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 자동차 생산량 및 수출량 역대 최고치 경신, 내수시장 꾸준히 성장 –
- 트럼프 리스크로 불확실성 증가, 수출 및 투자환경 악화 우려 –
□ 2016년 자동차산업 역대 최대 생산량, 수출량 기록
ㅇ 멕시코 자동차 생산량은 2009년 세계 경제 침체로 인해 하락한 후 2010년부터 꾸준히 그 생산량이 증가하고 있으며, 2016년 또한 1988년 통계치 집계 후 가장 많은 346만5615대를 생산량을 기록했음.
- 멕시코의 값싼 노동력, 46개국과 FTA를 체결할 정도로 높은 무역개방성, 미국과 국경을 인접해 있으며 중남미 국가들과도 가까운 지리적 이점 등을 바탕으로 많은 글로벌 자동차 업체들이 진출하거나 진출을 준비 중에 있음.
- 특히 2016년 멕시코 몬테레이 기아자동차 공장이 본격적으로 가동되며 2018년 40만 대까지 생산량을 증가할 계획이며, 2016년 현대와 기아자동차의 시장 반응 또한 좋은 편인 것으로 나타남.
- 또한, 리서치 전문기업인 LMC Automotive는 트럼프 리스크에도 불구하고 멕시코 자동차생산 비중이 현재 19%에서 2020년 26%까지 증가할 것으로 전망함. 이는 멕시코에 진출한 업체들의 향후 생산전략과 미국 외 아시아 및 유럽국들의 투자 확대를 이유로 들었음.
- 이외에, 2023년까지 북미 자동차 생산량은 300만 대가 증가할 것이며, 이에 따라 멕시코 내 자동차 생산량은 47%, 미국은 12%, 캐나다는 4% 감소할 것이라고 예상함.
멕시코 자동차 생산량
(단위: 대)
자료원: 멕시코 자동차협회(AMIA)
ㅇ 멕시코 자동차 산업의 특징은 생산량된 차량의 약 80%를 수출하고 있으며, 수출물량의 80%를 북미자유무역협정(NAFTA)을 이용해 무관세로 미국, 캐나다로 수출하고 있다는 점
- 특히, 대미국 자동차 수출 비중은 2015년 72.2%, 2016년 77.1%로, 최근 미국 경기가 회복됨에 따라 대미국 의존도는 더욱 커지고 있음.
- 2016년 수출량은 전년대비 0.3% 증가해 275만8896대를 기록, 역대 최고치를 갱신함.
멕시코 자동차 수출량
(단위: 대)
자료원: 멕시코 자동차협회(AMIA)
멕시코 주요 수출현황
(단위: 대, %)
순위 | 국명 | 수출량 | 2016년 점유율 | 증감률 | ||
2015년 | 2016년 | 2015년 | 2016년 | |||
1 | 1 | 미국 | 1,993,162 | 2,133,724 | 77.1 | 7.1 |
2 | 2 | 캐나다 | 290,340 | 246,324 | 8.9 | -15.2 |
3 | 3 | 독일 | 94,088 | 79,181 | 2.9 | -15.8 |
5 | 4 | 콜롬비아 | 54,115 | 49,764 | 1.8 | -8.0 |
4 | 5 | 브라질 | 59,428 | 46,046 | 1.7 | -22.5 |
7 | 6 | 아르헨티나 | 39,391 | 38,994 | 1.4 | -1.0 |
8 | 7 | 칠레 | 17,494 | 19,189 | 0.7 | 9.7 |
6 | 8 | 중국 | 43,715 | 12,141 | 0.4 | -72.2 |
14 | 9 | 푸에르토리코 | 8,098 | 10,370 | 0.4 | 28.1 |
9 | 10 | 페루 | 13,392 | 8,970 | 0.3 | -33.0 |
| | 기타 | 145,673 | 123,565 | 4.5 | -15.2 |
| | 합계 | 2,758,896 | 2,768,268 | 100.0 | 0.3 |
자료원: 멕시코 자동차협회(AMIA)
□ 2016년 내수시장 성장
ㅇ 멕시코 내수시장은 2009년 이후 꾸준히 확대되고 있으며, 최근 한국산 자동차에 대한 수요도 증가하고 있는 추세
- 멕시코 내 자동차 판매율 1위 업체는 닛산으로, 2016년 기준 약 40만 대가 판매됐으며 그 뒤를 GM(30만 대), 폴크스바겐(24만 대) 등이 뒤따르고 있음.
