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 2016년 10월 10일 발효 -
- 남아공 대EU 수출 시 관세 면제율 98.7% -
□ 개요
ㅇ 2016년 6월 10일, 보츠와나 카사네에서 EU가 SADC(남아프카개발공동체)와의 경제동반자협정(EPA) 합의안에 서명함.
- SADC(보츠와나, 레소토, 모잠비크, 나미비아, 남아공, 스와질랜드)의 타 국가들(DR콩고, 마다가스카르, 말라위, 모리셔스, 잠비아, 짐바브웨)은 다른 경제공동체 하에 EU와의 EPA 협상 중
- 앙골라도 추가될 가능성이 있음.
- 이 EPA 결정은 EU가 아프리카 지역과 처음 체결하는 것
ㅇ 남아공 산업통상부, 2016년 10월 10일부로 EPA 시행 발표
- 남아공을 제외한 국가들은 모두 관세가 폐지되고 남아공은 98.7% 폐지
- EU와 남아공은 서로의 지리 표기 명칭(GIs)을 보호하기 위해, 새로운 농산물 시장에 접근 시 인증서 교환 필요
- 남아공은 EU와 교역, 발전 및 협력 협정(TDCA: Trade, Development and Cooperation Agreement)을 1999년 타결한 바 있으나, 이번 EPA 체결에 따라 관세 조건이 변경될 것
□ 주요 내용
ㅇ 불균형 관세 제도 도입
- EU는 SADC의 경제 발전을 돕기 위해 불균형 관세제도 도입. SADC 국가들은 EU로 100% 무관세 수출이 가능한 반면, EU는 대 SADC 국가 수출품 중 86%만 무관세로 수출
- (양자 세이프가드 협정) SADC EPA 회원국들은 자국 산업의 위협이 있다고 판단될 경우 EU 수입품에 대한 5개의 세이프가드 규제 발동 가능
- (원산지 규제 유연성) 원산지가 SADC 국가가 아닌 수입 원단으로 제작한 의류 수출도 EU 무관세 혜택을 받을 수 있음.
남아프리카 - EU 무역자유화 정도
| 관세 면제 | 관세 유지 |
EU의 대SADC EPA 국가(남아공 제외) | 100% (무기 및 탄약 제외) | 무기 및 탄약 |
EU의 대남아공 | 98.7% (전체 96.2%, 부분 2.5%) | 1.3% |
SACU의 대EU | 86.2% (전체 74.1%, 부분 2.5%) | 13.8% |
모잠비크의 대EU | 74% | 26% |
자료원: European Commission
ㅇ 남아공 – EU EPA 주요 내용
- 와인, 설탕, 에탄올, 꽃, 일부 유제품, 생과일, 통조림 과일, 과일주스, 이스트에 대한 시장 접근이 향상됨.
· 설탕: 15만 톤 무관세
· 와인: 1억1000만ℓ 관세 쿼터(기존 5000만ℓ) 용기(병, 대용량 팩) 사이즈 유연성
· 에탄올: 8만 톤 무관세
- EU는 102개 와인, 3개 농산품(루이보스, 허니부쉬(Honeybush), 카루 양(Karoo lamb)), 총 105개의 남아공 GIs를 보호함. 남아공은 120개 와인, 7개 맥주, 22개 주류, 104개의 농산품(특제 육류, 치즈, 올리브 등) 253개의 EU GIs를 보호
- TDCA에 해당 사항이 없는 어업 분야는 EPA 체결로 9년 이하 기간 자유화
□ SADC-EU 교역구조
ㅇ 2015년 기준, SADC-EU 간 총 교역규모는 약 6조7000억 달러
- SADC의 대EU 수출액은 약 321억7000만 달러, 수입액은 약 367억6000만 달러로 수출보다는 수입규모가 크며, 2013년에 비해 수입과 수출이 각각 100억 달러가량 감소함.
