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보드카 QR코드 확인은 필수, 불법 보드카와 전쟁 중인 러시아
- 최근 3년간 불법 제조된 보드카 수 빠르게 증가 -
- 주세 및 보드카 가격 인상으로, 저렴한 보드카에 대한 수요와 공급 동시에 늘어나 -
- 러 정부는 주류 판매 시스템 도입 등을 통해 불법 보드카를 막기 위해 노력 중 -
□ 2016년 7월 1일부터 러시아 내 모든 주류는 QR코드로 관리
○ 러시아 정부는 지난 2016년 6월 30일, 자국 내 유통 및 판매되는 모든 주류에 QR코드를 도입, 관리한다고 발표
- 이에 따라 러시아 내 모든 주류 판매소는 2016년 7월 1일부터 ‘주류 구매’뿐 아니라 ‘판매’에 대해서도 그 기록을 국가 시스템인 ЕГАИС(Единая государственная автоматизированная информационная система, 국가단일자동정보시스템)'에 의무적으로 남기게 됨.
○ 러 주류관리청에 따르면, 현재 러시아 내 허가를 받고 공식 등록된 주류 판매점은 21만 개 이상
- 이중 약 23%인 약 5만 개는 주류 판매가 가능한 식당이며, 나머지는 마트, 가게 등인 것으로 나타남.
- 이들 정보(허가번호, 가게명 등)는 2016년 6월 30일 부로 ЕГАИС 시스템으로 전송 완료된 상태. 2016년 7월 18일 기준, 주류 판매점의 시스템 설치는 96%까지 완료됐고, ЕГАИС 서버로 넘어온 데이터는 총 6억1831만847건
○ 한편, 주류 등록에 대한 ЕГАИС 시스템은 이미 2006년부터 운영돼 왔음.
- 다만, 이때까지는 주류 판매점이 도매상 등으로부터 주류 시에만 관련 데이터를 등록하게 돼 있었음. 그 이후 최종 소비자로 언제, 얼마에 판매되는지에 대한 데이터는 전혀 관리되지 않고 있었음.
○ 점점 러시아 내부에 가짜 보드카가 많아지자 러시아 정부는 보드카 ‘판매’에 대해서도 본격 관리를 시작하게 된 것
- 실제 2011년부터 러 주류감독청 주도로 모스크바 근교 상점 1만5000개를 대상으로 한 ЕГАИС 시범 운영에서 판매 중인 보드카의 평균 20% 이상이 불법 제조된 것으로 나타남.
□ 러시아를 대표하는 술, 보드카
○ 보드카는 알콜도수 40%의 무색, 무취, 무미의 술
- 주 원료는 국가마다 차이가 있지만 밀, 감자, 보리 등. 색이 없고 향이 나지 않으며, 고유의 맛이 없어 칵테일 베이스 등으로 많이 활용됨.
○ 한편, 여러 학설이 있지만 보드카 자체는 러시아어로 물을 뜻하는 ‘вода'로부터 유래됐다고 보는 경우가 많음. 또한, 러시아의 화학자 Dmitry Mendeleev가 ’물과 알콜의 결합‘에 대한 박사 논문을 준비하던 중, 물에 43%의 에탄올을 섞을 경우 사람이 마시기 이상적인 주류가 된다는 것을 우연히 발견하게 됐고, 그 이후 도수가 조금씩 조정돼 현재와 같은 40%로 정착됐다고 함.
○ 이미 1431년에 러시아에서는 보드카라는 용어를 문서 등에서 사용하기 시작했으며, 폴란드의 경우 이미 1405년에 ‘보드카’라는 용어를 사용한 기록이 남아있는 것으로 알려짐.
자료원: www.yandex.ru
○ 러시아의 많은 문학작품 등에도 보드카는 빠지지 않는 소재였으며, ‘겨울에는 추워서 마시고 여름에는 더워서 마신다’ 등의 러시아 속담처럼 보드카를 빼놓고 러시아를 이야기하기란 어려울 정도
□ 시중 보드카의 20%가 위조?
○ 2015년 10월 26일, Alexander Khloponin 부총리 주도로 러 연방 재무부, 관세청, 주류관리청 등 관련 부처가 작성한 ‘러시아 내 알콜산업 발전을 위한 전략(Дорожная карта для алкогольной отрасли)' 문서에 따르면, 연간 러시아 국민 1인당 알코올 소비량은 11~12ℓ
- 러 정부는 2018년까지 이 수치를 10.6ℓ 내외로 낮춰 간다는 계획
○ 이 문서에 따르면 러시아 내 생산된 불법 보드카의 비중이 20%를 상회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러 정부도 적극적인 대책을 마련하고자 함.
- 불법으로 위조된 보드카는 대부분 공업용 에틸 알코올을 사용해 잘못 마실 경우 신체에 위해
자료원: 러시아 통계청, 러 연방 관세청 등
○ 불법 보드카 제조가 늘어나면서 러시아 정부에 들어오는 주세 수입 또한 줄어들고 있기 때문
○ 즉, 러시아 정부의 이번 ‘러시아 내 알콜산업 발전을 위한 전략’은 ① 불법 제조된 보드카를 줄여 국민 건강에 위해한 요소를 줄이는 것뿐 아니라, ② 이를 통해 주세를 안정적으로 확보하고자 하는 목적
- 2015년 러 정부가 거둬들인 주세는 총 2790억 루블 수준이며, 이 중 절반이 넘는 1462억 루블이 보드카, 코냑 등 알콜 함량이 높은 품목으로부터 걷힌 것. 나머지 1302억 루블의 주세는 맥주 제조 등을 통한 것
러시아 내 불법 보드카 비중 (단위: %) | 러 정부의 주세 예상액 (단위: 십억 루블) |
□ 왜 위조된 보드카가 많을까?
