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니어가 소비의 주체가 되면서 기호에 따라 선호하는 제품도 다양 -- 의료기기에 비해 상대적으로 비용 부담이 덜한 건강식품에 대한 수요 지속 증가 - □ 시니어 비즈니스의 성장 ○ 고령인구 증가에 따른 새로운 비즈니스 기회 - 중국 국가통계국에 따르면 2018년 기준, 중국의 65세 이상 인구는 1억 6658만 명으로 전체 인구(13억 9538만 명)의 약 11.9%를 차지함. - 노인 인구가 점차 증가하면서 이들의 수요에 맞춘 제품과 서비스도 점차 중국 전역으로 보편화되는 추세이며 중국 내에서는 실버산업(银发产业) 또는 양로산업(养老产业) 등으로 통용되고 있음. - 당분간 고령인구의 증가 속도는 점차 가속화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에 노인 인구가 주체적으로 참여하는 시니어 비즈니스의 수요도 확대될 것..
- 중국 커피시장, 원두커피·핸드드립 등 커피수요 고급화 추세 -- ‘친환경’은 중국 커피업계에서 선택이 아닌 필수 -- 비주얼의 중요성 날로 부각 - □ 개요 ㅇ ‘2019 중국 국제 커피전시회’가 지난 8월 30일부터 9월 1일까지 3일 간 베이징에서 개최됨 - 총 400개 업체가 참가했으며, 이 중 50여 개사는 외국기업 - 전시면적은 3만 ㎡ 규모로 참관객 수는 7만여 명에 달함 - 커피 원두, 커피 머신이 주를 이뤘으며 포장 패키지, 디저트 등 다양한 제품이 전시됨 행사명 2019 중국 국제 커피 전시회(China Cafe Show) 일시 2019년 8월 30일~9월 1일 장소 베이징 국제엑스포센터(구관) 규모 참가기업 수 400개 사, 관객 수 7만여 명, 전시면적 3만 ㎡ 홈페이지 http:..
- 일본의 안전보장 무역관리제도의 이해 -- 일본에서 수입 시 우리기업의 유의해야 할 점 - □ 일본은 한국을 화이트국가에서 제외하는 조치를 8월 28일부로 시행 ㅇ 8월 2일 일본 정부는 한국을 화이트국가에서 제외하는 각의 결정을 하였음. - 일본 정부는 지난 7월 1일 대한국 수출관리 강화조치를 발표하며 한국을 화이트국가에서 제외하는 것에 대한 대국민 의견을 7월 1일부터 24일까지 수집하였음. 그 결과 약 40,666건의 의견이 접수 되었고 이 중 찬성 비율이 95%를 초과하였다고 발표함. - 이에 따라 일본 정부는 수출무역관리령의 정령을 개정하여 8월 28일부터 한국을 화이트국에서 제외, 보다 엄격한 수출관리를 시행하였음. □ 일본의 안전보장 무역관리제도란? ㅇ 먼저 화이트국가에서 한국이 제외됨으..
- 외환 규제 시행으로 현지 기업들의 외화 구입 및 해외 송금에 중앙은행 허가 필요 - - 아르헨티나 기업과 거래 시 송금 가능여부 확인 필요 - ㅇ 아르헨티나 정부는 예비 대통령선거(2019.8.11.) 이후 외환시장 변동이 심해지면서 시장을 안정시키기 위해 외환규제를 실시함. - 정부는 페소 가치의 급격한 하락을 막기 위해 외화 구매를 제한함. - 수출기업의 경우 해외에서 얻은 소득을 아르헨티나로 무조건 송금해야 하며, 일반 기업이 외화를 사거나 해외로 송금하기 위해서는 아르헨티나 중앙은행의 허가가 필요함. - 또한 사업자가 아닌 개인이 달러를 구매할 경우 한 달에 1만 달러까지 제한을 뒀음. - 해당 조치는 올해 말까지 적용할 예정임. ㅇ 정부는 외환규제 정책과 관련해 달러 인출에 대한 규제는 없..
- 극우와 포퓰리즘의 연정 백지화로 조기 총선 위험 대두 - - 오성운동당과 민주당의 새로운 연정 속 안정적 경제정책 수행 기대 - □ 이탈리아, 조기 총선 위험 사라져 ㅇ 이탈리아 포퓰리즘 정당인 오성운동당은 중도좌파인 민주당과의 연정에 합의하며 새로운 연정정부 출범 - 2018년 5월 총선 직후 구성된 오성운동당과 동맹당의 연정정부가 1년 2개월만에 붕괴되며 지난 8월 20일 주세페 콘테 총리가 사임을 발표하는 등 조기 총선의 위험이 대두됨. - 이탈리아 정국의 불확실성이 유럽 전체로 퍼져 유럽 증시가 폭락하는 등 혼란에 빠졌으나 대통령의 중재 하에 오성운동당과 민주당의 연정정부 출범이 확정되며 발빠른 조기수습에 성공함. ㅇ 오성운동당의 지지율 회복과 새로운 정치 파트너 민주당의 부활 - 집권과 함께..