SADC의 대유럽 교역동향
(단위: 백만 달러)
| 2013 | 2014 | 2015 |
수출 | 41,926.5 | 40,693.8 | 32,165.6 |
수입 | 48,794.0 | 46,035.7 | 36,764.5 |
교역규모 | 90,720.5 | 86,729.5 | 68,930.1 |
자료원: Trademap
ㅇ 두 공동체 간 교역구조는 SADC가 광물성 연료 에너지, 귀금속 등 자원을 주로 수출하고, EU로부터 보일러 기계류 등 제조품을 수입
- 2015년 기준, SADC의 대EU 주요 수출품목은 광물성 연료 에너지(26.8%), 귀석·반귀석, 귀금속(15.3%), 일반 차량(11.5%) 등
- 한편, SADC의 대EU 수입 품목은 보일러 기계류(17.5%), 그 외 기타 품목(12.2%), 일반 차량(10.2%) 등
SADC의 대EU 수출 5대 품목
(단위: 백만 달러)
순위 | 품목명 | 2013년 | 2014년 | 2015년(성장률) |
1 | 광물성 연료 에너지 | 12,912.8 | 12,931.7 | 8,618.6(-33.35%) |
2 | 귀석·반귀석, 귀금속 | 8,342.6 | 6,211.9 | 4,913.2(-20.91%) |
3 | 일반 차량 | 1,879.6 | 2,661.1 | 3,702.6(39.14%) |
4 | 과실·견과류 | 1,334.5 | 1,346.4 | 1,418.7(5.37%) |
5 | 보일러 기계류 | 2,116.7 | 2,077.2 | 1,277.7(-38.49%) |
자료원: Trademap
SADC의 대EU 수입 5대 품목
(단위: 백만 달러)
순위 | 품목명 | 2013년 | 2014년 | 2015년(성장률) |
1 | 보일러 기계류 | 9,626.1 | 8,957.3 | 6,415.5(-28.38%) |
2 | 그 외 기타 품목 | 3,075.9 | 3,431.1 | 4,489.4(30.84%) |
3 | 일반 차량 | 5,615.2 | 4,986.1 | 3,763.4(-24.52%) |
4 | 전기기기, TV, VTR | 4,281.4 | 4,034.7 | 3,372.6(-16.41%) |
5 | 의료용품 | 1,972.0 | 1,871.1 | 1,772.1(-5.29%) |
자료원: Trademap
□ 시사점
ㅇ 남아공을 비롯한 SADC 국가들의 대EU 수출량은 전체 수출량의 5분의 1을 차지할 정도로 규모가 커 전체 수출량 증대에 기여
ㅇ 남아공의 수출환경이 개선됨에 따라 수출량이 증가하면서 경제 활동 역시 활성화돼 주춤했던 소비시장 회복에 도움 될 것
ㅇ 남아공 대EU 무관세 혜택 및 원산지 규제 유연성을 겨냥한 우리 기업의 제조기지 진출 유망
자료원: Trademap, European Commission, Business Day, KOTRA 요하네스버그 무역관 자료 종합
'글로벌 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복지강국 덴마크 양로원 탐방기 (0) | 2016.10.19 |
---|---|
2016년 하반기 독일 경제의 향방은? (0) | 2016.10.19 |
성장 가능성 높은 중국 하수슬러지 처리(污泥) 관련 산업 (0) | 2016.10.19 |
수단, 태양광에너지시장 현황 및 진출 방안 (0) | 2016.10.18 |
독일 주방용품 히든 챔피언, 한국에 반하다 (0) | 2016.10.18 |
- 브라질
- 인도네시아
- 러시아
- 홍콩
- 미국
- 스페인
- 미얀마
- 이란
- 콜롬비아
- 삼성
- 싱가포르
- 일본
- 터키
- 베트남
- 화장품
- 이스라엘
- 브렉시트
- 전시회
- 독일
- 칠레
- 인도
- 이집트
- 중국
- 필리핀
- 남아공
- 영국
- 자동차
- 호주
- 캐나다
- 말레이시아
- 코로나
- 리우
- 에콰도르
- 네델란드
- 멕시코
- 태국
- 프랑스
- 올림픽
- 리우올림픽
- 삼성전자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