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폴란드, 색조화장품 시장 동향
- BB·CC크림의 질주, 연 40% 성장률 기록 -
□ 폴란드 색조 화장품 시장 동향
○ 폴란드 색조화장품(매니큐어류 제외) 시장규모는 2015년 기준 약 13억5490만 즈워티(약 3억4000만 달러)로, 전년대비 5.5%, 최근 5년간 연평균 5.6% 성장
○ 2016년에는 약 4.3% 증가한 14억1360만 즈워티(약 3억5340만 달러)가 될 것으로 예상되며, 2020년에는 약 16억5000만 즈워티(약 4억 달러)로, 연평균 약 4% 성장할 전망
○ 폴란드 여성들은 서유럽 여성들에 비해 아름다운 외모를 가꾸는데 관심이 많고 관리를 잘하는 성향이 있으며, 생활수준과 소득수준 향상으로 이러한 시장 성장은 향후 5년간 지속될 전망
폴란드 색조화장품 시장규모와 변동률(2010~2015년)
(단위: 백만 즈워티, %)
종류 | 2010 | 2011 | 2012 | 2013 | 2014 | 2015 |
아이 메이크업류 | 354.5 | 375 | 396.5 | 418.9 | 438.4 | 463.7 |
페이셜 메이크업류 | 339.6 | 361.9 | 399.8 | 428.5 | 459 | 486.7 |
립 메이크업류 | 278.9 | 291.8 | 303.7 | 316.9 | 329.1 | 346.2 |
색조화장품 세트/키트 | 56.4 | 59.1 | 58 | 57.3 | 58 | 58.3 |
색조화장품 전체 | 1,029.40 | 1,087.8 | 1,158.0 | 1,221.6 | 1,284.5 | 1,354.9 |
증감률 | - | 5.7 | 6.5 | 5.5 | 5.1 | 5.5 |
자료원: Euromonitor, KOTRA 바르샤뱌 무역관 자체 분석
○ 색조화장품은 아이 메이크업, 페이셜 메이크업, 립 메이크업 시장이 각각 34%, 36%, 26%로 비교적 비슷한 시장 비율을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남.
색조화장품 종류별 구성 비율(2015년 기준)
자료원: Euromonitor, KOTRA 바르샤바 무역관 자체 분석
□ BB·CC크림의 질주, 연 40% 성장률 기록
○ 색조화장품 시장에서 최근 가장 큰 변화는 BB·CC크림의 등장과 성장을 들 수 있음. BB·CC크림은 폴란드 화장품 업계의 새로운 바람으로, 2011년까지는 시장규모조차 파악이 안 될 정도였으나 2012년부터 눈에 띄게 성장하고 있음.
○ 2015년 BB·CC크림의 시장규모는 약 840만 즈워티(약 210만 달러)로 전년대비 40% 성장. 전체 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아직 미미하나, 2020년까지 연평균 13.2%, 2015년 대비 2020년에는 85.5%의 성장률을 보일 것으로 예상됨.
페이셜 메이크업 화장품 종류별 시장규모 및 증감률(2014/15년 기준)
(단위: 백만 즈워티, %)
구분 | 2014 | 2015 | 증감률 | 비율(2015) |
Facial Make-Up 전체 | 459.0 | 486.7 | 6.0 | 100 |
- BB/CC Creams | 6.0 | 8.4 | 40.1 | 1.7 |
- Blusher/Bronzer/Highlighter | 28.3 | 29.6 | 4.4 | 6.1 |
- Foundation/Concealer | 201.2 | 216.9 | 7.8 | 44.6 |
- Powder | 170.8 | 177.0 | 3.6 | 36.4 |
- Other Facial Make-Up | 52.8 | 54.8 | 3.9 | 11.3 |
자료원: Euromonitor
BB·CC크림 시장규모 및 전망
자료원: Euromonitor
○ BB·CC크림의 인기 상승 요인은 미용에 대한 관심 만큼이나 피부건강과 젊음을 유지하고자 하는 욕망이 커졌기 때문으로, BB·CC크림이 이러한 기대를 충족해줄 것이라는 기대감이 크게 작용한 것으로 보임.
