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 이란, 고질적인 환경오염 문제 해결을 위해 최근 폐기물 재활용에 정책적 관심 증가 -
□ 이란 폐기물 관리 현황 및 관련시장 활성화 전망
ㅇ 이란 정부, 이란 주요 환경 오염원으로 폐기물 지목
- 2019년 4월 이란 환경부의 발표에 따르면, 이란에서 발생하는 폐기물의 약 25%가 재활용이 가능하지만 폐기물 관리가 이뤄지지 않아 단 1킬로그램도 재활용 되지 않고 있으며 배기가스와 함께 이란의 심각한 환경오염원임.
ㅇ 이란 정부는 주요 정책과제로 폐기물 관리 관련법 개정 및 관련 시장 활성화를 추진하고 있으며, 향후 이란 폐기물 처리 관련 프로젝트 발주 증가가 예상됨.
ㅇ 특히, UNIDO는 이란이 폐기물 재활용 프로젝트를 추진할 경우, 100억 달러 부가가치가 창출될 것으로 전망한 보고서를 제출, 이란 정부의 관심 증가로 관련 정책 추진 속도가 빨라질 것으로 보임.
UNIDO의 이란 폐기물 재활용 프로젝트 추진시 경제효과 분석
재활용 과정 | 산업생산액 (백만달러) | 연간 폐기물 발생량(톤) | 부가가치(백만달러) |
식품류 재활용을 통한 퇴비 및 유기 비료 식품 생산 | 2,857 | 13,000,000 | 220 |
철강 및 차량 재활용을 통한 금속 생산 | 4,225 | 6,500,000 | 2,958 |
플라스틱 및 폴리머 재활용을 통한 화합물 및 플라스틱 생산 | 4,600 | 2,000,000 | 2,300 |
석유 및 폐유 재활용을 통한 염기유 및 탄화수소 연료 생산 | 2,250 | 1,500,000 | 1,575 |
종이, 섬유 및 섬유소 재활용 | 1,650 | 1,500,000 | 990 |
비철금속 및 알루미늄 재활용 | 1,000 | 500,000 | 800 |
유리폐기물 재활용 | 725 | 500,000 | 580 |
타이어 및 고무 재활용을 통한 아스팔트, 열분해유 및 타이어 생산 | 1,050 | 300,000 | 525 |
폐식용유 재활용을 통한 바이오 연료 생산 | 203 | 200,000 | 122 |
총 계 | 18,560 | 26,000,000 | 10,070 |
자료원: UNIDO report 2018 (www.unido.it )
□ 이란 폐기물 재활용 프로젝트 관련 기 투자진출국 현황
지역 | 투자국 | 년도 | 투자금액 (백만달러) | 자료원 |
잔잔(Zanzan) | 영국 | 2016 | 115 | |
사베(Saveh) | 이탈리아 | 2017 | N/A | |
일람(Ilam) | 독일, 이탈리아 | 2018/2019 | N/A | www.mehrnews.com |
가즈빈(Qazvin) | 독일 | 2017/2018 | 5.5 | www.invest.qazvin. |
□ 이란 폐기물 관리 추진 프로젝트 주요 사례
ㅇ 이란내 주요 도시 고체 폐기물 관리 플랫폼 개발
- 스타트업 기업 지원 등을 통해, 폐기물 재활용 및 분리를 촉진하기 위한 시장 활성화
ㅇ 이란 고체 폐기물 관련 어플리케이션 개발
- 도시 고형폐기물 관리 어플리케이션은 2020년 6월부터 테헤란을 중심으로 상용화
- Android, iOS 및 웹용 3가지 버전으로 제공되며 인공지능과 자동 관리절차를 바탕으로 도로 교통체증감소와 더불어 운영비 절감 기대
ㅇ 습식 폐기물을 통한 전기 생성
- 이스파한 과학기술 단지 입주 기업을 통해 습식폐기물로 전기를 생산하는 기계 개발
- 1t, 3t, 5t의 서로 다른 3가지 용량으로 설계
- 폐기물 전기전환과정 : 유기농 폐기물을 지하굴착기로 배출, 혐기성 과정을 통해 폐기물을 분해 또는 소화, 에너지 회수과정을 통해 메탄가스 방출, 밸브를 통해 메탄가스를 이동시켜 가연성 물질로 전환
- 전기 생성 과정을 통해 생성된 전력은 가정이나 지역사회로 공급될 예정
ㅇ 스마트 폐기물 모니터링 시스템
- 무선주파수 식별(RFID) 기반의 스마트 폐기물 모니터링 시스템을 개발
- 무선주파수 식별 프로그램(RFID)과 자동 감지 기능을 통해 관리비용을 낮출 수 있으며 폐기물 분리과정을 보다 능률적으로 만들 수 있음.
