국인 무역업 할 수 있는 품목 확대, 수출 가능 품목 확대 등 미얀마 현지기업과 합작으로 외국 기업의 무역업 허가가 추가적으로 이루어질 것으로 전망됨.
- 특히 한국의 식품가공업체는 이번 조치로 인해 현지 생산공장 설립을 검토할 필요가 있음.
자료 : 미얀마 상무부(Ministry of Commerce), 미얀마 통계청(CSO), 한국무역협회, 언론자료 종합
'글로벌 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독일의 CSR, 기업의 사회적 책임 (0) | 2019.07.03 |
---|---|
불가리아 전기 자전거시장 트렌드 (0) | 2019.07.02 |
오데브레시 부패 스캔들 추가 폭로, 투명국가로 가는 밑거름 될까 (0) | 2019.07.02 |
짧지만 강력한 쇼트클립, 중국 마케팅 시장의 대세로 부상 (0) | 2019.07.02 |
2019 전북 CIS 사절단 참관기 (0) | 2019.07.01 |
- 콜롬비아
- 멕시코
- 이란
- 중국
- 에콰도르
- 인도
- 홍콩
- 호주
- 전시회
- 영국
- 이집트
- 인도네시아
- 터키
- 네델란드
- 일본
- 이스라엘
- 베트남
- 삼성
- 리우올림픽
- 프랑스
- 태국
- 말레이시아
- 독일
- 삼성전자
- 코로나
- 러시아
- 싱가포르
- 브렉시트
- 미국
- 스페인
- 브라질
- 올림픽
- 미얀마
- 리우
- 자동차
- 캐나다
- 화장품
- 남아공
- 칠레
- 필리핀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