○ BB·CC크림의 인기몰이로 폴란드 내 제조사들도 앞다투어 BB·CC크림을 출시했고, 전 세계 많은 제품들이 유통되고 있음. 대부분의 글로벌 고급브랜드 화장품들도 BB·CC크림을 판매 중
○ 폴란드 제조사의 BB·CC크림은 가격이 저렴하나 소비자들에게 커버력이나 효과 면에서 좋은 평을 받지 못하고 있으며, 서유럽 고급브랜드는 가격이 높은 단점이 있음. 일반적으로 중저가 가격의 제품이 가장 많이 판매되고 있음.
- 이 가운데 한국제 BB·CC크림은 중저가 가격대로 마케팅 되고 있는데, 이는 효과가 좋고 고급브랜드에 비해 가격경쟁력이 있어 폴란드 소비자들에게 매력적인 조건임.
BB·CC크림 폴란드 제품, 고급브랜드, 한국 제품 가격 비교
(단위: 달러)
사진 | 제품 | 소비자가격(VAT 포함) |
| Eveline Cosmetics BB Cream 40㎖ | 3~5 |
Estée Lauder DayWear BB 30㎖ | 44~47 | |
BB MISSHA M Perfect Cover 50㎖ | 17~20 |
자료원: KOTRA 바르샤뱌 무역관 조사(sephora.pl, sachi.pl, iperfumy.pl)
□ 아이 메이크업과 립 메이크업 화장품도 꾸준한 성장세
○ 색조화장품에서 아이 메이크업과 립 메이크업 화장품 부문도 양호하고 꾸준한 성장을 지속하고 있음.
○ 아이 메이크업 시장은 2015년 약 4억6370만 즈워티(약 1억1590만 달러)로 전년대비 5.8%성장했으며, 립 메이크업 시장은 2015년 약 3억4620만 즈워티(8655만 달러)로 전년대비 5.2% 성장
○ 아이 메이크업 시장에서는 마스카라가 52.8%, 아이새도우가 33.4%의 비율을 차지함. 립 메이크업 시장은 립글로스와 립스틱이 각각 46.9%, 44.5%의 비율을 차지함.
아이/립 메이크업 화장품 시장규모 및 증감률
(단위: 백만 즈워티, %)
구분 | 2014 | 2015 | 증감률 | 비율(2015) |
Eye Make-Up 전체 | 438.4 | 463.7 | 5.8 | 100 |
- Eye Liner/Pencil | 59.0 | 62.0 | 5.1 | 13.4 |
- Eye Shadow | 147.8 | 154.7 | 4.7 | 33.4 |
- Mascara | 229.8 | 245.0 | 6.6 | 52.8 |
- Other Eye Make-Up | 1.8 | 2.0 | 7.1 | 0.4 |
Lip Products 전체 | 329.1 | 346.2 | 5.2 | 100 |
- LipGloss | 154.6 | 162.5 | 5.2 | 46.9 |
- LipLiner/Pencil | 27.5 | 28.3 | 3.1 | 8.2 |
- Lipstick | 145.9 | 154.1 | 5.6 | 44.5 |
- OtherLipProducts | 1.1 | 1.2 | 5.5 | 0.3 |
자료원: Euromonitor
□ 폴란드 화장품 유통채널의 특징
○ 주요 유통채널은 화장품 전문리테일 체인점으로 53%의 점유율 기록. 2011년부터 폴란드 화장품 전문 리테일 체인점은 해마다 150~170개씩 증가해왔으며, 2016년에는 180개점이 증가할 것으로 전망됨.
○ 가장 큰 리테일 체인점은 독일계 업체인 Rossmann. 폴란드 전체 1120개 체인점을 보유하고 있으며, 2018년까지 600개의 체인점을 추가 오픈할 계획
○ 두 번째로 큰 체인점은 Drogerie Natur로, 전국 주요 도시에 275개 체인점을 보유하고 있음. 그 외 주목할 만한 화장품 전문체인점으로는 주로 고급브랜드 화장품을 취급하는 프리미엄 리테일 체인점인 Douglas와 Sephora가 있음. 이들은 주로 대형 쇼핑몰에 입점해 있고, 체인점을 늘리고 있는 추세
○ 화장품 전문 리테일 체인으로서 프랜차이즈 체인점 역시 증가하고 있음. 2015년 말까지 약 1900점의 프랜차이즈 존재. 이들 프랜차이즈들은 대기업 형태의 전문 체인점들과의 경쟁에서 살아남기 위해 소규모 업체들이 조합을 이루어, 새로운 체인점 브랜드를 형성해 이루어진 경우가 대부분
- 대표적으로 Drogerie Natur, Jasmin, Jawa, Drogerie Polskie, Drogerie Koliber, Drogerie Laboo 등이 있음.
