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 우크라이나 커피 시장경기회복세와 더불어 3년 연속 상승 추세 이어가 -

- 커피문화의 확산으로 on-trade sales 크게 증가, 중저가 브랜드 커피 선호도 높아 -

 

 

 

□ 품목개요

 

품목명

HS Code

커피

0901

 

   ㅇ 선정사유: 우크라이나 커피 시장 3년 연속 증가

 

□ 시장현황 및 트렌드

 

우크라이나 커피 수출입 동향(HS CODE 0901)

(단위: 천 달러)

구분

2016

2017

2018

수입액

94,629

106,600

128,403

수출액

918

1,073

1,767

자료원: ITC TRADE MAP

 

   ㅇ 우크라이나 커피 수입/수출액은 매년 꾸준히 성장하고 있음.

 

    - 2018년 우크라이나 커피 수입액은 전년대비 20%, 수출액은 65% 증가.

    - 2014년 우크라이나 동부 내전 발발 이후 2016년부터 경기 회복세에 진입하면서 커피시장도 뚜렷한 회복세를 보이고 있음.

    - 크림반도 합병 이전까지만 해도 러시아는 우크라이나의 주요 수출국 중 하나였으나, 교역이 중단된 이후부터는 이탈리아와 폴란드산 커피로 수입처를 대체하기 시작함.


   ㅇ 커피 및 커피숍에 대한 소비자들의 인식 변화 역시 판매량 상승에 기여.

 

     - 기존에는 커피 소비의 대부분이 오프트레이드 형태였으나, 다양한 coffe shop/house의 등장으로 커피문화가 확산되었고, 이에 따라 온트레이드 형태의 소비도 증가하고 있음.

     - 커피 소비문화가 집, 직장 등에서의 단순 카페인 섭취를 위한 것에서, 만남, 모임을 위한 수단으로서의 소비로 확대되는 추세임.

     - 그러나 대다수의 소비자들이 가격에 민감하게 반응하기 때문에 아직까지는 오프트레이드 형태의 소비가 지배적이며, 프리미엄 브랜드 보다는 좋은 품질의 중저가 브랜드 커피가 주로 소비되고 있음.


□ 경쟁동향

 

   ㅇ 소비자들이 커피를 소비할 때 가격에 가장 민감한 만큼, 대부분의 기업들이 중저가 브랜드 제품을 내세우고 있으며, 각 기업간 경쟁은 가격 및 프로모션, 광고 등에 치중되어 있음.

 

   ㅇ 오프트레이드 커피 시장은 Jacobs Ukraine, Nestle-Ukraine, Stauss Ukraine, Fes Ukr 4개의 글로벌 기업이 주도하고 있음.

 

기업명

시장점유율(%)

Jacobs

37.5

Nestle-Ukraine

21.3

Strauss Ukraine

12.9

Fes Ukr

5.1

자료원: Euromonitor

 

   ㅇ 온트레이드 시장의 경우, 글로벌 커피 체인 현재 우크라이나 시장에 진출하지 않고 있음.

 

     - 스타벅스의 경우, 가격적인 요인으로 우크라이나 시장에서는 경쟁력이 없을 것으로 판단하여 온라인 스토어만 운영하고 있음.

 

□ 시사점

 

   ㅇ 우크라이나 소비자들의 입맛을 사로잡기 위해서는 맛뿐만 아니라 가격적 메리트 있어야함.

 

    - 현지 커피 취급 기업 관계자에 따르면, 온트레이드 형태의 커피소비가 증가함에 따라 2018년 키예프에 50여개의 coffe shop이 오픈함.

    - 이처럼 소비자들은 다양한 용법으로 제조된 커피를 접하게 됨에 따라 드립커피, 콜드브루, 니트로 커피 등 다양한 제품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음.

    - 특히 우크라이나인들은 균형잡힌 산미와 풍미있는 맛의 중남미산 커피를 선호하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파악됨.

 

자료원 : Euromonitor, ITC TRADE MAP, 현지언론, KOTRA 키예프 무역관 자체자료 종합



자료출처 : KOTRA 해외시장뉴스(통상 규제)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