□ 이란의 폐기물관리 관련품목 수입 상위 10개국
ㅇ 이란 내 폐기물관리 관련품목 수입액은 중국, 독일, 일본 순으로 높으며, 한국은 7위 차지
- 중국은 2018년 전년대비 98.48% 증가하며 지속적인 이란내 폐기물 관련 시장진출을 확대하고 있으며, 일본은 연도에 따라 편차가 크나 ODA 연계 프로젝트 추진으로 시장점유가 커질 것으로 전망
- 우리나라는 2018년 전년대비 27.15% 감소했으며, 최근 3개년간 감소 추세가 지속
이란 수입 통계 | |||||||
HS코드 847989 | |||||||
구분 | 미국 달러 | 점유율(%) | 증감률(%) | ||||
2016 | 2017 | 2018 | 2016 | 2017 | 2018 | 2018/2017 | |
전체 | 217,965,228 | 239,245,034 | 320,491,566 | 100.00 | 100.00 | 100.00 | 33.96 |
중국 | 43,890,258 | 60,657,576 | 120,392,558 | 20.14 | 25.35 | 37.56 | 98.48 |
독일 | 49,084,298 | 37,401,244 | 63,763,516 | 20.14 | 15.63 | 19.90 | 70.49 |
일본 | 9,932,674 | 106,514 | 30,906,135 | 4.56 | 0.04 | 9.64 | 28916.03 |
스위스 | 1,113,554 | 2,869,382 | 25,846,198 | 0.51 | 1.20 | 8.06 | 800.76 |
터키 | 9,361,047 | 18,731,462 | 20,746,633 | 4.29 | 7.83 | 6.47 | 10.76 |
이탈리아 | 26,992,755 | 42,541,302 | 15,674,102 | 12.38 | 17.78 | 4.89 | -63.16 |
대한민국 | 34,787,990 | 17,156,198 | 12,498,874 | 15.96 | 7.17 | 3.90 | -27.15 |
UAE | 9,445,290 | 37,722,421 | 11,720,940 | 4.33 | 5.77 | 3.66 | -68.93 |
스페인 | 1,747,046 | 2,454,087 | 8,825,453 | 0.80 | 1.03 | 2.75 | 259.62 |
인도 | 24,052,26 | 9,766,262 | 610,965 | 11.03 | 4.08 | 1.91 | -37.45 |
자료원: Global Trade Atlas
□ 관련단체
ㅇ 이란 재활용 산업협회: AIRI(Association on Iran Recycling Industries)
- 이란 폐기물 관리법 정책을 개선하고 이란의 재활용 시장을 세계로 확장함으로써 기술적, 재정적인 지원 제공을 목적으로 설립
- 환경보호를 위한 회의와 토론을 진행하며 재활용 산업 사이의 연대와 협력 강화를 위해 노력
ㅇ 세 가지 주요 주제(재활용, 민간투자, 지속가능한 개발)를 지원하기위한 이란 폐기물 관리법 개선 요구
- 기존 5%~25%부과되는 수익세(Profit Tax) 완전 감면
- 모든 제품의 재활용 비용을 가격의 0.05%에서 0.1%로 증가
- 폐기물 거래를 위한 투명한 시장 환경 조성
□ 이란 현지 기업과의 인터뷰
ㅇ 폐기물 재활용 업체 T사
- 현재 고철은 이란 제철소의 연간 공급원료 중 15% 미만으로 구성되어있으며, 이란 재활용 사업에서 가장 활발한 분야는 철강 재활용 분야임을 언급함.
o 폐기물 재활용 기계 제조업체 P사
- 주로 고체 폐기물 재활용 분야에서 활발히 활동하고 있는 기업으로, 재활용 설비 및 기계 관련 한국 제품이 경쟁력이 있다고 인지하고 있음.
- 프로젝트 기반의 산업 성격상 현지 진출시 합작투자가 가장 적합한 방식임.
□ 이란 폐기물 관리 관련 정책 추진계획
o 폐기물 및 재활용 산업 관련 이란 정부 정책
- 이란 환경부에 따르면, 향후 5년 동안 폐기물 재활용 산업은 재활용 분야에서 25%~80%, 기계화 수거 분야에서 27%~60%, 폐기물 분리 분야에서 7%~30%까지 달성을 목표로 함.
- 2023년 말까지 이란은 123개의 퇴비 프로젝트, 264개의 매립지 건설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18개의 폐기물 소각장을 갖춘 농촌 폐기물 관리 지역들을 지정 계획
□ 시사점
ㅇ 이란은 테헤란 등 대도시 환경문제가 고질적으로 존재해 왔으나 정부 정책화 및 프로젝트 추진을 구체화한 것은 2016년 이후 최근으로, 향후 시장 변화에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음.
ㅇ 초기단계의 이란 폐기물 관리 프로젝트 참여 시 향후 시장 선점 효과 기대
ㅇ 단, 현재 미국의 대이란 금융제재로 결제, 투자금 회수 등 리스크가 남아 있어 유의해야 하며, 추후 상황 변동 시 발빠른 대응을 위해 지속적인 정보 수집 및 네트워킹 필요
자료원: 이란 환경부, 이란 관세청, UNIDO, 이란 재활용 산업협회, Global Trade Atlas, 현지기업 인터뷰, KOTRA 테헤란 무역관 자료 종합
'글로벌 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집트 최대 건설 전시회, The Big 5 Construct Egypt 참관기 (0) | 2019.09.18 |
---|---|
러시아의 독특한 픽업 배송 서비스 (0) | 2019.09.18 |
과테말라 의료 기기 시장의 95%는 수입제품 간의 경쟁 (0) | 2019.09.16 |
우즈베키스탄 세금과 관세 혜택 규정에 관한 대통령령 발표 (0) | 2019.09.16 |
대만, 한국산 스테인리스강 냉연제품에 반덤핑 관세 5년 연장 (0) | 2019.09.11 |
- 홍콩
- 삼성
- 에콰도르
- 터키
- 독일
- 이란
- 캐나다
- 미얀마
- 삼성전자
- 프랑스
- 일본
- 네델란드
- 영국
- 자동차
- 이집트
- 브라질
- 인도
- 리우올림픽
- 브렉시트
- 말레이시아
- 태국
- 베트남
- 싱가포르
- 중국
- 콜롬비아
- 호주
- 화장품
- 올림픽
- 필리핀
- 코로나
- 칠레
- 남아공
- 미국
- 스페인
- 러시아
- 인도네시아
- 이스라엘
- 멕시코
- 리우
- 전시회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