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 인도 가상현실(Virtual Reality) 시장, 2020년까지 약 1200억 달러 규모 전망 -
- 한국산 제품, 인도 시장에서 점유율 2위 차지 -
□ 가상현실(VR) 헤드셋 시장 동향
ㅇ 인도 가상현실(Virtual Reality) 시장은 오는 2020년까지 약 1200억 달러에 달할 것으로 예상
- 이는 스마트폰과 태블릿 시장 확대 및 이와 관련한 웨어러블 기기의 급속한 성장 때문
ㅇ 실제로 가상현실 헤드셋은 판매대수 기준으로 핸드폰 관련 제품의 시장점유율이 87%를 차지하고 있으며, 게임 관련 제품이 9%, PC 관련 제품이 4%를 차지하고 있음.
- 그러나 금액 기준으로 볼 때 게임 관련 제품 46%, PC 관련 제품 23%의 시장점유율을 보이고 있어 핸드폰 관련 제품의 점유율 23%를 상회하고 있음.
ㅇ 인도의 게임산업은 2020년까지 약 7억9200만 달러를 초과할 것으로 전망됨. 이에 따라 이와 관련한 가상현실 헤드셋에 대한 수요도 급속히 증가할 것으로 예상
- 타타자동차는 Tiago 자동차 홍보 캠페인에 축구선수 메시를 모델로 활용. 또한, Virtual Drive를 체험할 수 있는 간이 안경을 신문과 함께 제공해 VR 홍보를 2016년 4월부터 활발하게 전개해 소비자들에게 호평을 얻고 있음.
타타자동차의 3D 홍보 이미지(메시 선수가 3D 헤드셋을 통해 Virtual Drive를 체험하고 있다)
자료원: 타타 홈페이지
ㅇ 특히, 타타자동차 홍보에 활용된 체험용 간이 안경은 구글이 개발한 Cardboard 재질의 헤드마운트 형식의 VR 기기로, 구글의 헤드 마운트는 골판지로 만들어져 쉽게 접어서 보관이 가능하며 저렴하다는 장점이 있음. 구글은 이러한 제품을 기반으로 VR 애플리케이션 개발을 더욱 촉진하려는 전략임.
구글의 3D 헤드마운트(구글의 Cardboard 헤드셋 조립방법을 설명하는 자료)
자료원: 구글
□ 주요 경쟁 동향
ㅇ 해당 품목의 수입 시장에서 중국산 제품의 시장점유율이 가장 높게 나타나고 있으며, 한국산 제품이 그 뒤를 잇고 있음. 2016년 상반기의 경우 전년동기대비 약 900만 달러의 대인도 수출실적을 기록함.
인도 수입 현황(HS Code 8528.59 기준)
(단위: 백만 달러, %)
순위 | 국가 | 수입액 | 점유율 | ||||
2014년 | 2015년 | 2016년 (상반기) | 2014년 | 2015년 | 2016년 (상반기) | ||
| 전 세계 | 31.18 | 35.78 | 42.38 | 100 | 100 | 100 |
1 | 중국 | 10.74 | 10.03 | 13.32 | 34.46 | 28.02 | 31.44 |
2 | 한국 | 4.52 | 5.76 | 9.25 | 14.49 | 16.10 | 21.84 |
3 | 싱가포르 | 2.43 | 2.77 | 4.04 | 7.79 | 7.73 | 9.53 |
4 | 말레이시아 | 2.47 | 3.47 | 2.89 | 7.93 | 9.71 | 6.81 |
5 | 미국 | 2.89 | 2.01 | 2.80 | 9.26 | 5.61 | 6.62 |
자료원: WTA
ㅇ 인도에서 주로 활동하는 주요 업체는 ANTVR과 DOMO가 대표적임. ANTVR은 ANTVR은 베이징에 본사가 있는 스타트업 기업이라 할 수 있으며, VR과 가상현실 웨어러블 기기를 주로 취급함. 대표제품은 ANTVR Kit로 게임과 영상을 동시에 즐길 수 있어 많은 인기를 얻고 있음.
