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 수출입·민간소비·민간투자 당초 예측보다 부진 전망 -
- 외국계 금융기관들은 1% 중후반대로 하향조정 -
- 코로나19 사태 진정 후 가파른 반등세 보일지 주목 -
□ 수출입·민간소비·민간투자 추정치 ↓, 정부·공영사업 투자 추정치 ↑
○ 대만 정부 통계기관인 행정원 주계총처는 2020년 경제성장률을 2.72%에서 2.37%로 0.36%포인트 하향조정 발표(2020.2.12)
- 첫 추정치(2019.11.29. 발표) 대비 분기별 하향조정폭은 1분기가 가장 큼. 코로나19에 기인 분석
- 1, 2분기 추정치는 각각 하향조정 반면 3, 4분기 추정치는 오히려 소폭 상향조정
2020년 경제성장률 추정치 변화
(단위: %, %p)
발표일 | 연간 | 1분기 | 2분기 | 3분기 | 4분기 |
2019.11.29 | 2.72 | 3.02 | 2.85 | 2.65 | 2.38 |
2020.2.12 | 2.37 | 1.80 | 2.50 | 2.75 | 2.40 |
조정폭 | △0.35 | △1.22 | △0.35 | 0.10 | 0.02 |
자료: 행정원 주계총처
○ 수출·수입, 민간소비, 민간투자 부문 추정치가 모두 하향조정된 가운데 민간투자가 가장 큰 폭으로 조정됨
- (수출) 당초 추정치는 1, 2분기에 3~4%대 증가를 예측했으나 각각 2%대로 하향조정. 반면, 3, 4분기는 당초 2%대에서 3%대로 증가율 추정치를 상향조정. 연평균으로는 2%대에 그칠 것으로 내다봄
- (수입) 3분기를 제외한 나머지 분기 모두 0~1%대 증가에 그칠 것으로 추정. 1분기 증가율 추정치는 3%대에서 1%대로 하향조정됨
- (민간소비) 2012년 이래 8년 만에 성장률이 1%대로 하락. 1분기 성장률 추정치가 당초 2%대에서 1% 미만으로 큰 폭 하향조정된 데 기인
- (민간투자) 전체 고정투자의 81%를 차지하고 있는 민간투자 부문의 성장률이 4%대에서 3%대로 하향조정됨. 4분기 성장률이 당초 추정치 대비 5%포인트 이상 낮춰져 마이너스(-) 성장을 예측
○ 반면, 정부, 공영사업 부문 투자 추정치는 오히려 상향조정됨
- (정부 투자) 정부 투자는 전체 고정투자에서 13%를 차지. 분기별 증가율 추정치가 일제히 상향조정돼 매분기마다 5%대 성장세를 보일 전망
- (공영사업 투자) 공영사업 부문은 전체 고정투자 대비 약 6% 비중. 1~3분기 증가율이 각각 하향조정됐으나 4분기는 당초 예측보다 호조를 보일 것으로 내다봄. 연간으로 2019년에 이어 두 자릿 수 성장세를 지속
부문별 성장률 추정치
(단위: %, %p)
| 연간 | 1분기 | 2분기 | 3분기 | 4분기 |
추정치(조정폭) | 추정치(조정폭) | 추정치(조정폭) | 추정치(조정폭) | 추정치(조정폭) | |
수출 | 2.85(△0.27) | 2.19(△1.93) | 2.46(△0.59) | 3.46(0.69) | 3.20(0.54) |
수입 | 1.73(△0.55) | 1.85(△1.39) | 0.63(△0.31) | 2.87(0.61) | 1.57(△1.15) |
민간소비 | 1.58(△0.44) | 0.75(△1.44) | 1.78(△0.38) | 2.02(0.10) | 1.75(△0.06) |
민간투자 | 3.10(△0.95) | 3.34(△0.97) | 3.15(0.57) | 7.57(1.65) | △1.84(△5.07) |
정부 투자 | 5.31(1.34) | 5.54(1.26) | 5.31(0.90) | 5.37(0.87) | 5.15(1.94) |
공영사업 투자 | 17.65(0.74) | 10.40(△8.11) | 13.77(△2.79) | 23.30(△3.39) | 19.74(7.52) |
주: 추정치는 2020.2.12. 발표 기준. 조정폭은 2019.11.29. 발표 대비
자료: 행정원 주계총처
□ 외국계 금융기관들은 1%대로 하향조정
○ S&P 글로벌 신용평가가 2020.2.24.일 올해 대만 경제성장률을 1.9%로 0.5%포인트 하향조정한 데 이어 2020.3.3.일에는 스탠다드차타드은행, 호주뉴질랜드은행이 각각 1.9%, 1.6%로 이전 추정치 대비 0.3%포인트, 0.5%포인트 하향조정함
- 스탠다드차타드은행 토니 푸 시니어 이코노미스트는 대만은 무역·투자·관광 등 각 분야에서 중국과의 연계성이 높고 코로나19로 중국의 생산능력이 감소해 1분기 대만 경제에 영향이 불가피하다고 분석
외국계 금융기관별 대만 경제성장률 추정치
(단위: %)
| S&P 글로벌 신용평가 | 스탠다드차타드은행 | 호주뉴질랜드은행 |
최신 발표치(발표일) | 1.9 (2020.2.24.) | 1.9 (2020.3.3.) | 1.6 (2020.3.3.) |
이전 발표치(발표일) | 2.4 (2019.12) | 2.2 (2019.12) | 2.1 (2019.11) |
자료: 현지 언론보도 종합
