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 무슬림 인구 증가에 따라 현지 할랄식품산업도 급성장 -
- 현지 할랄시장 진출을 위해 인증 필수 -
□ 호주 식품업계도 할랄 열풍
ㅇ 할랄(Halal) 식품은 아랍어로 '허용되는(permissible)'이라는 뜻으로, 무슬림들이 이슬람 율법에 따라 먹을 수 있는 음식임.
- 호주 ABC 방송국의 조사에 따르면, 세계적으로 할랄시장의 규모는 약 2조1000억 호주 달러에 이르며, 호주의 경우 85억 호주달러에 달함.
- 호주 내에서 이슬람교를 따르는 무슬림 인구는 2011년 기준 약 47만6300명으로 호주 전체 인구의 2.2%임. 인도네시아, 파키스탄, 인도, 방글라데시, 터키, 레바논에서의 이민자들이 지속적으로 늘어나면서 해당 산업도 꾸준히 성장할 것으로 전망됨.
ㅇ 현지 대형 슈퍼마켓 체인인 콜즈, 울워스에서 구매할 수 있는 글로벌 식품 브랜드 대부분이 할랄 인증을 획득함.
- 특히, 빵, 우유, 초콜릿, 시리얼, 치킨 가공식품 업계에서 할랄 인증을 받은 곳이 많으며, 해당 인증에 대한 현지 수요가 증가하면서 호주 할랄 인증기관의 역할이 더욱 중요해짐.
- 해당 업체들은 매년 1000호주 달러에서 1만 호주 달러의 인증 갱신 및 검사 비용을 지불하면서까지 내수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키우고, 해외 수출 기회를 잡기 위해 할랄 인증에 투자하고 있음.
- 호주의 유제품 제조업체 Fleurie Milk사는 할랄 인증 갱신 이후 에미레이트 항공사에 요거트를 공급하는 5만 호주달러 납품 계약을 달성했다고 함.
할랄 인증된 호주 주요 식품
자료원: Australian Morning Mail
□ 호주 할랄 인증기관 및 역할
ㅇ 호주 농수산부(Department of Agriculture and Water Resources)에서 승인한 할랄 육류 인증기관은 총 23개사로, 이 중 호주 정부에서 인정하는 가장 대표적인 기관은 아래와 같음.
- Halal Australia: 대표적인 호주 할랄 인증 전문업체 중 하나로, 육류 수출관련 호주 검역국(Australian Quarantine and Inspection Service, AQIS)의 승인을 받은 기관이며, 세계할랄협회(World Halal Council)의 회원이기도 함. 수많은 국내외 협회, 기관, 기업들과 협력관계를 맺고 있음.
- Australian Federation of Islamic Councils(AFIC): 1963년 호주 무슬림 커뮤니티에 의해 조직됐으며, 주별 이슬람 협회를 통합하는 기관으로 국내외적으로 호주 무슬림을 대표하는 단체임.
- Halal Certification Authority Australia(HCAA): 1993년 설립된 할랄식품 인증 서비스를 전문적으로 하는 기관으로, 세계 할랄식품협회(World Halal Food Council)와 세계 할랄협회(World Halal Council)의 창립멤버이며 세계에서 유일하게 할랄도살 및 가공음식 관련 ISO 인증을 받은 곳임.
- Islamic Coordinating Council of Victoria(ICCV): 1992년 설립된 협회로 세계 할랄식품협회 멤버이며, 내수용과 수출용 할랄 육류와 가공식품 인증과 관리 서비스를 제공함.
- Supreme Islamic Council of Hala Meat in Australia INC(SICHMA): 1992년 할랄 식품을 홍보하고 교육하는 비영리 단체로 설립됐으며 호주검역국의 승인을 받은 곳 중 하나로, 호주 대형 식품 제조사의 인증을 진행하기도 함.
호주 할랄 인증기관 마크
기관 | Halal Australia | AFIC | HCAA | ICCV | SICHMA |
마크 | | | | | |
□ 호주 할랄 인증절차
ㅇ 신청서 작성 및 서류 제출
- 신청서는 전화 또는 이메일로 요청 가능하며, 인증기관에서 요구하는 서류를 준비함.
ㅇ 신청서 및 제출서류 평가
- 제출한 신청서와 서류를 토대로 전문가와 함께 확인 및 평가작업을 실시하게 됨.
- 제품 원료, 제조과정, 보관, 유통 시스템에 대한 집중적인 평가가 이루어지며, 확인 작업 후에 감사 리포트에 강점과 보완점 등을 상세히 기록해 수정사항을 요청함.
ㅇ 비용 납부
- 업체의 규모, 사용한 원료 등에 따라 비용이 상이하며 기본비용을 우선 지불해야 함.
ㅇ 현장점검 후 리포트 평가
- 현장방문 일시를 협의해 공인된 인증 전문가가 현장점검을 실시하며, 최종 승인을 위한 리포트를 종교 관계자와 함께 심사해 제출함.