○ 대형 화장품 리테일 체인점의 확장 추세, 가격할인 공세 등 치열한 시장경쟁으로 소규모 개인 업체는 경영에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2014년에만 300개의 개인 소매점이 문을 닫음. 이에 점점 더 많은 개인 화장품 전문점이 프랜차이즈 체인점에 합류하고 있음.
○ 최근 수년 사이 건강과 미용을 연결한 신개념으로 화장품과 의약품을 동시에 취급하는 리테일 체인점이 새로운 바람을 일으키고 있음. 대표적인 업체로 Super-Pharm, Cosmedica, Ziko Dermo 등이 있음.
○ 이러한 화장품 전문 체인점들은 일반적으로 중간마진을 없애고 제조사나 수입업체와 직거래를 해 가격경쟁력을 갖추고 마케팅을 하고 있으며, 일부 제품은 직접 수입하기도 함.
주요 화장품 전문 체인점
리테일 체인점명 | 홈페이지 |
Rossmann | |
Hebe | |
Douglas | |
Sephora | |
Drogerie Natur | |
Jasmin | |
Jawa | |
Drogerie Polskie | |
Drogerie Koliber | |
Drogerie Laboo | |
Super Pharm | |
Ziko Dermo | |
Cosmedica |
자료원: PMR, KOTRA 바르샤바 무역관 자체 조사
□ 요약 및 시사점
○ 미모에 대한 관심, 생활수준의 향상으로 폴란드 색조화장품 시장은 전체 화장품 시장의 성장과 함께 꾸준히 성장하고 있음.
○ 색조화장품 중에서는 BB·CC크림이 2012년부터 폴란드 시장에 샛별처럼 떠올라, 2015년 전년대비 40%의 높은 성장률을 기록. 향후 5년간 연평균 13.2% 성장할 것으로 전망됨.
○ BB·CC크림시장에서 한국 화장품은 좋은 품질과 합리적인 가격으로 자리를 잡아가고 있음.
○ 서유럽에 비해 가격에 민감한 폴란드 시장에서 한국 BB·CC크림은 효과와 가격 면에서 좋은 제품으로 인지도를 얻어가고 있음. 따라서, 지속적인 마케팅과 합리적인 가격으로 공략한다면 좋은 성과가 기대됨.
○ 폴란드 화장품 유통채널의 특징은 화장품 전문 리테일 체인점의 발달을 들 수 있음. 이러한 특성은 한 유통업체와의 거래만 성사돼도 전국으로 제품을 유통시킬 수 있는 길이 열린다는 장점이 있음.
자료원: Euromonitor, PMR, www.forbes.pl, http://analizybranzowe.pl/, www.polishcosmetics.pl, www.wiadomoscikosmetyczne.pl 및 KOTRA 바르샤바 무역관 자료 종합
'글로벌 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14차 유엔무역개발회의 나이로비 개최 (0) | 2016.07.20 |
---|---|
세련된 한국산 안경으로 세르비아시장 공략하자 (0) | 2016.07.20 |
브렉시트 후, 멕시코 페소화 어디로 가나? (0) | 2016.07.19 |
[무역관 르포] 당신은 이란을 얼마만큼 아는가? (0) | 2016.07.19 |
인도에 서울 하늘공원이 생긴다면? (0) | 2016.07.19 |
- 콜롬비아
- 남아공
- 캐나다
- 네델란드
- 베트남
- 프랑스
- 화장품
- 미얀마
- 인도네시아
- 전시회
- 홍콩
- 태국
- 호주
- 중국
- 터키
- 자동차
- 삼성
- 리우올림픽
- 리우
- 브라질
- 올림픽
- 에콰도르
- 브렉시트
- 말레이시아
- 이집트
- 이스라엘
- 삼성전자
- 필리핀
- 미국
- 러시아
- 인도
- 스페인
- 칠레
- 독일
- 멕시코
- 이란
- 코로나
- 싱가포르
- 영국
- 일본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