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라크 지방정부, 재건을 위한 프로젝트 신규 추진 - 이라크 표준청, 소비자보호를 위한 기술규제 강화 - 이라크 정부, 재정난 타개를 위한 세입원 확대 추진 □ 2017년 이라크시장, 성장의 새로운 전기 마련될 것 ㅇ 이라크 정부군과 미군 자문단은 ISIL의 오랜 거점이었던 팔루자 탈환을 2016년 6월 성공하고 ISIL 최대 근거지인 모술 탈환을 목전에 두고 있어, 2017년부터는 본격적으로 재건 및 복구 프로젝트 재개가 전망되고 있음. - 12월 1일 OPEC 회원국 간에 원유생산 감산 합의에 성공한 후, 국제유가가 다소 상승하는 등 이라크 정부의 재정압박 해결에 긍정적인 국제유가 흐름도 보이고 있는 상황임. - 2013년 기준 우리나라 대이라크 수출규모는 약 20억 달러로 사우디, UAE, 이란..
- 주류 수입금지는 10월 22일부터 유효, 주류 수입상들의 반발 예상 - - 북부 쿠르디스탄 자치정부 지역은 제외 - □ 이라크 주류 시장 개요 ㅇ 이라크 내 이슬람 교리에 따라 무슬람들은 음주가 법으로 금지돼 있으나, 주류의 수입 및 유통은 허가돼 왔음. - 2008년 이라크 전쟁 이후 종교적 억압, 테러 등으로 다소 침체됐던 주류 시장이 다시 활성화됐고, 이라크에서 공공장소, 음식점, 길거리에서 음주를 즐기는 젊은 층이 증가하는 추세 - 무슬람은 음주가 금지돼 있으나, 집에서는 이라크 전통주(Arak)를 포함 음주를 즐기는 것으로 알려져 있음. - 이라크인들은 맥주 및 위스키를 가장 선호함. 터키가 이라크 맥주 수입시장의 50% 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며, 한국이 2위, 요르단이 3위 수입국 이라크 맥..
- 이집트
- 삼성전자
- 호주
- 네델란드
- 에콰도르
- 브라질
- 러시아
- 리우올림픽
- 코로나
- 칠레
- 싱가포르
- 일본
- 인도
- 미국
- 자동차
- 터키
- 이란
- 올림픽
- 캐나다
- 인도네시아
- 태국
- 남아공
- 베트남
- 전시회
- 리우
- 이스라엘
- 스페인
- 영국
- 프랑스
- 홍콩
- 멕시코
- 필리핀
- 삼성
- 콜롬비아
- 중국
- 말레이시아
- 미얀마
- 브렉시트
- 화장품
- 독일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