○ 러 주류감독청 자료에 따르면, 러시아 전역에서 보드카를 비롯한 에틸 알코올이 포함된 주류를 생산, 보관, 공급할 수 있는 정식 허가업체는 67개뿐
- 이렇게 주류를 생산할 수 있는 허가증은 대략 950만 루블 정도이며, 러 정부에 의해 관리되고 있음.
- 보드카 생산허가를 가지고 있는 67개 업체는 대부분 중앙연방관구(14곳), 북카프카즈연방관구(23곳), 볼가연방관구(12곳)에 몰려있으며, 무역관 소재지인 극동연방관구에는 전무함.
- 다만, 연해주 및 하바롭스크주에는 알콜 제품 생산허가를 받은 업체는 각 2곳이 있는 것으로 파악
○ 한편, 러 정부는 2009년부터 보드카 최소 소매가격을 지정해 관리해왔는데, 매년 보드카 가격이 인상되는 추세
- 러시아 경제위기가 본격화됐던 2015년의 경우 전년대비 보드카 소매가격이 15.9%까지 낮아지기도 했으나, 2016년 6월 13일부로 러시아 정부는 보드카 소매가격을 다시 5루블 인상
- 러시아 사람들이 주로 마시는 보드카 평균가격대가 250~400루블 내외인 것을 감안하면 크게 높은 것은 아니지만, 그럼에도 실질임금 등이 하락하는 시점에서 조금 더 저렴한 보드카에 대한 수요는 줄어들지 않고 있음.
○ 또한, 러 정부는 매년 보드카 등 생산 주세를 인상하고 있어 주류 생산자들도 부담을 느끼는 상황
연도별 보드카 최소 소매가격 (단위: 루블) | 연도별 보드카 등 생산 주세 (단위: 루블) |
| |
자료원: 러시아 주류감독청 |
○ 이에 가격이 저렴한 보드카를 찾는 시민들과 생산 주세 부담을 회피하고 싶은 공급자의 수요가 맞물려 불법 생산된 보드카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남.
- 물론 이러한 기회를 틈타, 정식 생산허가가 없는 업체들이 기존 상표 등을 위조해 값싼 보드카를 생산하는 경우도 많은 것으로 파악
- 특히 러 주류감독청 자료에 따르면, '기존 상표를 위조한 보드카 판매건수‘가 2014년 858건에서 2015년 1053건으로 크게 증가
□ QR코드로 불법 제조 보드카 100% 확인이 될까?
○ 러 주류감독청의 ЕГАИС 시스템은 만약 2D 스캐너로 보드카 병 내 부착된 바코드를 읽었을 때 서버에 자료가 없는 불법 보드카로 판명됐을 경우 계산대에서 계산이 아예 불가능함.
- 바코드 번호를 입력한다는 등의 방식으로도 처리가 불가
ЕГАИС 시스템 운영 원리
○ 소비자들은 병뿐 아니라 영수증에 나온 QR코드 확인을 통해 보드카 진위 여부를 확인할 수 있음.
□ 시사점: 한국 주류에도 조금씩 관심
○ 러시아 국민의 일상 속 제품 중 하나인 보드카의 위조가 늘어나면서 불법 제조의 위험이 없는 기타 주류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음.
○ 실제 World Trade Atlas 등에 따르면, 주류와 관련된 HS Code 2208.90(소주 등)의 경우 2013년까지 대러 수출이 미미하다가 2014, 2015년 각각 5만9940달러, 6만5902달러의 수출을 기록
○ HS Code 2206.00(발효주)의 경우에도 최근 대러 수출이 조금씩 나타나고 있음.
○ 보드카를 비롯해 와인, 맥주, 코냑 등 전 세계 다양한 주류의 각축장인 러시아 시장이지만, ‘위조 없는 진품’ 등의 이미지 등을 활용해 러시아 주류 시장에도 관심을 가져볼 필요가 있음.
- 다만, 수출허가 등 러시아로 주류를 들어올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 및 파트너 물색 등에 대해서도 전략적으로 접근해야 할 것
자료원: 러 연방 주류감독청, 현지 언론기사, 바이어 면담 및 KOTRA 블라디보스톡 무역관 자료 종합
'글로벌 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저평가된 중국 홈쇼핑시장 현황은? (0) | 2016.07.25 |
---|---|
中 아웃도어시장, 후얼다이를 공략하라 (0) | 2016.07.25 |
브라질, 알레르기 예방을 위한 식품성분 표기 강화 (0) | 2016.07.24 |
러시아 진출의 새로운 방안, 프랜차이즈 (0) | 2016.07.24 |
상하이 디즈니랜드타운 내 한국브랜드 입점현황 (0) | 2016.07.24 |
- 미얀마
- 호주
- 홍콩
- 태국
- 콜롬비아
- 이란
- 올림픽
- 영국
- 미국
- 스페인
- 브렉시트
- 전시회
- 인도
- 독일
- 러시아
- 삼성
- 삼성전자
- 리우올림픽
- 이스라엘
- 코로나
- 리우
- 중국
- 말레이시아
- 인도네시아
- 남아공
- 프랑스
- 필리핀
- 화장품
- 싱가포르
- 일본
- 캐나다
- 에콰도르
- 베트남
- 자동차
- 칠레
- 이집트
- 터키
- 브라질
- 멕시코
- 네델란드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