ㅇ 전 세계적 인기 게임인 '포켓몬 Go'가 7월 22일부터 일본에서도 서비스 개시 ㅇ '포켓몬 Go'의 인기로 일본에서는 포켓몬이 주가 상승 및 개인 소비 증가 등 경제에 미치는 긍정적 영향을 강조한 「포케모노믹스(ポケモノミクス)」라는 신조어도 생김. - 전국 2900여 개 점포에서 「포켓몬Go」게임에 사용되는 도구를 손에 넣을 수 있게 하는 거점 서비스를 개시한 일본 맥도날드 주식 매매대금은 22일 사상 최고치인 517억엔 기록 - 닌텐도로부터 '포켓몬 Go'게임 운영을 위탁받은 DeNA 주가도 7월 초부터 상승, 22일 연중 최고치(2,849엔) 기록 - 특히'포켓몬 Go'는 통신 기능과 GPS 기능을 항상 사용하기 때문에 휴대 전화 배터리 소모가 심해서 보조 배터리 구매 증가도 기대됨. - 9월에..
일본 내 특허출원, 한국이 3위- 한국 12년 연속 일본 특허 多출원 국가 3위 -- 중국의 출원건수도 상승세 - □ 일본 특허청에 출원한 지식재산권 출원건수 한국이 상위권 ○ 일본 특허청에서 발간한 ‘STATUS REPORT 2016년’에 따르면, 한국은 일본 특허 출원 건수 기준 3위 - 일본 내 출원건수 기준 1위 미국(2만6501건), 2위 독일(6430건)에 이어 한국은 3위 5222건을 기록 출원인 국적별 출원건수 상위 10개국 지역(2015) 출원인 국적별 상표‧디자인 출원건수 상위 10개국·지역(2015)자료원: 일본특허청 ‘일본특허청 STATUS REPORT 2016’ ○ 상표와 디자인 출원건수도 상위권 - 상표 외국인 출원 건수 2만9323건 중 2145건으로 미국, 중국, 독일에 이어..
日, 어른의 동심 겨냥한 장난감 인기 - 하이테크 장난감, 트레이딩 카드게임 등 성장세 - - 확대되는 키덜트 시장 주목해야 - □ 2015년 일본 완구시장 규모 ○ 2015년 일본 완구시장 규모는 8003억 엔으로 전년대비 1% 감소 - 감소의 주된 이유는 2014년 장난감 시장 폭발적 성장의 기폭제였던 요괴시계 및 겨울왕국 등 캐릭터 상품의 인기가 한 풀 꺾였기 때문으로, 특히 요괴시계 열풍으로 대표된 남아 캐릭터 상품 시장은 전년대비 20.6% 감소 - 그럼에도 불구하고 2015년 완구시장 규모는 로봇 등 하이테크 장난감, 트레이딩 카드게임의 인기 부활 등이 견인차가 돼, 2년 연속 8000억 엔을 상회 최근 5년간 일본 완구시장 규모(단위: 억 엔)자료원: 일본완구협회 ○ 특히 하이테크 장난감 등..
후쿠시마 방사능 오염지역 본격 제염, 관련 제품 수요 증가- 귀환 곤란지역 제염작업 시작에 따른 제염 소모품 수요 증가 예상 -- 재사용 불가능한 제염작업용 소모품의 장기적인 대량 납품 가능 - □ 후쿠시마 광범위한 지역의 오염, 제염(除染) 사업이란? ○ 후쿠시마현 내 일부 지역은 2011년 3월 후쿠시마 제1원전 폭발 사고로 방출된 방사성 물질로 오염된 상황으로, 일본에서는 최근 이 오염지역을 정화하기 위한 제염(除染) 작업이 한창임. - 주로 토양 표면을 긁어내거나 산림에 쌓인 퇴적물을 제거하는 작업 중심으로 진행 - 2012년 1월, 제염에 관한 기본방침을 정한 '방사성물질 오염대처 특별조치법' 시행에 따라 제염사업 추진 본격화 제염특별구역 제염작업 진행 상황(2016년 5월 31일 기준)자료원:..
일본, 두 테마파크의 상반된 전략- 자사 브랜드 적극 활용해 기존 고객의 만족도 향상 꾀하는 '도쿄 디즈니랜드' -- 다양한 콘텐츠 끌어와 폭넓은 계층의 고객을 유도하는 '유니버셜 스튜디오 재팬' - □ 압도적인 일본의 존재감 속 성장하는 중국 테마파크 시장 ○ 아시아 인기 상위 10개 테마파크 중 4개 차지한 일본 - 미국 테마파크엔터테인먼트협회 조사에 의하면,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테마파크 상위 20곳의 2015년 입장객이 합계 1억3000만 명을 기록, 전년대비 6.9% 증가했음. - 그 중에서도 1, 2, 3위를 일본의 테마파크인 도쿄 디즈니랜드, 유니버셜 스튜디오 재팬(이하 USJ), 도쿄 디즈니 씨(Sea)가 차지해 아시아 테마파크에서 일본의 존재감이 두드러지고 있음. - 그 가운데 2014년 ..