ㅇ 인증 협약 및 비용 납부
- 현장방문 결과가 만족스러울 경우 최종적으로 인증 승인이 결정되며, 미승인이 결정될 시 현장 재방문하게 됨.
- 현장방문 비용을 포함한 최종 인증 비용을 납부함.
ㅇ 할랄 인증서 발급
- 사업체가 등록된 인증서가 발급되며, 마케팅 시 사용할 수 있는 할랄 마크, 로고 등을 제공함.
할랄 인증서 샘플
자료원: Halal Australia
호주 할랄인증 필요서류 및 기간
구분 | 내용 |
필요서류 | - 재료 목록 및 원료 근거 서류 - 제조 공장 정보 - 육류 검역 증명서 - 판매 증명서 - 제품 설명서 - 포장 리스트 - 제품에 사용되는 원료에 대한 할랄 인증서 |
기간 | - 인증과정: 약 2개월 소요 - 유효기간: 1년 (매년 점검을 받은 뒤 비용을 지불하고 연장) |
□ 할랄 도축 인증 관련 참고사항
ㅇ 호주에서 할랄 도축장 또는 도계장 운영 시 이슬람의 샤리아 율법에 맞게 운영돼야 하며, 이는 호주 정부에서 공인된 무슬람 도축자 프로그램(Australian Goverment Muslim Slaughter, AGMS)에 따라 관리됨.
ㅇ 모든 처리과정은 AGMS의 할랄 프로그램 요구사항에 맞춰 인증절차를 거침.
- (시설) 할랄 도축에 적합하도록 관리·감독돼야 하며, 모든 점검은 등록된 이슬람 기관, 호주 정부 검역국(AQIS)을 통해 이루어짐.
- (도착 작업자) 공인된 무슬림 도축 작업자를 고용해야 하며, 도축업자는 반드시 공식허가증을 소지하고 있어야 함. 또한 이슬람 샤리아 율법에 따라 빠르게 작업할 수 있는 날카로운 칼을 사용해야 함.
- (육류 구분) 할랄과 비할랄 육류는 반드시 항상 분리돼 있어야 하며 첨가물이나 재료도 모두 할랄이어야 함.
ㅇ 호주에서 수출 가능한 육류를 도축하는 131개 도축장 중 할랄 전용 도축장은 70개 정도인 것으로 조사됨.
□ 시사점 및 인증 관련 유의사항
ㅇ 호주 식품협회(Australian Food & Grocery Council)에 따르면, 할랄 인증은 호주 제조사들의 선택사항으로 인증 없이도 할랄 음식으로 알릴 수 있는 권리가 있으나, 호주 소비자법에 따라 거짓 표기, 오남용을 금지하고 있음.
ㅇ 호주 정부에서는 할랄 인증 관련해 어떠한 경제적인 지원도 제공하지 않고 있으며, 할랄 인증은 순수하게 상업적인 측면에서 업체가 비용을 지불하고 획득하게 되는 것임.
- 참고로 인증 비용은 기관에 따라 상이하며, 일부 업체들은 비용을 웹사이트에 공지하기도 함. 법적으로 비용을 공개할 의무는 없음.
ㅇ 할랄 인증은 각 인증기관의 심사 절차에 따라 원료 선택, 처리, 제조, 가공, 유통과정 전체를 보고 판단해 인증여부를 결정하기 때문에 매우 까다로운 절차를 거쳐야 함.
- 특히 축산물의 경우 위에 언급된 것처럼 도축과정이 인증 심사에 중요한 부분에 포함되기 때문에 모든 행위가 이슬람의 율법에 맞게 진행돼야 하고 도축업자도 공인된 작업자가 필요함.
자료원: ABC News, IBIS World Australia, Halal Australia, Australian Morning Mail 및 KOTRA 멜버른 무역관 자료 종합
'글로벌 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국의 온라인 팁문화 다샹(打赏), 새로운 트렌드로 주목 (0) | 2016.10.11 |
---|---|
호주, 실버산업이 뜬다 (0) | 2016.10.11 |
트럼프, 美 부가세 및 암묵적 관세 주장 (0) | 2016.10.11 |
캘리포니아 주 기후변화를 위한 법안 SB32 (0) | 2016.10.11 |
네덜란드 총리 마르크 뤼터 경제사절단 방한을 돌아보며 (0) | 2016.10.10 |
- 브라질
- 태국
- 네델란드
- 일본
- 칠레
- 스페인
- 프랑스
- 콜롬비아
- 이집트
- 전시회
- 인도네시아
- 러시아
- 리우
- 베트남
- 영국
- 리우올림픽
- 싱가포르
- 캐나다
- 중국
- 이란
- 터키
- 홍콩
- 미국
- 에콰도르
- 브렉시트
- 필리핀
- 말레이시아
- 독일
- 삼성전자
- 남아공
- 화장품
- 멕시코
- 이스라엘
- 인도
- 호주
- 삼성
- 올림픽
- 미얀마
- 코로나
- 자동차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