ㅇ 대략 11개의 주요 벤더가 인도에서 활동하고 있으며, 주요 업체로는 Lenovo, Samsung, Coolpad, Google, Cardboard, Oneplus HTC 등이 있는데, 인도에서 주로 판매되는 제품은 다음과 같음.
인도 내 판매 중인 주요 VR 헤드셋 현황
브랜드 | 제품 설명 | 가격(루피) | 제품 이미지 | |
Samsung Gear VR | 본 제품은 삼성의 갤럭시 라인의 핸드폰들과 연동되는 제품임. USB 타입 C/ Micro USB 연결이 가능함. | 14,990 (230달러) | | |
Procus ONE Virtual Reality Headset | 2㎜ 렌즈를 사용하며, 머리에 맞게 사이즈를 조정할 수 있는 제품. 3.5~6인치 스크린의 모든 안드로이드 핸드폰, 아이폰, 갤럭시 시리즈와 연동 가능함. Goodle 사의 Cardboard와 Occulus Rift 제품과 유사함. | 2,499 (38달러) |
| |
JT VR box | Google Cardboard의 최신형 버전이며 4~6인치 스마트폰과 호환 가능한 제품임. | 340 (5달러) |
| |
ANT VR Headset | 안드로이드M으로 업데이트 된 레노버 Vibe K5, K4노트, Vibe X3, K5 Plus, K3 Note 등의 스마트폰과 호환 가능함. | 1,999 (31달러) |
| |
DOMOVR7 nHance | 4~6인치의 스마트폰과 호환 가능한 3D VR 헤드셋. 레노버 Theater Max, K4 Note, K5 note, vibe X3 Redmi MInote 3등과 호환 가능함. | 9,990 (154달러) |
|
□ 시사점
ㅇ 지금까지 일부 게임 매니아 등을 위주로 사용된 가상현실 관련 기기들이 최근 삼성, 구글, HTC 등 스마트폰 관련 기업들의 본격적인 VR 헤드셋 출시를 통해 VR 관련 시장의 성장 전망을 더욱 밝게 하고 있음.
ㅇ VR 콘셉트는 다양하게 응용될 수 있는데, 장거리 비행을 해야 하는 비행기에서 VR 헤드셋을 통한 영화 관람 기회를 제공하는 호주 항공사의 서비스가 좋은 반응을 얻고 있음.
ㅇ 구글 카드보드 헤드셋은 적은 비용으로 일반인들의 3D 체험을 확산시켜, 관련 애플리케이션을 중심으로 새로운 플랫폼 구축에 나서고 있음. 우리 기업도 단순한 가상현실 헤드셋 제품 출시만 바라보는 근시안적인 관점에서 벗어나 '상상하는 것이 곧 현실이 되는' 새로운 마켓을 어떻게 창출할 것인지에 대한 장기적인 전략을 세울 필요가 있음.
자료원: KOTRA 뭄바이 무역관 자료 종합
'글로벌 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네덜란드, 바닷물·민물 염분차 활용해 전기를 생산한다 (0) | 2016.11.15 |
---|---|
영국 방송 콘텐츠산업 살펴보기 (0) | 2016.11.15 |
독일 기업의 인도시장 진출전략 (0) | 2016.11.15 |
2016 부산 자동차부품 경협사절단 참관기 (0) | 2016.11.15 |
2016년 중국 웨이상 시장 발전현황 및 전망 (0) | 2016.11.15 |
- 코로나
- 일본
- 싱가포르
- 화장품
- 미국
- 삼성
- 칠레
- 남아공
- 말레이시아
- 영국
- 삼성전자
- 호주
- 리우올림픽
- 이스라엘
- 브라질
- 터키
- 이집트
- 중국
- 인도
- 이란
- 에콰도르
- 스페인
- 러시아
- 멕시코
- 베트남
- 홍콩
- 인도네시아
- 전시회
- 프랑스
- 자동차
- 브렉시트
- 미얀마
- 콜롬비아
- 리우
- 네델란드
- 태국
- 캐나다
- 필리핀
- 독일
- 올림픽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