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 중국 1인 가구 비중 급증, 관련 시장 성장 -
- 현지에서 소형화, 간편성, 외로움 등 1인 가구의 니즈를 공략하는 상품들 출시 -
- 독일, 일본, 한국 등 1인 소비시장 강국에서 아이템 발굴하는 전략 필요 –
□ 배경: 중국의 1인 가구 수가 도시지역, 젊은 층을 중심으로 급증
ㅇ 현재 중국의 가구 규모는 빠르게 소형화되는 추세
- 중국의 1인 가구 수는 2000년 이후 2015년까지 연평균 31%씩 증가해 왔음. 2015년 기준 중국의 1인 가구 수는 약 7442만 가구로 전체 가구 수의 16.1%를 차지하고 있으며, 2025년에는 1억 가구를 돌파할 것으로 예상됨. 평균 가구원 수 역시 1950년대 5.3명에서 꾸준히 감소해 2012년 기준 3.02명으로 축소됨.
자료원: 유로모니터, 2015년
- 중국의 1인 가구는 나이대로 보면 도시지역 기준 20대가 27.5%로 가장 많고, 지역으로 보면 베이징, 상하이,광저우 등 대도시 지역에 주로 분포돼 있음.
자료원: 중국 제6차 인구조사, 2010년
- 중국 국가가정발전보고에 따르면, 1인 가구수의 증가는 초혼 연령 상승, 독신주의 확산, 출산율 감소, 인구 이동 등이 원인으로 작용함.
□ 중국 1인 가구 소비자의 소비 특징
ㅇ 중국 1인 가구는 2인 이상 가구와 소비패턴이 명확하게 구분되며, 세 가지의 의미 있는 분석이 가능함.
- 중국 1인 가구의 인당 소비지출액은 5,557.9달러(약 647만9000원)로 2인 이상 가구들보다 월등히 높아 가장 활발하게 소비활동에 참여하는 것으로 나타남. 그러므로 중국의 전체 소비시장에서 1인 가구 소비자들의 지위와 중요성이 비교적 큼.
- 중국 1인 가구는 소비지출 구성에서 주거비, 식품 및 음료, 건강관리 및 의료, 호텔 및 외식비 지출의 비중이 상대적으로 큼. 중국 1인 가구는 주거비용이 높고, 자신을 위한 소비에는 아낌없이 지출하는 경향이 있음.
- 중국 1인 가구는 교육비 지출 비중 및 액수가 현저히 낮음. 1인 가구는 자녀 교육, 가족 부양의 부담에서 자유로우므로 식음료, 패션 및 미용, 여가생활 등의 분야에서 자신이 원하는 재화 및 서비스를 적극적으로 소비하는 경향을 보임.
중국의 가구원 수별 1인당 소비지출(2015년, 달러 기준)
1인 가구 | 2인 가구 | 3인 가구 | 4인 가구 | |
가구원 수별 1인당 총소비 | 5,557.9 | 4,605 | 3,616 | 2,696 |
가구원 수별 1인당 식품 및 음료비 | 1,306.5 | 1,023 | 849 | 709 |
가구원 수별 1인당 주거비 | 1,048.8 | 788 | 603 | 453 |
가구원 수별 1인당 교통비 | 426.3 | 387 | 288 | 189 |
가구원 수별 1인당 건강관리 및 의료비 | 421.3 | 330 | 246 | 174 |
가구원 수별 1인당 의류 소비 | 414.5 | 395 | 323 | 239 |
가구원 수별 1인당 가정재화 및 가정 서비스 | 317.1 | 292 | 236 | 174 |
가구원 수별 1인당 호텔, 외식비 | 292.4 | 198 | 132 | 86 |
가구원 수별 1인당 주류 및 담배 | 216.1 | 172 | 127 | 87 |
가구원 수별 1인당 정보통신비 | 213.6 | 190 | 145 | 99 |
가구원 수별 1인당 여가 및 유흥비 | 178.1 | 157 | 121 | 85 |
가구원 수별 1인당 교육비 | 48.4 | 87 | 88 | 65 |
가구원 수별 1인당 기타 재화 및 서비스 | 674.9 | 580 | 453 | 330 |
자료원: 유로모니터, 2015
ㅇ 1인 가구의 소비 키워드는 간편성, 효율성, 외로움
- 1인 가구는 일과 주거를 혼자 해결해야 하므로 시간적 여유가 없음. 따라서 시간을 절약할 수 있는 와이마이(外卖,o2o 배달음식 서비스), 심부름 등의 간편한 서비스를 선호함.
- 또한, 주거공간이 좁으므로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게 해주는 소형화 제품이 인기를 끎.
- 마지막으로, 1인 가구는 애완동물이나 드라마, 영화 시청 등 외로움을 해소할 수 있는 서비스를 애용함.
