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 2019년 2분기, 실업률 19.2%로 2018년 대비 실업률 증가 -
- 젊은 층을 중심으로 실업률이 높은 편으로 요르단 정부의 주요 해결 과제 중 하나 -
□ 요르단의 고용 및 실업 현황
ㅇ 요르단은 제조업의 발달이 미비하여 주로 서비스/영업직 분야의 취업 비율이 높음.
- 이런 이유로, 정부는 주로 관광 및 의료 분야 육성 및 고용 창출에 힘쓰고 있음.
- 요르단 통계청이 발표한 2019년 상반기 요르단 연간 보고서 자료에 따르면, 요르단 내 전체 경제활동 인구 중 서비스/영업직 종사자의 비율은 31.6%로 가장 높음.
2019년 상반기 요르단인 직종별 종사자 비율
(단위 : %)
직종 | 직종별 비율 | 요르단 남성 | 요르단 여성 |
관리직 | 0.4 | 0.1 | 1.4 |
전문직 | 26.9 | 18.9 | 62.3 |
기술직 | 6.0 | 5.2 | 9.6 |
사무 보조직 | 5.1 | 4.9 | 6.2 |
서비스/영업직 | 31.6 | 36.4 | 10.7 |
농업/산림관리/수산업 | 1.4 | 1.6 | 0.7 |
무역업 | 12.5 | 14.5 | 3.6 |
플랜트/기계조립 | 9.6 | 11.7 | - |
단순노무직/기타 | 6.5 | 6.7 | 5.5 |
총합 | 100.0 | 100.0 | 100.0 |
자료 : 요르단 통계청
ㅇ 최근 몇 년 동안 요르단의 실업률은 굉장히 높으며 이는 요르단 경제에 도전적인 수준임.
- IMF의 자료에 따르면, 2000년대 말부터 2010년대 초 요르단의 실업률은 평균 12%대를 유지하였으나 2015년을 기점으로 꾸준히 실업률이 증가하여 2019년 상반기에는 19.2%에 도달
- 특히 젊은 연령대(15-24세)의 실업률은 약 43.0%에 달하는데, 세계평균 21.2%와 비교하면 매우 높은 수준
최근 5년간 요르단 2분기 실업률 동향
(단위 : %)
자료 : 요르단 중앙은행
ㅇ 요르단 정부는 실업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음.
- 요르단 정부는 최근 2019년 2월 런던에서 열린 런던 이니셔티브 2019에서 요르단의 경제 성장, 투자, 일자리 활성화를 위한 5개년 계획을 발표하여 청년 일자리, 여성 취업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발표한 바 있으며 현재 기술 학교 운영 등을 통해 전문 인력 양상을 위해 노력 중
□ 요르단 노동 시장 급여 수준
ㅇ 2019년 3월 기준 요르단의 법정 최저임금은 월 220 JD(약 310달러) 수준
- 그러나 실제로는 법정 최저임금에 못 미치는 급여를 받으며 일하는 근로자가 상당히 많은 것으로 추정
- 2017년 요르단의 전문 직종의 경우 월 188시간을 근무하고 916달러에 해당하는 급여를 수령하는데 이는 고위공무원/입법 사무직을 제외한 직종 중 최고 수준임.
- 기술 직종 역시 노동시간은 평균 이하이며, 급여는 평균 이상으로 집계
2017년 집계 월평균 노동시간 및 급여
(단위 : 달러)
직종 | 노동시간 | 급여 |
고위공무원/입법 사무직 | 199 | 1,975 |
전문직 | 183 | 916 |
기술직 | 204 | 738 |
사무 보조직 | 194 | 668 |
서비스/영업직 | 235 | 442 |
무역업 | 223 | 528 |
플랜트/기계조립 | 215 | 453 |
단순노무직/기타 | 208 | 467 |
총 평균 | 208 | 773 |
자료 : 요르단 통계청
□ 요르단 내 외국인 채용 현황
ㅇ 요르단 내 외국인은 보통 건설 현장, 공장, 농장, 호텔 등 서비스직이나 단순노무직에 종사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전문직, 기술직, 사무 보조직 등은 소수에 불과
- 요르단 통계청의 자료에 따르면 2019년 2분기 요르단 내 외국인 근로자들의 업종별 비율은 서비스 및 영업직, 단순 노무 분야가 약 60% 이상을 차지
2019년 2분기 외국인 직종별 종사자 비율
(단위 : %)
직종 | 직종별 비율 | 외국인 남성 | 외국인 여성 |
관리직 | - | - | - |
전문직 | 2.7 | 1.7 | 12.2 |
기술직 | 1.7 | 1.8 | 0.4 |
사무 보조직 | 0.7 | 0.6 | 1.9 |
서비스/영업직 | 51.5 | 55.9 | 10.4 |
농업/산림관리/수산업 | 4.5 | 4.9 | 0.3 |
무역업 | 21.5 | 23.4 | 3.1 |
플랜트/기계조립 | 2.0 | 2.2 | - |
단순노무직/기타 | 15.5 | 9.5 | 71.8 |
총합 | 100.1 | 100.0 | 100.1 |
자료 : 요르단 통계청
□ 전문가 의견
ㅇ 요르단 내 채용 관련 기업 담당자 M 씨에 따르면, 요르단 내 외국인 노동자는 이집트, 방글라데시, 시리아가 대부분을 차지
- 현재 요르단에서 근무하는 외국인 노동자들은 이집트 출신 근로자들이 약 17만 명으로 가장 큰 비율을 차지하고 있으며, 방글라데시가 약 5만 명, 시리아가 약 3만 명으로 그 뒤를 잇고 있음.
