닛산의 칼소닉칸세이 지분 매각 결정, 新 자동차 시대 개막- 완성차 메이커와 계열 부품업체로 구성되는 협력사업 모델의 종언 -- EV 및 전자화 된 자동차 등장에 따른 불가피한 산업구조 변화 - □ 완성차 메이커와 계열 부품업체로 구성되는 협력사업 모델의 종언 ○ 2016년 5월, 닛산의 계열 최대 규모 부품업체(Tier 1)인 칼소닉칸세이 지분 매각 방침이 언론을 통해 보도, 일본 자동차 업계에 파문을 일으킴. - 칼소닉칸세이의 닛산과의 거래 비중은 전체 매출의 80% 규모 ○ 부품사양 및 비용의 치밀한 조율을 위한 완성차 메이커와 계열 부품업체 간의 밀착된 사업모델은 그간 일본 자동차 산업 경쟁력의 저변으로서 기능해왔으나, 글로벌화 흐름 속에서 부품·모듈·차체의 공통화·표준화가 진행됨에 따라 계열 간..
성장 가속도 붙은 일본 환경산업, 사상 최대 105조 엔 기록- 신재생에너지 등 지구 온난화 대책 분야가 시장 전체 성장 견인 - □ 2014년 환경산업 시장 규모, 사상 최대 105조4000억 엔 기록 ○ 일본 환경성은 2014년 일본 환경산업 시장이 전년대비 1.3% 증가한 105조4000억 엔을 기록, 통계를 작성하기 시작한 2000년 이후 최대 규모를 기록했다고 최근 발표 - 이는 2000년 시장규모인 58조 엔보다 1.8배 확대된 규모 ○ 분야별로는 페트병 재활용 등 폐기물 처리∙자원 유효이용이 전체 시장의 43.5%를 차지하는 최대 시장 - 그 뒤를 지구 온난화 대책 시장(비중 35.8%), 환경오염 방지(12.9%), 자연환경 보전(7.8%) 분야가 잇고 있음. 일본 환경산업 시장규모(단위:..
日 도큐전철, 베트남에 전원도시 수출 - 국내에서 축적된 기술을 베트남에 수출, 일본 정부의 해외 인프라 수주 정책도 한 몫 - - 인구 감소로 내수시장 한계에 직면, 해외로 눈 돌려 - 도큐 전원도시 예상도자료원: 베가멕스사 □ 일본 도큐전철, 살기 좋은 전원도시 수출 ○ 최신 정보와 유행을 접할 수 있으며, 안전하고 쾌적하게 살 수 있는 일본의 도시. 이러한 편리한 도시 체계를 해외에 이식하려는 일본 기업의 시도가 세계 각지에서 시작됨. - 일본 국내에서는 개발 여지가 좁혀지는 가운데 철도, 상사, 전기, 소재기업은 고도 성장기에 축적된 경험이나 기술력을 바탕으로 새로운 분야를 개척, 거대 프로젝트 사업인 도시 인프라를 수출하고 있음. ○ 일본 도큐전철, 베트남에 거대도시 수출 - 호찌민에서부터 북으..
일본 농기계, 동남아 시장에서 판로 개척- 일본 국내 농기계 시장 답보상태 지속 –- 향후 농업의 기계화가 진행될 것으로 예상되는 동남아시장 선점으로 시장 확대 – □ 일본 농기계 시장 규모 ○ 일본의 농기계 시장규모는 2015년 총생산실적 기준으로 4697억1000만 엔 규모 - 일본의 농기계 시장규모는 총생산실적 기준, 2015년 4697억1000만 엔으로 2014년 5152억1800만 엔 대비 0.8% 감소했음. - 국내용 농기계 시장규모는 2015년 2889억4000만 엔으로, 2014년 3413억6200만 엔 대비 15.4%나 대폭 감소한 반면, 수출용 농기계 생산실적은 2015년 1807억7000만 엔으로 2014년 1738억5600만 엔 대비 4.0% 증가했음. - 일본의 국내용 농기계 시장..
ㅇ 일본 정부는 8월 3일 한국 및 중국산 수산화칼륨에 대한 반덤핑 관세 부과를 결정했다고 발표 - 이에 따라 2016년 8월 9일부터 5년간 한국산에는 49.5%, 중국산에는 73.7% 반덤핑 관세가 부과됨. ㅇ 앞서 일본 정부는 2016년 4월 9일부터 8월 8일까지 동 제품에 대해 잠정적 반덤핑 관세 부과해 옴. - 동 반덤핑 관세 부과는 2015년 4월 3일 일본 칼리전해공업회(아사히 글라스, 다이소 등 4개사 회원)가 한국과 중국에 대한 반덤핑 관세 과세 신청을 계기로 5월 6일부터 조사를 한 결과 결정됨. ㅇ 사진은 일본 정부가 발표한 정령으로, 기존 '잠정적 반덤핑 관세'를 '반덤핑 관세'로 바꿔, 2016년 8월 9일부터 2021년 8월 8일까지 부과한다는 내용임. 자료출처 : KOTRA ..
