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2016년 6월 대루마니아 수출, 8.6% 증가
- 수입은 10.1% 감소, 5년 만에 흑자 기록 -
□ 교역동향
○ 2016년 6월, 한국과 루마니아 교역액은 수출 8.6% 증가, 수입 10.1% 감소를 기록하면서 총 5억7420만 달러를 기록함. 수출은 2억9400만 달러, 수입은 2억8020만 달러로 무역수지는 1380만 달러 흑자를 기록함.
한-루마니아 수출입 동향
(단위: 백만 달러, %)
구분 | 2010년 | 2011년 | 2012년 | 2013년 | 2014년 | 2015년 | 2016년 6월 |
수출 | 456.4 | 463.3 | 438.7 | 439.4 | 597.9 | 538.6 | 294.0 |
수입 | 240.2 | 371.3 | 660.3 | 745.1 | 642.3 | 614.7 | 280.2 |
교역 규모 | 696.6 | 834.6 | 1,099.0 | 1,184.5 | 1,240.2 | 1,153.3 | 574.2 |
무역수지 | 216.2 | 92.0 | -221.6 | -305.7 | -44.4 | -76.1 | 13.8 |
자료원: 관세청 통관 기준
□ 수출
○ 2016년 6월 한국의 대루마니아 수출은 전년동기대비 8.6% 증가한 2억9404달러를 기록함.
- 합성수지, 자동차부품, 펌프, 폴리에스터사 등의 수출 증가 및 배전 및 제어기, 아연도강판, 선박용 부품, 기타의 직물 등 수출이 대폭 증가하면서 수출 회복세를 주도함.
· 배전 및 제어기(47.5%), 아연도강판(152.7%), 선박용 부품(82.4%), 기타의 직물(76.1%)
○ 2015년 대폭 감소했던 선박 건조용 중후판 수출 감소세가 회복세로 돌아서고 자동차부품, 타이어코드, 카 스테레오 등의 수출 증가세도 수출 회복세에 큰 역할을 함.
- 중후판(-12.3%), 자동차부품(17.0%), 타이어코드(25.0%), 카 스테레오(20.5%)
대루마니아 주요 수출품목
(단위: 천 달러, %)
순위 | 품목명 | 2015년 | 2016년 6월 | |||
금액 | 증감률 | 금액 | 증감률 | |||
| 합계 | 538,612 | - 9.9 | 294,042 | 8.6 | |
1 | 합성수지 | 47,883 | -11.5 | 26,600 | 16.4 | |
2 | 중후판 | 29,550 | -60.6 | 24,516 | -12.3 | |
3 | 자동차 부품 | 41,948 | 0.9 | 24,405 | 17.0 | |
4 | 펌프 | 22,189 | 439.6 | 12,692 | 24.2 | |
5 | 선박용 엔진 및 그 부품 | 39,014 | 52.4 | 12,111 | -22.2 | |
6 | 폴리에스터사 | 17,309 | -12.8 | 10,155 | 34.4 | |
7 | 아연도강판 | 8,301 | -49.2 | 9,461 | 152.7 | |
8 | 배전 및 제어기 | 14,001 | -12.6 | 9,400 | 47.5 | |
9 | 타이어코드 | 13,520 | 0.8 | 8,225 | 25.0 | |
10 | 승용차 | 13,011 | -10.5 | 8,036 | 4.2 | |
11 | 카스테레오 | 11,398 | -43.2 | 7,117 | 20.5 | |
12 | 철강관 | 14,801 | -24.5 | 6,858 | -24.3 | |
13 | 선박용 부품 | 39,014 | 52.4 | 5,568 | 82.4 | |
14 | 기타의 직물 | 2,385 | -10.9 | 5,266 | 76.1 | |
15 | 무선 전화기 | 7,752 | -5.2 | 5,114 | -53.5 |
자료원: 관세청 통관 기준
○ 아울러 대루마니아 수출 상위 50대 품목 중 전년동기대비 수출 증가율 100% 이상을 기록한 품목이 2015년 6개 품목에서 2016년 6월 말 13개 품목으로 품목 수에서 2배 이상 증가한 점도 눈여겨볼 필요가 있음.
대루마니아 수출 상위 50대 품목 중 증가율 100% 이상 품목 현황
(단위: 천 달러, %)
순위 | 품목명 | 2015년 | 2016년 6월 | |||
금액 | 증감률 | 금액 | 증감률 | |||
7 | 아연도강판 | 8,301 | -49.2 | 1,197 | 215.4 | |
23 | 음료 | 2,256 | 101.9 | 194 | 658.0 | |
24 | 주단강 | 3,694 | 14.8 | 203 | 169.0 | |
29 | 밸브 | 3,088 | 24.5 | 261 | 11,063.0 | |
31 | 편직물 | 3,294 | 12.9 | 248 | 140.4 | |
32 | 계측기 | 3,048 | 74.0 | 247 | 1,073.5 | |
33 | 합성고무 | 2,385 | -10.9 | 895 | 1,918.3 | |
36 | 알루미늄 조강공품 | 1,156 | 74.6 | 242 | 2,080.5 | |
37 | 베어링 | 1,934 | 315.3 | 299 | 6,139.3 | |
38 | 냉연강판 | 2,357 | 180.5 | 2,109 | 111.3 | |
42 | 축전기 | 2,300 | 105.3 | 1,708 | 116.1 | |
45 | 기타 섬유제품 | 760 | 16.6 | 1,504 | 325.7 | |
47 | 개별소자 반도체 | 1,671 | 164.1 | 1,310 | 110.9 |
자료원: 관세청 통관 기준
□ 수입
○ 2016년 6월 대루마니아 수입액은 전년동기대비 10.1% 감소한 2억8025만 달러를 기록함.