- 공유오피스 2017년 대비 150% 증가, 전체 신규 사무실 임대차 중 10% 차지 -- 최근 글로벌 공유오피스 업체 프라하 진출, 부동산 개발 업체도 컨셉 브랜드로 공유 오피스 사업 진출 - □ 프라하 공유오피스 현황 ㅇ 기존의 사무실과 달리 단기 임대가 가능하고 공용시설을 포함한 유연한 공간사용, 관리와 편의서비스도 제공하는 공유오피스(Coworking office)가 최근 빠르게 증가하는 추세임. 공유오피스 센터는 체코에 2009년부터 운영되기 시작했으며, 현재 글로벌 비즈니스가 활성화된 프라하에는 약 50개의 공유오피스 센터가 운영 중임. - 부동산 컨설팅 회사 CBRE에 따르면 프라하의 공유오피스 임대차 규모는 2017년 2만5000㎡에서 현재 6만5000㎡로 150% 증가한 것으로 나타남...
- 명랑핫도그 총판권으로 캄보디아 제 1호점 열어 -- 가능성이 충분한 블루오션이라 판단되어서 캄보디아 창업 결정 -- 열린 눈으로 시장을 바라보는 것이 중요하며, 기본적인 언어 능력과 현지 상황에 맞게 대처할 수 있는 융통성, 새로운 것에 도전하는 무모함도 필요하다고 생각 - 최근 캄보디아 F&B(food & beverage) 시장의 성장에 따라 캄보디아 시장 진출에 대한 한국 기업 및 개인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이에 캄보디아로 창업, 진출을 준비하는 예비 청년창업가 분들의 시장이해를 돕고자 브랜드의 총판권으로 창업을 하는 사례와 자신만의 브랜드로 창업을 하는 사례 인터뷰를 두 차례로 구성하였습니다. (인터뷰) 캄보디아 프놈펜 F&B계의 라이징스타(1) - 명랑핫도그 프놈펜점 김용훈 대표 (20..
- 홍콩지식산권국, 올해 안에 새로운 특허 체제인 '원수특허제도(Original Grant Patent)' 도입 예정 -- 위조품 단속을 위해서는 상표권 출원과 별개로 홍콩해관에 ‘보호등록(Recordation)’ 신청 필수 - □ 행사 기본 정보 ㅇ 행사 개요 행사명 홍콩 진출기업 대상 지식재산권 설명회 개최 일시 2019년 8월 21일(수) 11:00~13:40 장소 Grand Hyatt Hong Kong, SalonIV 주최 주홍콩총영사관, KOTRA 홍콩무역관, 홍콩한인상공회 연사 ㅇ 홍콩지식산권국((Intellectual Property Dept), Senior Solicitor ㅇ 홍콩해관(Customs&Excise Dept) Senior Inspector ㅇ 자문로펌(Kim&Company) ..
- 존슨 총리의 의회 정회 결정으로 노딜 브렉시트 가능성 고조 -- 브렉시트 불확실성으로 지난 2분기 경제성장률, 2012년 이후 처음 마이너스 성장(-0.2%) 기록 -- 영란은행도 2019/2020년 경제성장 전망치 하향 조정 - □ 영국 신임 총리 취임 이후 브렉시트 진행 상황 ㅇ 브렉시트 강경파 보리스 존슨 정부 출범 - 메이 총리의 보수당 대표직 공식 사임 이후 집권 보수당 당대표로 보리스 존슨이 선출됐으며 7월 24일부로 총리직 자동 승계 - 존슨 총리는 브렉시트 강경파 중심으로 내각을 전면 교체함. - EU와 브렉시트에 대한 합의를 위해 노력할 것이나, 재협상 결과에 관계없이 영국은 10월 31일에 반드시 EU 탈퇴한다는 입장을 내세움. ㅇ 존슨 정부 브렉시트 대비 동향 - 총리, 국무조정실..
- 2019년 6월 저장성 항저우 '종합 보세구' 지정 비준 통과 – - 종합 보세구 주최 크로스보더 입점 유치 포럼에서 최근 크로스보더 온라인 시장 정책 및 법률 이슈 소개 – □ 포럼 개요 ㅇ 개요 및 내용 요약 포럼 사진 자료원: KOTRA 항저우무역관 직접 촬영 - 이번 포럼은 항저우 수출가공구가 항저우 종합보세구로 승격함에 따라, 크로스보더 업계 활성화를 위해 개최되었음. - 관련 정책에 대한 해설과 크로스보더 산업 생태계 구축 및 수출입 활성화를 주제로 발표가 진행됨. 행사명 2019 크로스보더 글로벌 입점 유치 포럼(2019跨境全球招商峰会) 일시 2019년 7월 26일(금) 13:00~17:00 장소 Crowne Plaza Hangzhou HEDA 주최 기관 항저우 종합보세구 관리사무소 행사..
- 이란
- 삼성전자
- 네델란드
- 브라질
- 프랑스
- 캐나다
- 코로나
- 일본
- 인도
- 영국
- 호주
- 말레이시아
- 자동차
- 삼성
- 러시아
- 남아공
- 리우올림픽
- 이집트
- 태국
- 필리핀
- 싱가포르
- 베트남
- 중국
- 독일
- 올림픽
- 이스라엘
- 전시회
- 터키
- 리우
- 칠레
- 인도네시아
- 미국
- 화장품
- 콜롬비아
- 스페인
- 홍콩
- 브렉시트
- 미얀마
- 멕시코
- 에콰도르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