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 인수위와 전국 주지사 연합이 목록 작성, 발표 -
- 연방정부의 펀딩을 받기 위한 각 주의 경쟁이 치열 -
□ 인프라 개선에 대한 트럼프의 의지
ㅇ 트럼프 대통령은 후보시절부터 미국 내 사회기반시설에 대한 개선 및 신규 건설의 필요성에 대해 꾸준히 주장해왔음.
- 1조 달러에 달하는 대규모 투자를 통해 미국 내 낙후한 공공인프라 시설을 개선하고, 이를 통해 일자리 창출을 실행하겠다는 계획임.
□ 트럼프 인수위원회, 전국 인프라 위시리스트 접수
ㅇ 인수위는 이미 대통령 취임식 전, 전국 주지사 연합(National Governor’s Association)에 해결이 시급한 인프라 프로젝트 목록을 요청했음.
- 이에 전국 주지사 연합은 총 43개주(미국령 포함)에서 300여 개 인프라 프로젝트 ‘위시리스트’를 받아 1375억 달러 규모의 *50개 주요 인프라 프로젝트 리스트를 작성한 것으로 알려짐.
* 첨부 참조
트럼프 인수위의 주요 인프라 사업
| 프로젝트명 | 내용 | 분야 | 위치 | 규모 (십억 달러) |
1 | Gateway Program | 낙후 철도 재건 | 대중교통/철도 | 뉴저지 | 12 |
2 | The Brent Spence Bridge | 고속도로 혼잡구간 교량 건설 | 고속도로/교각 | 오하이오 | 2.5 |
3 | National Research Lab for Infrastructure | 국가연구소 개발 및 상업화 | 국가사업 | 오하이오 | 2 |
4 | Locks and Dams 52 and 53 on the Ohio River | 미시시피 강 댐 건설 | 내륙수로 | 오하이오 | 3 |
5 | I-95 Critical Highway Repairs | 95번 혼잡구간 차선 재건 | 고속도로 /교각 | 노스 캐롤나이나 | 1.5 |
□ 트럼프 정부의 프로젝트 선정 기준
ㅇ 트럼프 정부는 프로젝트 선정의 우선 기준으로 다음과 같은 기준을 내세웠음.
① 공공안전과 관련한 시급성
② 계획 및 설계 등 공사를 위한 초기 준비작업 최소 30% 완료(Shovel-Ready)
③ 일자리 창출
④ 미국 제조업 부양 기여도
- 이 리스트에는 오랫동안 논쟁이 오갔던 뉴욕과 뉴저지 사이의 허드슨 터널공사를 포함해, 각 주의 노후된 교량과 도로의 개보수사업, 철도와 공항 건설, 항공교통 관제서비스 개선사업, 전기 및 상하수도 공급망의 현대화 사업 등이 포함돼 있음.
□ 시사점
ㅇ 트럼프 정부의 인프라 구축 계획은 현재 양 당의 상·하원 모두가 그 필요성에 대해 동의하는 거의 유일한 사안임.
- 자금조달방법에 대한 불확실성으로 논쟁이 일기는 하나, 인프라 구축 필요성에 대해서는 국가 차원에서 합의가 이루어졌다고 볼 수 있음.
ㅇ 민간자본 유치를 통한 자금조달 계획, 우리 기업에는 기회
- 트럼프는 인프라 개선을 위한 자금조달방법으로 민간자본 유치가 절실하다고 주장하며, 민간에 파격적인 세제 혜택을 제공하는 방법으로 민간자본을 유치하고자 하기 때문에 해외기업의 미국 내 공공인프라 사업 참여가 확대될 수 있음.
ㅇ 우리 건설사들은 국책은행 등과의 컨소시엄을 통해 파이낸싱 경쟁력을 확보하는 것이 선결과제일 것임.
- 또한, 현지 중소 건설사와 기술 협력 등 제휴를 맺거나 전략적 M&A를 통해 연방정부는 물론 각 주와 지방정부에서 발주하는 프로젝트에 참여해 현지 사업 실적을 쌓는 등 다양한 진출방법을 모색해야 할 것임.
첨부:
1. 트럼프_인프라_프로젝트_50개_목록. xls
2. 상세 내용 링크: http://www.mcclatchydc.com/news/politics-government/white-house/article128492164.html
자료원: NewYork Times, McClatchy DC 등 현지 언론 및 KOTRA 워싱톤 무역관 자료 종합
'글로벌 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캐나다 인테리어 전시회, 트렌디한 집의 비밀을 말하다 (0) | 2017.02.01 |
---|---|
캐나다 인테리어 전문 전시회 현황 스케치 (0) | 2017.01.31 |
2017년 페루 신차 판매 전망 '매우 밝음' (0) | 2017.01.31 |
2016년 과테말라 철강시장 동향 (0) | 2017.01.31 |
러시아 식품시장, 아시아 음식 열풍 (0) | 2017.01.26 |
- 코로나
- 호주
- 멕시코
- 리우올림픽
- 러시아
- 이스라엘
- 콜롬비아
- 이란
- 인도네시아
- 브라질
- 화장품
- 필리핀
- 브렉시트
- 싱가포르
- 말레이시아
- 남아공
- 삼성
- 에콰도르
- 독일
- 터키
- 네델란드
- 일본
- 리우
- 미국
- 태국
- 베트남
- 스페인
- 미얀마
- 홍콩
- 프랑스
- 삼성전자
- 자동차
- 중국
- 칠레
- 영국
- 올림픽
- 인도
- 전시회
- 이집트
- 캐나다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