- 자동차부품(11.6%), 무선통신기기 부품(47.8%), 펌프(158.1%) 등의 수입이 증가한 반면, 기타 기계요소(-26.9%), 파티클보드(-71.2%), 베어링(-37.0%) 등의 수입이 감소함.
대루마니아 주요 수입품목
(단위: 천 달러, %)
순번 | 품목명 | 2015년 | 2016년 6월 | |||
금액 | 증감률 | 금액 | 증감률 | |||
| 합계 | 614,728 | - 4.3 | 280,247 | -10.1 | |
1 | 자동차 부품 | 209,822 | - 9.8 | 119,787 | 11.6 | |
2 | 무선통신기기부품 | 67,809 | -15.3 | 42,875 | 47.8 | |
3 | 직물제 의류 | 49,150 | 6.0 | 18,188 | -1.1 | |
4 | 기타 기계요소 | 37,379 | 21.9 | 17,547 | -26.9 | |
5 | 타이어 | 12,891 | 308.3 | 6,748 | 38.8 | |
6 | 원동기 | 15,265 | -30.6 | 6,719 | -29.6 | |
7 | 파티클보드 | 36,528 | 124.9 | 4,909 | -71.2 | |
8 | 가죽제 가방 | 7,027 | -37.1 | 3,593 | -7.1 | |
9 | 베어링 | 10,251 | -16.2 | 3,524 | -37.0 | |
10 | 편직제 의류 | 7,723 | 6.8 | 3,445 | 8.4 | |
11 | 펌프 | 1,705 | -38.5 | 2,844 | 158.1 | |
12 | 컴퓨터 부품 | 5,920 | 20.7 | 2,735 | 5.7 | |
13 | 기타 난방 및 전열기기 | 5,548 | 44.8 | 2,595 | -0.6 | |
14 | 사료 | 14,386 | -65.4 | 2,550 | -76.1 | |
15 | 기타 조명기기 | 3,919 | -37.3 | 2,490 | 17.3 |
자료원: 관세청 통관 기준
□ 시사점
○ 신세법 시행에 따른 2016년 1월 1일부 부가가치세 인하(24% → 20%), 5월 1일부 최저임금 인상 등에 따른 소비시장 활성화로 루마니아 수입시장은 지속 확대될 것으로 기대됨.
- 루마니아 부가가치세는 2016년 1월 1일부 인하에 이어 2017년 1월 1일부 추가 인하(20% → 19%) 예정으로, 제품 수입 시 바이어가 부담해야 하는 부가세 부담의 축소는 루마니아 수입시장 확대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음.
- 또한, 5월 1일부로 최저임금이 19% 인상(1050레이 → 1250레이)되면서 가처분 소득이 6억 유로 가량 증가, 소비시장이 더욱 활성화될 것으로 기대됨.
○ 2016년 6월 30일 부로 현행 1.75%의 기준금리 유지 및 지불준비율 유지를 결정해 최저 금리를 지속유지함으로써 내수시장 활성화가 지속될 것으로 예상됨.
- 2015년 5월 이후 사상 최저 저금리 지속 유지에 따라 2016년 1~5월 개인대출이 전년동기대비 50% 이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고, 이는 소비시장 활성화에 기여하는 것으로 평가되고 있음.
○ 브렉시트에 따라 2016년 하반기 이후 영국으로부터의 수입을 제3국으로 전환하고자 하는 움직임이 서서히 나타날 것으로 예상되고 있어, 이에 따른 움직임을 주목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보임.
- 2015년 기준 영국은 루마니아 수입시장의 2.5% 비중을 차지했고, 의약품·직물·섬유·농업용 장비 및 부품 등이 주 수입품목을 차지함. 관련 수입의 제3국으로의 전환 움직임을 예의주시할 필요가 있음.
자료원: 관세청 및 KOTRA 부쿠레슈티 무역관 자료 종합
'글로벌 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Final Stage of Myanmar Kpop Cover Festival 2016 (0) | 2016.07.21 |
---|---|
오만에서 각광받을 신규 아이템(5) – 알루미늄 프로파일 가공기계 (0) | 2016.07.20 |
제14차 유엔무역개발회의 나이로비 개최 (0) | 2016.07.20 |
세련된 한국산 안경으로 세르비아시장 공략하자 (0) | 2016.07.20 |
폴란드, 색조화장품 시장 동향 (0) | 2016.07.19 |
- 싱가포르
- 이스라엘
- 프랑스
- 일본
- 러시아
- 브라질
- 코로나
- 리우
- 필리핀
- 캐나다
- 화장품
- 삼성
- 에콰도르
- 리우올림픽
- 삼성전자
- 브렉시트
- 자동차
- 영국
- 전시회
- 남아공
- 이집트
- 올림픽
- 네델란드
- 스페인
- 홍콩
- 말레이시아
- 멕시코
- 독일
- 칠레
- 콜롬비아
- 인도네시아
- 호주
- 인도
- 미국
- 베트남
- 중국
- 이란
- 태국
- 터키
- 미얀마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