- 2014년 멕시코에 진출한 현대자동차의 2016년 판매량은 전년대비 38.2% 증가한 3만6287대, 2015년 7월부터 시장 내 판매를 시작한 기아자동차의 판매량은 5만8112대로 전년대비 427.3% 증가했음.
멕시코 내 자동차 판매 현황
자료원: 멕시코 자동차협회(AMIA)
업체별 자동차 판매량
(단위: 대, %)
업체명 | 2015 | 2016 | 증감률 |
JAGUAR | 190 | 279 | 46.8 |
LAND ROVER | 1,346 | 849 | -36.9 |
SMART | 695 | 864 | 24.3 |
SUBARU | 1,618 | 1,147 | -29.1 |
ISUZU | 1,940 | 1,511 | -22.1 |
VOLVO | 1,333 | 1,607 | 20.6 |
ACURA | 2,423 | 2,224 | -8.2 |
INFINITI | 1,818 | 2,231 | 22.7 |
LINCOLN | 2,071 | 2,371 | 14.5 |
MINI | 5,305 | 6,028 | 13.6 |
PEUGEOT | 7,295 | 7,877 | 8.0 |
MERCEDES BENZ* | 10,795 | 14,509 | 34.4 |
BMW | 12,170 | 14,611 | 20.1 |
SUZUKI | 12,914 | 15,271 | 18.3 |
RENAULT | 24,320 | 29,917 | 23.0 |
HYUNDAI | 26,251 | 36,287 | 38.2 |
MAZDA | 57,394 | 54,855 | -4.4 |
KIA | 11,021 | 58,112 | 427.3 |
HONDA | 73,505 | 87,944 | 19.6 |
FORD MOTOR | 87,523 | 99,269 | 13.4 |
FCA MÉXICO | 103,052 | 103,907 | 0.8 |
TOYOTA | 84,779 | 104,955 | 23.8 |
VOLKSWAGEN | 218,616 | 247,368 | 13.2 |
GENERAL MOTORS | 256,150 | 308,624 | 20.5 |
NISSAN | 347,124 | 401,055 | 15.5 |
합계 | 1,351,648 | 1,603,672 | 18.6 |
자료원: 멕시코 자동차협회(AMIA)
□ 흔들리는 멕시코–미국 관계
ㅇ 비록 멕시코 내 내수시장이 성장하고 있지만 아직도 전체 생산량의 약 80%를 수출하고 있으며, 수출물량의 80%를 미국이 소화하고 있어 의존도가 높음.
- 1월 20일 새롭게 출범한 트럼프 행정부는 북미자유무역협정(NAFTA) 재협상 혹은 폐기, 국경장벽 건설, 불법이민자 및 해외 송금 규제 등 반멕시코적인 정책을 약속한 바 있음.
- 취임 후 트럼프 대통령은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TPP) 탈퇴 행정명령, 미국과 멕시코 국경에 장벽을 설치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하고, 그 비용을 멕시코가 부담할 것이라고 밝힌 바 있음.
- 이에 멕시코 대통령은 엔리케 페냐 니에토 대통령은 성명을 통해 멕시코 정부는 국경장벽 비용을 지불할 수 없다고 밝힘. 트럼프 대통령 또한 트위터를 통해 비용을 지불하지 못하겠다면 향후(1월 31일) 정상회담을 취소하는 게 낫겠다고 하자, 니에토 대통령 또한 정상회담 불참 의사를 밝혀 회담에 취소된 바 있음.
- 또한, 백악관 대변인은 트럼프 대통령이 멕시코에서 수입되는 모든 제품에 20% 관세를 부과할 것으로, 그것만으로도 장벽 건설 비용을 충당할 수 있다고 밝혔음.
- 1월 26일, 멕시코-미국 양국 간 첫 고위급 회담에서 멕시코 경제부 장관은 미국의 국경관세에 대한 대응방안으로 농축산품 수입을 보이콧 할 수 있다고 함.
ㅇ 양국 간의 갈등이 고조되자, 멕시코 내 SNS와 시민단체들을 중심으로 코카콜라, 맥도널드, 스타벅스, 코스트코 등 미국산 제품 불매 운동이 일어나고 있음.
