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 중국 내 반려동물 시장 확대에 맞춰 펫캠과 같은 ICT 기술 활용 반려동물 용품 인기 -

- 체험 위주의 팝업스토어 운영, 펫숍과의 프로모션 등 마케팅 방법 다양화 필요 -

 

 

 

□ 펫캠 개요

 

  ㅇ 펫캠이란 IoT를 기반으로 한 스마트 홈 보안 카메라의 한 종류임.

    - 스마트 홈 보안카메라는 CCTV 등 전통적인 보안 카메라의 기능을 넘어 인터넷 프토토콜(IP)을 바탕으로 스마트 디바이스와 연동해 실시간으로 영상을 전송하고 확인할 수 있는 점이 특징임.

    - IoT기술이 진화하면서, 단순히 CCTV 기능만이 아닌 먹이주기, 놀아주기, 건강체크 등 의 다양한 기능을 탑재한 펫캠들이 출시되고 있는 추세임.

 

□ 중국 반려동물 시장 개요

 

  ㅇ 중국 반려동물 시장 규모 큰 폭으로 성장

 

2010~2020년 중국 반려동물 시장 규모 및 성장률

EMB000012804779

자료원: 고우민왕(狗民網), DT띠엔샹(DT)&난쉰소프트웨어(寻软). “2017 중국 반려동물 보고서

 

    - 2018년 기준 중국의 반려동물은 약 2억 마리로 집계되며 전 세계 상위권을 차지하고 있음.

    - 중국의 경제활동인구 중 50세 이상은 1011만 명으로 이 중 30%가 넘는 사람이 반려동물을 키우고 있음.

    - 중국의 반려동물 산업 전체 규모는 2010140억 위안에서 지난 20171340억 위안으로 약 10배 가까이 성장함. 2020년에는 1885억 위안을 넘어설 전망임.

    - 2010년부터 2016년까지 반려동물 산업의 복합 성장률(CAGR)49.12%에 달하는 등 시장수요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음.

    - 2016년 중국 반려동물용품 수입액은 3589천달러이며 중국 반려동물용품 2개년 간(2015~2016) 수입 평균성장률은 0.78%로 전 세계 수입 성장률 5위를 기록함. 세계 평균 수입 성장률은 0.29%.

    - 2018년 반려동물의 종류별 점유율을 보면 개(29.3%), 고양이(26.5%), 어류(33.3%),조류(3.5%) 등으로 나타나고 있음.


□ 쓰촨성 반려동물 시장 현황

 

  ㅇ 쓰촨성 반려동물 시장은 현재 발전단계

    - 쓰촨성 반려동물 시장의 규모는 약 60억 위안으로 연간 35%의 성장속도를 보임.

    - 2011년 이래, 쓰촨성 반려동물 가정 수는 매년 15~20%씩 증가하고 있으며, 쓰촨성의 관련 시장규모가 중국 서부에서 가장 큼.

    - 2017년 기준 쓰촨성 청두시 소재 반려동물 병원은 420여 개, 관련 미용서비스 기업은 700여 개소임.

    - 청두에는 현재 약 2백만 마리의 반려동물이 있는 것으로 조사됨. 또한 주요 반려동물 번육 기지로서 매년 약 15만 마리의 개를 다른 도시로 판매함.

 

IoT시장의 성장

 

  ㅇ 펫캠과 밀접한 관계인 사물 인터넷(IoT) 시장이 꾸준히 성장하고 있음.

 

스마트홈 시장규모 현황

EMB00001280477b

자료원: 전망산업연구원(前瞻産業硏究院)

 

    - 중국 스마트홈 시장규모는 계속해서 증가하는 추세로 오는 2023년 스마트홈 보안 카메라 시장은 97억 달러 규모로 성장할 전망임. 2016년 세계 영상감시 시장이 241천만 달러를 보였던 것과 비교하면, 이보다 4배 이상 증가하는 수치임.

    - 사물 인터넷(IoT) 시장은 2017년 약 1700억 달러에서 2022년에는 5610억 달러로 증가하여 연평균 성장률이 26.9%에 달할 예정임.


□ 중국 펫캠 주요 제품

 

중국 펫캠 주요 제품 및 특징 

제품 사진

제품명

제품 특징 및 가격

EMB00001280477c

EMIE(小桔)

- 반려동물 배식 기능

- 핸드폰 연동 감시 기능

가격: 299위안

EMB00001280477d

FURBO

- 핸드폰 연동 감시 기능

- 주인음성 전달 기능

- 반려동물 배식 기능

- 함께 놀아주기 기능

가격: 1,411위안

EMB00001280477e

PETALENT(派泰)

- 자동 움직임이 가능한 감시 기능

- 레이저 포인트로 놀아주기 기능

- 핸드폰을 이용한 주인 음성 전달 기능

가격: 1,599위안

EMB00001280477f

링롱마오()

- 반려동물 배식 기능

- 핸드폰 연동 감시 기능

가격: 479위안

EMB000012804780

샤오미(小米)

- 가정용 무선 와이파이기능

- 핸드폰을 이용한 감시 기능

- 적외선 감지 기능

가격: 329위안

자료원: 타오바오(), 티엔마오(天猫)

 

□ 시사점

 

  ㅇ 우리 기업은 중국의 반려동물 관련 제품 및 서비스산업이 전자상거래, 반려용품 전문점, 동물병원 등을 주 마케팅채널로 활용되고 있어 체험 위주의 팝업스토어, 공항 광고, 반려동물 관련기업과 프로모션을 통한 진출방식 검토가 필요함.

    - 최근 중국에서 IoT 와 같은 신소재, 신유통 열풍이 고조되면서 체험 위주의 팝업스토어 마케팅이 더욱 활발하게 진행되는 추세임. 소비자들이 직접 체험해 볼 수 있도록 기계를 빌려주고 이후에 반납하는 서비스, 혹은 반려동물을 매장에 함께 데려와 직접 체험해 보는 펫캠 팝업스토어를 유치하면 더욱 효과적인 마케팅이 가능함.

    - 팝업스토어는 비교적 쉽게 소비자의 이목을 사로잡을 수 있으며, 상품의 특성에 맞는 마케팅이 가능하여 고객들의 호기심을 유발시키고, 브랜드를 강하게 어필하는 것이 가능함.

    - 공항 광고의 경우 노출대상이 내ㆍ외국인 등 국적과 연령대가 다양하여 높은 주목성, 글로벌 브랜드 인지도 확보, 넓은 타깃층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음.

    - 특히 반려동물 용품 중 펫캠과 같은 제품군은 소비자가 오프라인 매장에서 선호도, 차이점 등의 정보를 얻고 주로 온라인을 통해 실 구매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오프라인 매장과의 프로모션을 통해 일정 커미션을 제공하고 제품의 브로셔를 배치하는 등의 홍보 진행도 효과적임.

 

  

작성자: 정재하(청두무역관 유학생 서포터즈 1기)


자료원: Jun. “중국 반려용품 시장을 주목하라”, DT띠엔샹(DT)&난쉰소프트웨어(寻软). “2017 중국 반려동물 보고서”, 고우민왕(狗民網), 중국 국가통계국, UNCOTMARADE, 관세청, 청두샹바오(成都商), 전망산업연구원(前瞻産業硏究院), Research and markets, 한국무역협회(KITA), 타오바오(), 티엔마오(天猫) 등



자료출처 : KOTRA 해외시장뉴스(경제 무역)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