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확대일로의 인도 스마트폰 시장
- 2016년 1분기 스마트폰 판매량, 전년동기대비 21.4% 증가 -
- 중고가품(1만 루피 이상) 제품을 중심으로 시장 성장세 유지 -
□ 증가하는 스마트폰 판매량
○ 시장규모 및 전망
- Cyber Media 리서치(2016년 6월)는 인도 스마트폰 산업규모룰 2015년 9700만 대로 추산했으며, 2016년에는 1억3000만 대에 이를 것으로 전망
- 피처폰을 포함한 전체 무선통신기기의 2016년 1분기 출하량은 5280만 대이며, 전년동기 5540만 대보다 줄어들었으나, 스마트폰의 경우 21.4% 증가함.
인도 핸드폰 출하량 추이
(단위: 백만 대, %)
| 2015년 1분기 | 2015년 4분기 | 2016년 1분기 | 증감률 |
피처폰 | 35.9 | 35.0 | 29.2 | -18.8 |
스마트폰 | 19.5 | 25.5 | 23.6 | 21.4 |
전체 | 55.4 | 60.5 | 52.8 | -4.7 |
자료원: CMR, India Monthly Handsets Market Review 2016
○ 2016년 1분기 현재, 주요 핸드폰 제조사의 시장점유율은 아래와 같음.
인도 핸드폰 시장점유율 추이
(단위: 백만 대, %)
주: 좌-전체, 우-스마트폰
자료원: CMR, India Monthly Handsets Market Review 2016
□ 가격대별 스마트폰 시장(1루피=약 17.5원)
○ 저가격대 모델(1만 루피 이하 제품)
- 전체 스마트폰 제품의 75% 가량이 이 가격대에 몰려있으며(7300만 대), 2015년 기준 153개의 브랜드가 경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 2016년 이 가격대의 제품은 전체 스마트폰 예상 출하량 1억3000만 대 중 70%를 점유해, 9100만 대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됨. 이는 전년대비 44% 증가한 수치
- 이 가격대 제품을 주도하는 제조사는 삼성전자, Micromax(인도), Xiaomi, Gionee(중국)임.
○ 중가격대 모델(1만~2만 루피 사이 제품)
- 2015년 기준 이 가격대의 제품은 1700만 대가 출하돼 전체 시장의 18%를 차지하고 있으며, 총 46개 브랜드가 있는 것으로 파악됨.
- 2016년 3월 말 기준, 이 가격대 제품은 전체 출하량의 22%를 점유한 것으로 나타남. 이러한 증가세는 삼성전자의 J시리즈, LG전자의 K시리즈 신제품, LeEco의 Le 1S, Lenovo의 K4 Noe, Micromax의 Canvas Mega 4G, Intex의 Aqua Freedom 등 신제품 출시로 인한 것으로 보임.
○ 고가격대 모델(2만~3만 루피 혹은 3만 루피 이상 프리미엄 제품)
- 2015년 기준 이 가격대에는 타 가격대에 비해 적은 19개 브랜드의 제품이 출시됐으며, 출하량은 전체의 약 7%를 점유하는 700만 대로 나타남.
- 고가격대 제품 출하량의 52%가 3만 루피 이상 프리미엄 제품이며, 나머지는 2만~3만 루피 가격대에 위치함.
- 2016년 최첨단 스마트폰의 출하량은 19%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는 전년도 15%에 비해 성장세가 빨라진다는 의미임.
- 2015년 기준 이 가격대에서 삼성과 Apple은 각각 44%와 27.3%를 점유했으며, 반면 Sony, HTC, LG의 점유율은 하락했음. OnePlus는 6.1%의 점유율을 차지했으며, 신흥 브랜드 중에 유일하게 이 가격대에서 점유율을 확장했음.
○ 스마트폰의 평균 판매단가는 증가일로
- 2015년 4분기 스마트폰의 평균 판매단가는 1만2295루피였으며, 2016년 1분기 평균 판매단가는 1만2983루피로 다소 상승했음.
