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내외 불안정한 변수 상존에도 경제 회복 및 상승 반전 기대 - □ 우크라이나 경제 상황 ㅇ 2014년 러시아의 크림반도 강제 합병 및 동부 내전 등으로 인해 우크라이나 경제 상황은 지난해까지 최악의 수준으로 떨어진 바 있음. - 2014년 GDP 성장률 마이너스 6.6% 기록에 이어 2015년 마이너스 9.9%를 기록 - 평균 환율은 2013년 1달러당 7.99흐리브냐에서 2015년 24흐리브냐 수준으로 3배 이상 폭락 우크라이나 주요 경제지표 구분 2014년 2015년 명목GDP(십억 달러) 133.5 90.6 실질GDP성장률(%) -6.6 -9.9 인구(백만 명) 45.2 42.8 1인당 GDP(달러, PPP 기준) 8,351 8,044 환율(흐리브냐/달러, 월말) 15.77 24.00 소비자물..
- 구 소련국 이미지 탈피 및 러시아 영향력에서 벗어나기 위한 시도 - □ 우크라이나의 FTA 체결 현황 ㅇ 우크라이나는 1994년부터 구 소련 국가들과 양자간 자유무역협정을 시작으로 전통적 우방인 CIS 국가 및 구소련의 영향력이 강했던 일부 동유럽 국가들과 무관세 협정을 맺어옴. ㅇ 그러나 2014년 유로마이단 사태, 러시아의 크림반도 강제 합병 이후, 우크라이나 내 친서방주의 정권이 들어서면서 우크라이나는 본격적으로 탈 러시아 정책에 드라이브를 걸기 시작함. ㅇ 특히 2016년 1월 1일 부로 발효된 EU-우크라이나 간 연합협정에 의거, EU-우크라이나 포괄적 자유무역헙정(DCFTA)이 발효되면서 우크라이나는 EU 세력권 가입을 위한 본격적인 행보에 나서기 시작 ㅇ 또한, 지난 7월에는 우크라이나-..
우크라이나, 온라인 공공조달 시스템 ProZorro 도입 - 2016년 8월부터 모든 우크라이나 정부기관은 ProZorro를 통해 공공조달 시행 - - 조달 과정에서의 부정부패 척결을 위한 우크라이나 정부의 노력 - □ 도입 배경: 정부 입찰 과정에 만연했던 부정부패 ○ 그동안 우크라이나 공공조달 분야는 행정·재정 낭비가 심한 부패의 온상으로 지적 - 이 플랫폼이 등장하기 전 우크라이나 내 공공조달은 온라인이 아닌 오프라인으로 이루어졌으며, 정보의 비대칭성, 각종 자금 횡령 등 행정 및 재정 낭비가 가장 심한 분야로 지적돼 왔음. ○ 2014년 당시, 우크라이나 총리였던 아르세니 야체뉵은 우크라이나 연간 공공조달 시장 규모가 2500억 흐리브냐(UAH)인데, 이 중 입찰 비용의 약 50%는 뇌물로 지출된..
우크라이나 B2C 전자상거래 시장, 유럽에서 가장 높은 성장세- 시장규모는 크지 않으나, 2015년에만 35% 성장세 기록 -- 전 유럽국 중 가장 높은 성장세, 향후 발전 가능성 매우 높아 - □ 빠르게 성장하는 우크라이나 E-Commerce 시장 ○「European B2C E-cmmerce Report 2016」에 따르면, 우크라이나는 지난 2015년 B2C 전자상거래 시장이 전년대비 35% 성장. 이는 전 유럽국 중 가장 높은 성장세 자료원: European B2C E-commerce Report 2016 ○ 2015년 우크라이나 B2C 전자상거래 시장에서 거래된 금액만 총 10억5800만 유로 기록 - 2014년 7억8400만 유로에 불과했던 것과 비교할 때, 매우 빠른 속도로 성장 중 ○ 동유럽..
러시아 vs 우크라이나, 제2차 무역분쟁 발발- 러시아, 자국 영토 경유 우크라이나 수출품 전면 제재 -- 우크라이나의 대중앙아시아 수출에 직격탄이 될 전망 - □ 사건 배경 ○ 2014년 유로마이단 사태 이후, 우크라이나에는 친러시아 성향의 야누코비치 정권이 무너지고, 친서방주의를 표방하는 포로셴코 정권이 들어섬. ○ 이와 동시에 러시아의 크림반도 강제 합병, 우크라이나 동부 지역 내전 발발 등 우크라이나-러시아의 관계는 극으로 치닫기 시작 - 우크라이나 정권은 친러시아주의를 버리고, 본격적으로 친서방주의 정책을 강화. 2020년 EU 가입을 목표로, 지난 1월 우크라이나-EU 간 DCFTA가 발효되기에 이름. ○ 지난 1월, 러시아는 이에 대한 보복 조치로 우크라이나와의 자유무역협정 중단, 우크라이나..
우크라이나 인증제도 UkrSEPRO에 관한 모든 것, A to Z □ 우크라이나 인증제도「UkrSEPRO」란? ○ 우크라이나를 비롯한 전 세계 대부분의 나라에서는 자체 인증 제도를 통해 제품의 생산 과정과 품질을 점검하고 있음. UkrSEPRO는 2005년 2월 1일 국가표준법 제28호에 따라 우크라이나 정부가 고안한 독립적인 품질 인증제도로, 우크라이나 내 제품 판매를 위해서는 이 인증을 받도록 돼 있음. ○ 우크라이나 품질 인증 관할기관은 Ukraine State Committee for Technical Regulation and Consumer Policy(우크라이나어 약자를 따서 'DSSU'라고도 불림)임. - 공식 명칭(우크라이나어): Деажавний комітет України з пита..
- 프랑스
- 홍콩
- 남아공
- 터키
- 캐나다
- 인도
- 콜롬비아
- 영국
- 코로나
- 에콰도르
- 이집트
- 올림픽
- 말레이시아
- 삼성전자
- 브렉시트
- 스페인
- 미국
- 이스라엘
- 필리핀
- 독일
- 베트남
- 네델란드
- 브라질
- 중국
- 일본
- 러시아
- 리우올림픽
- 삼성
- 미얀마
- 멕시코
- 호주
- 이란
- 전시회
- 리우
- 태국
- 자동차
- 칠레
- 싱가포르
- 인도네시아
- 화장품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