- 현재 요르단에는 약 120만 명의 외국인 근로자들이 활동하는 것으로 추정되나, 이중 합법적으로 등록된 근로자들은 약 32만 명에 불과한 실정임.
- 특히 요르단은 건설 부문에 있어 불법 외국인 근로자들에게 크게 의존하고 있음.
□ 요르단 내 한국인 채용 현황
ㅇ 요르단에는 13개의 한국 기업이 진출해 있으며 이들이 요르단 내 한국인 채용에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다고 볼 수 있으나 본사에서 인원을 파견하는 경우가 많으며 현지 채용 TO는 한정적
요르단 지상사 진출 현황
연번 | 기업명 | 형태 | 진출 연도 | 기타 |
1 | LG전자 | 법인 | 1991 | 가전 판매 |
2 | 삼성전자 | 법인 | 1992 | 가전 판매 |
3 | 제일기획 | 법인 | 2014 | 광고 및 기획 |
4 | 한전 QEPC | 법인 | 2009 | 발전소 건설 및 운영 |
5 | 한전 AAEPC | 법인 | 2012 | 발전소 건설 및 운영 |
6 | 남부발전 | 법인 | 2009 | 발전소 운영 |
7 | 한전 FWPC | 법인 | 2015 | 발전소 건설 및 운영 |
8 | 대한풍력발전 | 법인 | 2006 | 발전소 건설 및 운영 |
9 | 코오롱글로벌 | 법인 | 2001 | 하수처리시설 건설 |
10 | 한전 KPS | 지사 | 2013 | 발전소 운영 |
11 | LG화학 | 지사 | 2010 | 의약품 |
12 | 포스코 인터내셔널 | 사무소 | 1982 | 종합품목 |
13 | 위니아대우 | 사무소 | 1998 | 가전 생산 및 판매 |
자료 : 코트라 암만 무역관
ㅇ 한국인 중 일부는 요르단 내 국제학교나 국제기구에서 근무하기도 하며, 외국계 기업에 취업한 경우도 드물게 존재
- 요르단에는 약 2,000개의 외국계 기업들이 진출해 있음.
ㅇ 이 밖에도 한국인이 운영하는 소규모 사업장(여행사, 민박 등)도 채용 수요가 있으나 소수에 불과
□ 시사점
ㅇ 현재 요르단의 외국인 근로자들은 요르단보다 경제 수준이 비교적 낮은 국가 출신들이 대부분이며 일자리 역시 단순 노무직에 집중된 실정임. 따라서 요르단의 물가와 경제 수준을 고려할 때 한국 최저임금 이상의 임금 수준을 충족시키는 일자리는 요르단에 진출한 국제 기업 및 기구 또는 한국 기관 및 기업 등을 제외하고는 사실상 전무하다고 볼 수 있음.
- 현재 요르단의 대학교에도 한국어 전공생들이 배출되고 있는데, 국내의 구직자들에 비해 임금경쟁에 있어 상당히 유리한 입장
ㅇ 따라서 요르단에서 근무하고자 한다면 현재 진출해 있는 기업들이나 향후 진출 예정인 기업을 위주로 전략을 세우는 것이 바람직
자료 : 요르단 타임즈(썸네일), 요르단 통계청, 요르단 중앙은행, IMF, 코트라 암만 무역관 등
'글로벌 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 경기, 꾸준한 확장세 이어가고 있으나 소득격차는 50년래 최대 (0) | 2019.11.21 |
---|---|
2019 LA 스타트업 생태계 2편: 동향 및 전망 (0) | 2019.11.21 |
스위스 섬유시장 동향 및 고품질, 친환경소재 제품 진출전망 (0) | 2019.11.20 |
그리스 채소·과일 농업 시장 성장세에 따른 종자 수입 증가 전망 (0) | 2019.11.20 |
현지 헤드헌터가 바라보는 싱가포르 채용시장 (0) | 2019.11.19 |
- 미얀마
- 브라질
- 코로나
- 인도네시아
- 이집트
- 호주
- 일본
- 인도
- 삼성전자
- 네델란드
- 말레이시아
- 올림픽
- 에콰도르
- 영국
- 프랑스
- 필리핀
- 브렉시트
- 자동차
- 터키
- 베트남
- 독일
- 미국
- 전시회
- 싱가포르
- 콜롬비아
- 스페인
- 삼성
- 이스라엘
- 리우
- 러시아
- 캐나다
- 중국
- 멕시코
- 이란
- 칠레
- 홍콩
- 태국
- 남아공
- 화장품
- 리우올림픽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