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6년 수입규모 250억~260억 달러 예상, 전년대비 감소 - - '17년에도 벨라루스 수입경기 침체 계속 이어질 듯 - - 산업재 중심으로 공공조달 납품을 통해 벨라루스 수출 확대 노려야 - □ 벨라루스 수입시장 규모 전년에 비해 감소, 내년에도 회복은 어려울 듯 ㅇ 벨라루스의 대외 수입규모는 '15년에 289.8억 달러. '13년 416억8000만 달러, '14년 385억3000만 달러에 비해 급격히 줄어든 수치 - 서방의 대러시아 경제제재 조치로 인해, 러시아의 경제적 동맹국인 벨라루스에도 여파가 미친 점이 대외 수입 감소의 가장 큰 이유 - 아울러, 만성적인 외환부족 현상 또한 벨라루스의 대외 수입 감소의 주요한 이유 중의 하나로 작용하고 있음. ㅇ 벨라루스 정부는 차관도입 등을 통해 만성..
- 벨라루스 최대 유통체인망 KORONA로부터 들은 현지 식품시장 진출 전략 - - 냉동식품, 인스턴트 식품 중심으로 벨라루스 식품시장 문 두드려볼 시기 -□ 한국 식품의불모지, 벨라루스식품 시장 ㅇ 다양한 종류의 한국 식품이 러시아에서 많이 유통되고 있는 것에 비해, 러시아와 인접한 국가인 벨라루스에서는 한국 식품을 찾아보기 어려움. ㅇ 초코파이, 과자류 등 러시아에서 직접 생산되는 한국 기업의 식품이 일부 유통되고 있기는 하지만, 벨라루스는 한국 식품 진출의 불모지라고 할 수 있을 만큼 한국 식품기업에게는 생소한 국가임. ㅇ 우리나라에서 벨라루스로 수출된 식품 관련 수출통계를 살펴보면, 실질적으로 벨라루스에 수출되는 한국산 식품은 거의 없다고 봐도 무방한데, 벨라루스에 대한 전체 수출에서 식품류가 차..
- 벨라루스, 올해 들어 WTO 가입으로 정부정책 급선회 - - 정부 통제의 계획경제 중심에서 탈피, 시장의 자율경쟁 확대될 듯 - □ WTO 가입을 주저했던 벨라루스 ㅇ 벨라루스 정부자료에 따르면, 벨라루스 국내 제조기업 중 70%가량이 정부의 관리하에 있는 일종의 국영기업임. - 벨라루스는 고용안정, 물가조정 등을 위해 정부 주도의 계획경제 시스템을 강력히 운영 - 외국자본의 투자유치에 열을 올리는 한편, 보호무역을 위한 다양한 우회적인 방법을 취해왔음. · 2010년 5월 25일, 투자유치 및 민영화 전담기관인 'National Agency of Investment & Privatization' 설립 · 일부 수입제품에 대해서는 수입쿼터 적용, 수입제품의 시장가격 인하 결정 시 가격 재조정 필요성을..
벨라루스에서는 어떻게 광고를 해야 효과적일까?- 성장하고 있는 온라인 광고시장을 주목하라 - □ 벨라루스 최근 광고시장 동향 ○ 최근 5년간 벨라루스 광고시장은 꾸준히 성장하다가 2015년에 잠시 주춤한 상황. 그러나 2016년에 다시 회복될 것으로 전망됨. - 2014년 이후 러시아 경제위기에 따라 벨라루스 경제도 2015년 마이너스 성장 ○ 벨라루스 잡지사 협회장에 따르면, 현재 벨라루스 광고시장의 구조가 변하고 있다고 함. - 기존 광고시장의 대부분은 TV, 옥외 광고가 차지하며 온라인 광고시장은 매번 순위권 밖이었지만, 최근 온라인 광고는 TV 광고에 이어 2위를 차지하면서 점점 온라인 광고와 TV광고의 격차는 좁아지고 있는 추세. 실제로 15세 이상 광고 시청자들 중 TV광고는 약 600만 명,..
벨라루스 프랜차이즈 산업은 성장 중- 외식업, 소매업이 주를 이뤄 - □ 벨라루스 프랜차이즈 산업 현황 ○ 벨라루스는 다른 나라들에 비해 조금은 늦은 2006년부터 프랜차이즈 사업이 시작돼, 이후 매년 프랜차이즈 수가 늘어나는 추세를 보이고 있음. - 아직까지 벨라루스 내 프랜차이즈 산업이 크게 발전했다고 말할 순 없지만, 대형 쇼핑몰 수 증가가 결국 프랜차이즈 수까지 늘리는 결과를 가져옴. 가장 소득수준이 높고 인프라가 잘 형성돼 있는 수도인 민스크에 주로 집중돼 있으며, 특히 민스크 중심가인 немига(니미가)에서 많이 볼 수 있음. 초반에 프랜차이즈 산업의 벨라루스 시장 진출이 어려웠던 이유 중 하나는 좋은 자리 부족 및 그로 인한 높은 임대료 때문 ○ 현재까지 벨라루스 프랜차이즈 협회에 등록된 ..
벨라루스 화장품시장, 불황 모르고 성장 중- 안티에이징 제품 특히 인기 - □ 시장 개요 ○ 벨라루스 화장품 시장 규모는 최근 5년간 꾸준히 성장하고 있음. 향수, 제모제, 구강용품 등을 포함하는 벨라루스 화장품 시장은 작년 6조7000억 루블(약 3억4000만 달러)을 기록해 최근 5년 만에 약 5배 증가 ○ 화장품 시장 내 모든 품목이 전체적으로 성장 중. 그 중 향수, 헤어케어, 남성 미용용품이 가장 큰 부분을 차지했으며, 이는 작년 기준 가장 많이 성장한 품목이기도 함. 품목별 시장 규모 (단위:십억 루블) 2011년2012년2013년2014년2015년Baby and Child-specific Products82.8103.9124.4148.0181.8Bath and Shower340.0484.35..
- 말레이시아
- 리우
- 베트남
- 미얀마
- 터키
- 인도네시아
- 이란
- 싱가포르
- 칠레
- 프랑스
- 태국
- 멕시코
- 콜롬비아
- 독일
- 에콰도르
- 호주
- 남아공
- 이집트
- 중국
- 스페인
- 코로나
- 이스라엘
- 삼성
- 홍콩
- 브라질
- 영국
- 전시회
- 삼성전자
- 브렉시트
- 자동차
- 화장품
- 일본
- 캐나다
- 인도
- 필리핀
- 리우올림픽
- 네델란드
- 미국
- 올림픽
- 러시아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