○ 이런 외부 경제전망에 대해 대만 주계총처 주저민 주계장(처장)은 600억 대만달러(원화 2조4,000억 원)에 달하는 ‘코로나19 예방치료·구제진흥 특별 예산’이 집행되면 공공지출이 늘어나 경제 성장에 기여할 수 있으므로 연간 2%대 성장 전망이 타당하다는 입장을 밝힘
- 대만은 ‘코로나19 예방치료·구제진흥 특별조례’가 2020.2.25.일 입법원을 통과·발효됨. 이 조례를 집행하기 위해 대만 정부는 총 600억 대만달러에 달하는 특별예산(안)을 편성했고 2020.3.13.일 전후로 입법원(국회)를 통과 예상
‘코로나19 예방치료·구제진흥 특별예산(안)’ 비목별 편성 현황
(단위: 대만달러)
대분류 | 중분류 | 소분류 |
예방치료 (196억) | 방호물품 (40억3천만) | - 방호물품 수매·배급(28억3천만) - 진단시약·소모품·의료기기 구매(12억) |
격리검역 (33억) | - 자가격리·검역자 및 보호자 대상 방역격리 보상금(18억2천만) - 선별 검역소 개설·운영비(14억8천만) | |
의료기관 정비 (40억2천만) | - 코로나19 대응병원 정비 및 환자 격리치료(29억9천만) - 방역 필요에 따른 진료 중지 또는 격리병원 지정에 따른 운영 손실 지원(10억3천만) | |
기타 (82억1천만) | - 상황 변화 대응용 방역 경비(45억6천만) - 교육기관 방역 경비(25억3천만) - 운수업 방호물품 구매 지원(11억2천만) | |
구제진흥 (404억) | 중소기업 (135억5천만) | - 대출융자보증(100억) - 대출이자 지원 및 융자진단(34억5천만) - 코로나19 피해 중소기업 혁신연구개발 지원(1억) |
제조업 (25억8천만) | - 코로나19 피해기업 대상 연구개발·인재양성 지원(22억3천만) - 수출 진흥 및 컨벤션 산업 강화(3억5천만) | |
요식·소매·상권·시장 (39억5천만) | - 내수 산업 소비혜택조치(20억) - 마케팅 행사 개최 및 시설 개선 지원(19억5천만) | |
운수업 (87억) | - 항공·공항업 착륙비·권리금 지원(42억9천만) - 여객운송업 연료비·면허세 지원(25억3천만) - 택시 유류비 지원(11억) - 운수업 관련 기타 지원(7억8천만) | |
관광·숙박업 (73억) | - 관광업 회복·진흥 지원(54억5천만) - 숙박업 운영부담 경감 지원(15억) - 원주민·객가 관련 관광업 마케팅(3억5천만) | |
농어업 (34억8천만) | - 농산물 해외시장개척(14억2천만) - 농산물 가공·유통채널 역량 강화(7억3천만) - 축수산업 가공·유통채널 역량 강화(5억8천만) - 축수산물 생산·판매 조절(5억2천만) - 농어업인 대출이자 지원(2억3천만) | |
예술문화산업 (8억) | - 예술문화 분야 사업·단체·개인 운영자금 지원(3억8천만) - 예술문화 소비 지원금(3억) - 기타 예술문화산업진흥방안 및 대출이자 지원(1억2천만) |
자료: 행정원(2020.2.27.)
□ 시사점
○ 정부 통계기관(행정원 주계총처)을 비롯해 현지 민간 싱크탱크인 대만경제연구원도 2%대를 내다보고 있는 가운데 외부에선 1%대로 관측하고 있어 귀추가 주목됨
○ 대만경제연구원의 경우, 올해 대만 경제는 과거 사스 때와 같이 코로나19 사태 진정 후 가파른 반등세를 보일 것으로 내다보고 2020.1.22.일 발표한 경제성장률 추정치(2.67%)를 잠정적으로 유지
- 2003년 사스 당시* 대만은 2분기 경제성장률이 사스 발병 이후 첫 추정치에 비해 현저하게 낮은 마이너스(-)를 기록했으나 3, 4분기에는 당초 예측보다 가파르게 반등한 바 있음
* 대만은 2003년 3월 들어 사스가 발병되기 시작
- 대만경제연구원 장졘이 원장은 대만 경제가 U자형 성장세를 보일 수 있는데 이 때 곡선 바닥이 얼마나 지속될지는 코로나19 사태 추이를 지켜봐야 한다고 말함
자료: 행정원 주계총처, 행정원, 현지 언론보도 종합(자유시보, 경제일보, 공상시보 등)
'글로벌 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BTS enlistment problem (0) | 2020.10.08 |
---|---|
Fine for not wearing a mask ? (0) | 2020.10.07 |
2020년 파라과이 경제전망 (0) | 2020.03.05 |
독일, 후두암으로 잃어버린 목소리를 찾아주는 인공후두 시장 성장 (0) | 2020.03.05 |
꾸준히 성장 중인 프랑스 전자상거래 시장 (0) | 2020.03.05 |
- 브렉시트
- 일본
- 자동차
- 미국
- 터키
- 리우올림픽
- 콜롬비아
- 필리핀
- 중국
- 이란
- 칠레
- 프랑스
- 캐나다
- 리우
- 베트남
- 인도
- 코로나
- 영국
- 홍콩
- 브라질
- 삼성
- 태국
- 러시아
- 에콰도르
- 올림픽
- 미얀마
- 삼성전자
- 독일
- 네델란드
- 이스라엘
- 호주
- 화장품
- 멕시코
- 말레이시아
- 이집트
- 싱가포르
- 남아공
- 인도네시아
- 스페인
- 전시회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