- 이러한 분위기 속에서 멕시코 최대 부호인 카를로스 슬림은 트럼프는 ‘협상자’라고 밝히며, 자국 경제에 부정적인 결정은 하지 않을 것이라고 밝힘.
- 트럼프 정부의 국경관세도 결국 미국 소비자들이 지불해야 하는 돈이며, NAFTA의 급진적인 파기는 현실성이 없고, 멕시코 국민들에게 평정심을 유지할 것과 미국 기업이라도 멕시코에서 생산하는 제품이라면 구매해야 한다고 했음.
ㅇ 정상회담 취소 전에도 트럼프 대통령의 압박에 때문에 냉장고 생산기업인 캐리어(Carrier)와 포드(Ford)가 멕시코 투자를 취소한 바 있음.
- 피아트 크라이슬러(FCA)의 경우, 1월 초 트럼프 대통령의 약속대로 35%의 관세가 부과된다면 멕시코 내 공장을 철수 하겠다고 밝힌 바 있음.
- 향후 미 행정부의 정책에 따라 미국의 대멕시코 자동차 산업에 대한 투자와 수출량 등이 크게 영향을 받을 것으로 예상됨.
□ 전망 및 시사점
ㅇ 1월 27일, 트럼프 대통령과 엔리케 페냐 니에토 대통령은 전화 통화로 국경장벽 건설 비용, 무역 갈등, 마약 밀매 근절 방안 등에 대해 논의했음.
- 멕시코 정부는 양국 정상이 비용 부담에 관한 발언을 당분간 삼가하기로 합의했다고 밝혔으나, 양국 간 갈등은 쉽게 해소되기 어려울 전망
ㅇ 2016년부터 멕시코 몬테레이 공장에 기아자동차가 생산을 시작했으며, 많은 협력업체들과 동반 진출한 바 있음.
- KOTRA 멕시코시티 무역관 자체 인터뷰 조사 결과, 업체 대부분이 트럼프 행정부의 정책에 주목하고 있으나 뚜렷한 대책은 없는 상황이라고 함.
- 일부 업체들의 경우 트럼프의 공약이 비현실적이라며, 실제 실현된다 하더라도 상당한 시간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되며 급격한 변화는 없을 것으로 전망한다고 밝혔음.
ㅇ 멕시코 내 많은 경제 전문가들은 NAFTA가 무역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멕시코가 FTA를 체결한 나라는 미국만을 제외하고도 40개국 이상이라고 밝히며, 관세·물류비용·문화적 차이 등 어려운 요소가 많지만 신시장을 개척할 것을 촉구함.
- 현지 언론에 따르면, 페루와 콜롬비아가 미국과의 갈등에서 멕시코에 대한 지지를 표명한 바 있음.
ㅇ 멕시코 현지 진출 한국 기업들 또한 향후 멕시코 정부와 미 행정부의 갈등이 심화될 경우 라틴아메리카, 중동 등의 신규 시장 개척에 적극적으로 나서야 함.
자료원: 멕시코 경제부, 멕시코 자동차협회, 멕시코 통계청, 일간지 El Economista, El Universal, El Financiero, 현지 언론사 및 KOTRA 멕시코시티 무역관 자료 종합
'글로벌 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렁춘잉 홍콩 행정장관, 마지막 정책연설 발표 (0) | 2017.02.03 |
---|---|
中 반독점관리 체계 완비화에 박차 (0) | 2017.02.03 |
쿠웨이트, OPEC 원유 감산 이행 (0) | 2017.02.03 |
미국 트럼프의 보호무역주의, 캐나다 어떻게 대응할까? (0) | 2017.02.03 |
중국도 '나 혼자 산다', 1인 소비시장이 뜬다 (0) | 2017.02.02 |
- 에콰도르
- 미국
- 태국
- 리우
- 인도네시아
- 싱가포르
- 칠레
- 터키
- 브라질
- 네델란드
- 홍콩
- 말레이시아
- 미얀마
- 스페인
- 베트남
- 영국
- 전시회
- 캐나다
- 프랑스
- 삼성
- 중국
- 호주
- 러시아
- 올림픽
- 이스라엘
- 화장품
- 삼성전자
- 필리핀
- 인도
- 리우올림픽
- 이란
- 일본
- 자동차
- 브렉시트
- 코로나
- 멕시코
- 이집트
- 독일
- 콜롬비아
- 남아공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