日 아베내각 최대 규모 28조 엔 경제대책 확정- 8월 임시 국무회의에서 ‘미래에 대한 투자를 실현하는 경제대책’ 확정 -- 일본 정부와 일본은행, 성장률 제고를 위한 아베노믹스에 다시금 박차를 - □ 미래에 대한 투자를 실현하는 경제대책 수립 개요 ○ 8월 2일 오후, 일본 정부는 임시 각의에서 사업 규모 28조1000억 엔 규모의 ‘미래의 투자를 실현하는 경제대책’을 결정 - 이는 재정지출 13조5000억 엔 등을 포함한 금융위기 이후 최대 규모의 경제대책사업 - 아베 수상은 임시 각료회의에서 “미래를 열어가기 위한 투자를 위해 힘차게 출발한다”고 강조 ○ 이번 대책의 큰 기둥은 ‘업무 방식 개혁’과 ‘산업구조 개혁’ - 육아나 개호의 체제 정비, 보육사와 개호 관련 직원의 임금 인상을 추진 - 육아..
일본 10대들, 히트상품 조사에서 한국 상품 1위로 뽑아- SNS를 중심으로 일본 10대들 사이에서 한국 상품 인기 확대 중 -- 큰 비용 없이 효과적인 홍보 가능 - □ 'U-19 히트 랭킹 2016' 조사 결과 ○ 일본 차세대 주요 소비층인 10대들 대상, 인기 상품 및 서비스 설문조사 - 최근 일본경제신문사는 10대 1000여 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정리한 'U-19 히트 랭킹 2016'을 발표함. - 최근 일본 10대들 사이의 유행은 한국과 마찬가지로 SNS을 통해 퍼지는 경향이 강한데, 스마트폰 앱, 메이크업 등 여러 분야에서 한국 제품이 순위에 이름을 올림. ○ 설문은 전문 조사회사인 '모니터즈'를 통해 도쿄의 15~19세를 대상으로 실시 - 200개의 후보 상품·서비스..
최근 엔화 강세와 日 경제·교역 동향- 日 민간기관 하반기 환율 전망은 달러당 95~108엔으로 엔고 지속 - - 엔화 강세로 일본 석유화학 업계 경기 악화 전망 -- 엔화 강세에 따른 일본 기업 해외조달 확대 움직임 적극 활용 필요 - □ 최근 엔/달러 환율 추이 및 일본 경제 전망 ○ 2016년 들어 세계 경제 불안, 안전자산 선호 심리 등으로 엔화 강세 분위기 형성 - 특히 브렉시트(Brexit) 관련 영국 국민 투표가 있었던 지난 6월 24일에는 일시적으로 달러당 100엔이 붕괴되기도 함. - 그러나, 참의원 선거(7월 10일) 결과 아베 정권 압승 이후 대규모 경기부양책이 논의되면서 엔화 강세가 주춤해, 최근에는 104~106엔대 - 한편, 대외적 요인으로 엔화 약세에 대해 비판적인 국제 시각도..
ㅇ 지진, 태풍 등 자연재해가 많은 일본은 재해, 재난에 대비할 수 있는 다양한 비상용품들이 있음. ㅇ 동 제품은 엘리베이터 내에 설치된 Emergency Box로, 지진 등으로 인해 엘리베이터 안에 장시간 갇혀있게 될 경우, 구조를 기다리는 동안에 내부에서 사용할 수 있는 비상용품들임. ㅇ 엘리베이터 안쪽 코너에 설치할 수 있게 돼 있고, 치수는 대·중·소로 구분해 엘리베이터 크기에 맞는 크기로 설치할 수 있음. ㅇ 내용물은 다기능 라디오, 비상식료, 비상용 음료수, 담요, 휴대용화장실, 구급 용품, 라이트 등임. ※ 아래 사진은 후쿠오카무역관이 입주해 있는 건물의 엘리베이터 내에 설치된 Emergency Box로, 지난 4월 구마모토 지진이 발생한 이후에 설치됐음. 자료출처 : KOTRA 글로벌윈도우
트렌드 선도 히트상품이 연잇는 일본 먹거리 시장- 상품의 구매·보유에 소극적인 청년층도 먹거리 최신 유행에만큼은 반응 -- 특히 여성을 중심으로 슈퍼푸드 등 다이어트·건강식이 인기 - □ 상품 구매·보유에 소극적인 청년층도 먹거리 최신 유행에만큼은 민감히 반응 ○ 임금 소득 비중이 높은 20대의 지갑 사정 개선 - 실업률 개선과 대기업을 중심으로 한 기본급 상승 효과가 상대적으로 높은 것이 20대 - 미쓰비시종합연구소의 mif 생활자 시장예측 시스템에 따르면, '2014년 대비 2015년 살림살이가 나아졌다'는 응답을 한 20대는 13%로 전체 세대 평균인 8%보다 5%p 높음. · mif(Market Intelligence & Forecast) 생활자 시장예측 시스템: 20∼69세 범위의 전국 3만 명..
- 에콰도르
- 러시아
- 멕시코
- 올림픽
- 독일
- 호주
- 이스라엘
- 브라질
- 남아공
- 일본
- 중국
- 인도
- 자동차
- 리우올림픽
- 화장품
- 이란
- 코로나
- 말레이시아
- 삼성
- 칠레
- 이집트
- 프랑스
- 영국
- 전시회
- 홍콩
- 캐나다
- 미국
- 스페인
- 인도네시아
- 미얀마
- 필리핀
- 네델란드
- 브렉시트
- 삼성전자
- 콜롬비아
- 태국
- 터키
- 싱가포르
- 베트남
- 리우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