□ 중국 1인 가구 소비시장 현황
ㅇ 소형 이사 서비스
- 중국 현지에서 1인 가구의 증가에 맞춰 미니 밴 한 대로 이사를 도와주는 소형 이사 서비스가 확산되고 있음. 바이싱왕(百姓网)이라는 생활정보 사이트의 경우, 1선 도시(베이징·상하이·광저우 등)를 포함해 대부분의 2, 3선 도시에서도 소형 이사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체들을 쉽게 찾아볼 수 있음.
- 광저우시 중심상업지구의 경우 미니 밴 기준 150위안, 화물차는 250위안에 차량·운전기사·화물 상하차까지 제공함. 2·3선 도시의 경우, 미니 밴 기준 100위안, 화물차는 200위안부터 시작하며, 1선 도시보다는 비교적 저렴함. 서비스는 일반적인 이사(운전기사, 화물상하차 포함)도 있고 차량만 대여할 수도 있음.
ㅇ 애완동물 대여 서비스
- 1인 가구의 증가에 따라 애완동물 산업도 급성장하고 있으며, 눈에 띄는 이색사업으로는 1인 가구를 겨냥한 애완동물 대여서비스가 있음.
- 예를 들어. 주총왕(租宠网)이라는 업체는 애완동물을 잠시 맡기고자 하는 사람과 애완동물을 대여하고자 하는 사람을 연결해주는 플랫폼을 표방함. 10마리의 강아지가 대여물로 올라와 있으며, 가격은 28위안부터 43위안까지 있음(하루 기준). 선전시에 위치한 취주마오(去租猫)라는 업체는 고양이 대여서비스를 전문으로 제공함. 최소 1개월부터 대여 가능하고, 가격은 하루 기준 39.9위안부터 시작함.
ㅇ 관련 산업: 와이마이(外卖,o2o 배달음식 서비스) 시장
- 조사보고에 따르면, 중국에서 한 번이라도 와이마이를 이용해 보았다고 답한 비율은 응답자 전체 평균 46.9%였으며, 혼자 사는 사람은 그보다 6.3% 높은 53.2%가 와이마이를 시켜 먹은 경험이 있었음(배달음식세분시장분석보고, 2015년). 즉, 1인 가구와 와이마이 시장은 연관성이 높음.
- 중국 와이마이 시장 규모는 2011년 216억8000만 위안에서 급속도로 성장을 거듭해, 2015년 기준 1250억3000만 위안을 기록했으며 2018년에는 2342억6000만 위안에 달할 것으로 예상됨. 이용자 수 역시 2011년 약 6300만 명에서 2015년 현재 약 2억900만 명으로 증가했으며, 2018년에는 약 3억4600만 명이 와이마이를 이용할 것으로 예상됨.
자료원: 중국 온라인 배달음식시장 연구보고, 2016년
□ 시사점
ㅇ 우리 기업은 빠르게 성장하는 중국의 1인 가구 소비시장에 주목할 필요가 있음.
ㅇ 1인 가구는 2인 이상 가구에 비해 교육비, 부양비 부담이 적으므로 상품 구매력이 높음.
ㅇ 중국의 1인 가구는 간편한 서비스, 소형화된 상품, 외로움을 달래줄 수 있는 상품을 선호하므로, 시장 진출 시 이러한 특성을 공략할 필요가 있음.
ㅇ 시장 진출 시, 이미 1인 가구 소비시장이 성숙한 독일·일본·한국의 사례를 연구해 시행착오를 최소화할 필요가 있음.
자료원: 바이두, 유로모니터, 중국 국가가정발전보고, 중국 온라인 배달음식시장 연구보고 및 KOTRA 광저우 무역관 자료 종합
'글로벌 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쿠웨이트, OPEC 원유 감산 이행 (0) | 2017.02.03 |
---|---|
미국 트럼프의 보호무역주의, 캐나다 어떻게 대응할까? (0) | 2017.02.03 |
일본, 건강 붐으로 오가닉 시장 진출 활발 (0) | 2017.02.02 |
日 애플페이를 필두로 캐시리스화를 노린다 (0) | 2017.02.02 |
미국 온라인 소매시장 성장세 주목! (0) | 2017.02.02 |
- 인도
- 브라질
- 멕시코
- 일본
- 홍콩
- 영국
- 이란
- 이집트
- 자동차
- 브렉시트
- 터키
- 전시회
- 베트남
- 코로나
- 싱가포르
- 인도네시아
- 중국
- 삼성
- 필리핀
- 콜롬비아
- 남아공
- 러시아
- 독일
- 이스라엘
- 말레이시아
- 리우
- 미얀마
- 리우올림픽
- 에콰도르
- 화장품
- 칠레
- 올림픽
- 삼성전자
- 네델란드
- 호주
- 캐나다
- 미국
- 스페인
- 태국
- 프랑스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