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현지화 전략이 필요한 국내기업의 자동차 부품기업 M&A 필요 - - 완성차 업체 부재로 인해 발전 가능성 한계 노출 - □ 개요 ㅇ 크로아티아 자동차 산업 등록 기업은 약 130개사, 종사자는 2013명 - IT, 전기·전자, 전력 등 기타 산업 대비 산업 경쟁력은 점차 축소 - 전기차 및 특수차량 제조업체를 제외한 순수 완성차 업체 부재가 산업경쟁력 악화의 주요 원인 - 현지 기업들의 영세성으로 인해 유럽 자동차 기업들의 현지 부품 공장 인수 위주로 산업 개편 중 ㅇ 완성차 업체 부재에 따라 전체 제조의 85~90%가 수출 품목 - 이에 따라 전체 매출의 73%를 자동차 부품이 차지 - bodies, 트레일러, 세미트레일러 17%, 완성차 11% 자동차 산업 매출 비율 □ 산업 분석 ㅇ 자동차 부품..
- 회사 설립 및 거주비자 취득 여건 매우 양호 - - 현지 직원 의무 고용 및 노무관리에 대한 철저한 주의 필요 - 인터뷰: 변호사 Mr. Ivan Simac □ 개요 ㅇ 최근 한국 관광객 급증으로 인해 크로아티아 창업을 준비하는 한국인들이 늘고 있음. - 2015년 35만 명의 한국인이 크로아티아를 찾은데 이어, 올해에는 약 45만 명 이상이 방문할 것으로 현지 관광청은 추산하고 있음. - 한국 관광객이 급증함에 따라, 여행사, 게스트하우스 및 일반 소규모 창업 등을 계획하는 한국 사업가들의 방문도 함께 늘어나고 있는 상황임. - 그러나, 크로아티아 창업을 두고 회사 설립 및 거주비자 취득에 약 3000만 원 또는 5000만 원 이상이 소요된다는 부정확한 정보가 확산되고 있는 현실이며, 이 때문에 크..
- 남성, 기능성 화장품 시장 전망 밝아 - - 우리 제품, 조속한 제품 등록이 우선 - □ 시장 개요 ㅇ 크로아티아 화장품 시장규모는 약 1억6000만 달러 규모로, 스킨케어와 남성용품 시장 규모가 가장 큰 것이 특징임. - 장기간의 경기 침체와 실업률로 인해 화장품 시장의 성장률은 정체 상황 - EU 가입을 기점으로 다양한 화장품이 유입되며, 업계 간 경쟁 심화로 인해 오히려 상품 단가는 하락하는 추세 크로아티아 화장품 품목별 시장 규모 (단위: 백만 달러) 품목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유아용품 14.78 14.91 15.15 15.20 15.23 샤워용품 39.66 40.19 40.97 40.46 39.78 색조화장 48.23 49.20 49.01 49.67 53.77..
2016 크로아티아 경제, 플러스 성장의 원천은 교역 확대- 1분기 수출입 실적 모두 증가, 실업률도 지속적인 회복 조짐 -- 정치권 불안은 여전히 경제발전에 장애 요소 - □ 2016년 1분기 대외무역 분석 ○ 당초 예상과는 달리 건실한 대외무역 성적표 받아 - 크로아티아 통계청이 이번 주 발표한 2016년 1분기 대외무역 동향에 따르면, 수출입은 전년동기대비 각각 2.4%, 3.9% 증가한 것으로 나타남(자국 화폐 기준). · 1쿠나: 0.1344유로, 0.1482달러(환율변동에 따른 환율 표기방식에 따라 성장률이 달라짐에 따라, 자국 화폐 기준으로만 작성) - 2016년 1분기 수출은 현지화폐 기준 278억 쿠나(36억5000만 유로)이며, 수입은 468억 쿠나(61억5000만 유로)임. - 당초 ..
- 프랑스
- 인도네시아
- 영국
- 올림픽
- 러시아
- 일본
- 스페인
- 삼성전자
- 칠레
- 태국
- 삼성
- 남아공
- 터키
- 에콰도르
- 이스라엘
- 전시회
- 자동차
- 네델란드
- 말레이시아
- 베트남
- 리우올림픽
- 독일
- 이란
- 홍콩
- 브렉시트
- 인도
- 콜롬비아
- 미얀마
- 호주
- 싱가포르
- 미국
- 중국
- 멕시코
- 리우
- 필리핀
- 이집트
- 브라질
- 화장품
- 코로나
- 캐나다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