- 이는 2015년 1분기의 1만364루피에 비하면 20% 가량 증가한 수치임.
□ 전망
○ 기존 브랜드와 신흥 브랜드
- 기존 강자인 삼성전자와 Apple의 시장 영향력은 유지될 것으로 전망됨.
- 2015년 기준 인도에서는 21개의 신규 브랜드가 런칭됐음. 하지만 2013년 74개의 신규 브랜드가 유입된 것을 비추어보면 시장 진입자의 증가세는 한풀 꺾인 상황임.
- 2015년 기준, 신흥 브랜드의 시장점유율은 16%(1520만 대)에 그쳤으나, 2016년은 25%(3250만 대)로 확장될 것으로 예상됨.
○ 기술적 측면
- 4G 통신망을 핵심으로 한 스마트폰 판매기조는 당분간 이어질 것으로 예상됨. Cyber Media 리서치는 전체 스마트폰 출하량에서 4G 제품이 차지하는 수량이 5000만 대를 넘을 것으로 예상함.
- OEM 제조사를 중심으로 배터리 유지시간, 저장용량, 사진기능 등의 스펙 향상이 주요 이슈가 될 것으로 전망됨.
□ 시사점
○ 핸드폰 제품
- GSMA(2016년)에 따르면, 인도 무선통신시장의 가입자는 2020년까지 2억5000만 명으로 확대될 전망
- 인도 핸드폰 시장의 잠재성은 막대함. 중국·인도 기업들의 유입이 확대되며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는 상황이나, 한국 제품은 중고가 제품을 주요 타깃으로 하고 있으며, 이 가격대 제품을 중심으로 수요가 확대되고 있다는 점은 희망적임.
○ 핸드폰 액세서리
- 인도 내 다수의 핸드폰 제조사들이 있으며, 핸드폰 액세서리 분야에서는 핸드폰 덮개, 블루투스, 스크린 보호덮개, USB 케이블, 메모리 카드, 헤드폰 등의 제품 수요가 증가하고 있음. 다만, 다수의 제품들이 가격경쟁력을 무기로 한 중국으로부터 수입되고 있음.
- 인도 정부의 적극적인 제조업 육성책과 물류비용 절감을 위해 많은 핸드폰 관련 업체들이 인도 현지 공장설립을 추진 중임. 이러한 현지생산 및 현지조달 경향은 앞으로도 심화될 것으로, 인도 시장 진출전략 수립에 참고할 필요가 있음.
작성자: KOTRA 뉴델리 무역관 임성식 과장, Jaya Soin
자료원: CRM, GSMA, 현지 신문기사, 업체 면담 및 KOTRA 뉴델리 무역관 자료 종합
'글로벌 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6 크로아티아 경제, 플러스 성장의 원천은 교역 확대 (0) | 2016.07.13 |
---|---|
에콰도르, 무역수지 개선을 위한 수입제한 조치와 결과 (0) | 2016.07.13 |
美, GMO 표시제 법안 상원 통과 (0) | 2016.07.13 |
노보시비르스크주 영구적 표준시간대 조정 (0) | 2016.07.12 |
탄자니아, 최대 25%까지 설탕 수입관세 대폭 인상 계획 (0) | 2016.07.12 |
- 스페인
- 이란
- 올림픽
- 삼성전자
- 영국
- 미국
- 중국
- 인도네시아
- 칠레
- 브라질
- 콜롬비아
- 캐나다
- 브렉시트
- 프랑스
- 이집트
- 터키
- 리우올림픽
- 싱가포르
- 태국
- 홍콩
- 호주
- 에콰도르
- 화장품
- 리우
- 일본
- 멕시코
- 말레이시아
- 베트남
- 코로나
- 네델란드
- 전시회
- 러시아
- 독일
- 미얀마
- 삼성
- 이스라엘
- 필리핀
- 자동차
- 남아공
- 인도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