한-일 공기압밸브 통상 분쟁, WTO 제소 절차 개시- 韓 ‘적절한 조치’ VS 日 ‘한국 제품과 경쟁관계가 아니다’ 입장 차이 -- 일본발 통상 압력 주의 필요 - □ 日, 한국의 반덤핑 관세 부과 조치 WTO 제소 ○ 일본 정부는 지난 6월 9일 일본제 공기압 밸브에 대한 한국 정부의 반덤핑(AD) 관세 부과에 대해 WTO에 제소, 7월 4일 1심에 해당하는 패널이 설치됨. - 이에 앞선 지난 4월 양국은 양자협의를 실시했으나, 적절한 조치라는 한국의 입장과 밸브의 용도가 다르기 때문에 경쟁관계가 아니라는 일본 입장의 간극이 메워지지 않았음. ○ WTO 패널의 검토 대상은 한국 정부에서 2015년 1월에 확정한 일본제 공기압 밸브에 대한 반덤핑관세 부과 조치 - 한국 정부는 2015년 8월 19일부터..
日 이토추상사, 파마바이오와 손잡고 재생의료산업에 진출 - 개정 약사법으로 대기업과 벤처기업의 재생의료 진출이 잇따라 -- 신규 먹거리분야로 주목 - □ 일본 재생의료 산업의 진출을 위해 이토추상사, 파마바이오가 제휴 ○ 일본 이토추상사(伊藤忠商事)는 2016년 사람의 세포 등으로부터 만들어지는 재생의료의 제품 개발에 본격 진출 - 이토추의 자회사로 의약품의 임상시험지원 서비스를 하는 에이스헬스케어(도쿄 분쿄구)는 의약품 제조수탁회사(CMO)인 파마바이오(나고야시)와 업무 제휴하기로 결정 - 의약품 수탁제조 벤처기업인 파마바이오의 기술 노하우를 활용, 사람의 세포를 이용해 상처가 난 장기나 조직을 치료하는 재생의료사업에 진출하기 위해서임. - 2019년까지 연간 사업규모 50억~100억 엔을 목표로 하고..
일본, 저출산·고령화 시대에 필요한 서비스는?- 타깃 취향 맞춤형 대행서비스에 주목 -- 일본 부유층 시니어 소비자 공략 - □ 가사대행 ‘BEARS’, 가사대행에서 육아·고령자 지원 서비스까지 ○ 일본에서 가사대행이나 가정부 파견을 이용한다고 하면 부유층에 한정된 일이라는 인식이 있었으나, 최근에 가사대행 내용이 다양화 돼 일반 가정에서도 손쉽게 이용 가능한 각종 서비스가 주목을 받고 있음. ○ 특히 일본에서는 보육원 부족으로 대기 아동 수가 많아 여성 사회진출의 걸림돌이 되고 있음. 희망하는 보육원에 입원시켜도 육아, 가사, 출퇴근 등 어린 아이가 있는 가정에서는 일손이 턱없이 부족한 것이 현실임. ○ 가사대행업계 TOP인 ‘BEARS’에서는 세분화된 다양한 가사대행 서비스를 마련 - 가사대행 종합서..
일본, 한층 더 고령화 사회로- 65세 이상 노인인구 비율 26.7% 세계 최고, 15세 미만 12.7% 사상 최저 기록 –- 65세 노인인구 비율, 전 도도부현에서 15세 미만 아동인구 비율 앞질러 –- 경제활동인구 59.8%로 2010년 대비 1.4% 하락 – □ 일본, 65세 이상 노인인구 비율 26.7%로 한층 더 고령화 사회로 진입 ○ 총무성이 6월 29일 발표한 2015년 인구조사 결과에 따르면, 65세 이상 노인인구는 2010년 대비 14% 증가한 3342만 명으로 사상 최대치를 기록함. - 총인구는 2015년 10월 1일 기준 1억2711만 명으로, 2010년 대비 94만7000명이 감소함. 아무런 인구 대책이 없을 경우, 2110년에는 4286만 명까지 감소할 것으로 예측함. - 노인인구..
일본 시세이도 화장품, 한국 제품 조달 희망- 화장품 OEM 메이커 및 펜 타입의 네일 제품 메이커 발굴 요청 -- 우수한 한국산 화장품 제품의 조달 검토 - □ 일본 최대의 화장품 메이커 시세이도(資生堂) ○ 1927년에 설립된 일본 국내 화장품 시장점유율 1위 업체이며, 세계 화장품 시장점유율은 5위 - 일본 및 해외에 9개의 연구개발소, 13개의 생산거점, 120개의 나라와 지역에 화장품 판매 전개 - 매출은 2015년 기준 7631억 엔 규모. 2020년에 1조 엔 매출을 목표로 글로벌 지향 시세이도 본사 타워 및 로고 자료원: 시세이도 홈페이지 ○ 다양한 사업을 통한 판매 확대 - 화장품, 미용식품, 의약품의 헬스케어 등의 제품을 개발 제조해 일본의 전국 백화점, 대형슈퍼, 드러그스토어, 화장품..
- 남아공
- 리우
- 터키
- 호주
- 인도
- 싱가포르
- 전시회
- 말레이시아
- 인도네시아
- 콜롬비아
- 일본
- 화장품
- 미얀마
- 브라질
- 삼성전자
- 독일
- 필리핀
- 러시아
- 네델란드
- 이집트
- 삼성
- 멕시코
- 자동차
- 영국
- 프랑스
- 홍콩
- 스페인
- 올림픽
- 중국
- 미국
- 리우올림픽
- 이스라엘
- 캐나다
- 태국
- 이란
- 브렉시트
- 에콰도르
- 베트남
- 코로나
- 칠레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