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 한국-조지아, 양국 기업 간 비즈니스 네트워킹의 장 구축 -
- 2017년 문화행사가 포함된 융복합사업으로 확대 추진 계획 -
□ 사업 개요
ㅇ 사업명: K-Day in Georgia(한국-조지아 비즈니스 상담회)
ㅇ 일시: 2016년 12월 1일(목) 09:00-18:00
ㅇ 장소: Tbilisi Marriott Hotel(그랜드볼룸), 트빌리시
ㅇ 내용
- 1일차: 조지아 정부․기관 방문 프로그램
- 2일차: 한-조 기업 간 1:1 수출상담, 지사화 샘플 및 카탈로그 상담
- 3일차: 유력 조지아 기업 방문 프로그램
ㅇ 참가기업
- 한국: 러시아 진출 및 국내 중소기업 9개사 12명
· KOTRA: CIS지역본부장, 지사화전담직원 3명(바쿠, 모스크바) 등
- 조지아: 해당분야 유력 바이어 43개사 약 60명
□ 행사장 스케치
ㅇ 비즈니스 설명회: 조지아 진출 방안 PT
조지아측 인사(상공회의소부소장, 맨오른쪽)
조지아 투자 진출 방안 PT(Invest in Georgia)
ㅇ 비즈니스 1:1 상담회(총 69건)
□ 조지아 경제 현황
ㅇ GDP 구조(2015년)
- 제조(17.6%), 건설(8.5%), 농업(9.8%) 등에서 고루 생산이 이뤄지고 있음.
ㅇ 외국인직접투자(2015년)
- 교통 및 통신, 건설, 에너지, 제조, 호텔 분야의 투자 활발
ㅇ FTA 체결 현황(2015년 현재)
- EU와는 포괄적 FTA 체결. 러시아, 터키 등 9개국과는 양자 간 FTA 체결
ㅇ 주요 수입대상 국가
- 터키, 중국, 러시아, 우크라이나에서 주로 수입하며, 우리나라는 31위 수입 대상국임(일본은 10위).
ㅇ 조지아 주요 수출입 품목 및 비중
- 정유, 가스, 자동차, 의약품, 담배 등이 주요 수입 품목(2014년 기준)
ㅇ 주요 수출 품목
- 합금, 자동차, 와인, 생수, 비료, 견과류 등이 주요 수출품목(2014년 기준)
□ 시사점
ㅇ 경쟁이 치열하지 않은 시장이며 한국 관련 비즈니스 행사가 거의 전무한 조지아에서 양국 기업 간 본격적인 비즈니스 네트워킹의 장 구축
ㅇ 조지아 정부 및 기관, KOTRA 내 부서와 협업 추진을 통해 지속 및 확대 가능한 사업기반 구축
ㅇ 2017년에는 조지아 진출 한국 기업 네트워킹, 영화제 등 문화행사 등이 포함된 융복합사업으로 확대 추진
ㅇ 조지아 정부의 대한국 진출에 매우 적극적인 협조와 관심을 보이는 만큼 우리 정부와 기업의 적극적인 관심이 필요함.
자료원: KOTRA 모스크바 무역관
'글로벌 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키스탄 톱 바이어를 만나다 (0) | 2017.01.02 |
---|---|
남아공 이유식 시장 현황과 전망 (0) | 2017.01.02 |
러시아 제조업 육성정책에 따른 시장 현황 (0) | 2017.01.02 |
에콰도르 참치산업 동향 및 한국산 파우치팩의 진출 가능성 (0) | 2017.01.02 |
아제르바이잔에는 어떤 무역장벽이 있나? (0) | 2017.01.02 |
- 코로나
- 필리핀
- 스페인
- 인도네시아
- 일본
- 러시아
- 리우
- 자동차
- 태국
- 삼성
- 영국
- 이스라엘
- 미얀마
- 베트남
- 네델란드
- 멕시코
- 리우올림픽
- 말레이시아
- 삼성전자
- 브렉시트
- 에콰도르
- 칠레
- 호주
- 싱가포르
- 미국
- 올림픽
- 이란
- 인도
- 이집트
- 화장품
- 홍콩
- 전시회
- 프랑스
- 콜롬비아
- 독일
- 캐나다
- 터키
- 남아공
- 브라질
- 중국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