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 과도한 플라스틱 사용에 대한 인식 변화로 플라스틱 대체 상품 인기 -
- 환경을 생각한 제품을 내세운 홍콩 시장 진출 고려 필요 -
ㅁ 홍콩의 플라스틱 폐기물 현황
ㅇ 홍콩 환경보호국의 통계에 따르면, 2017년 기준 홍콩에서 일 평균 배출되는 플라스틱 폐기물의 양은 2124톤을 기록하였으며 이는 홍콩 전체 폐기물 중 19.8%를 차지함.
ㅇ 또한, 국제 환경보호 단체인 홍콩 Greenpeace에 따르면, 홍콩에서 하천을 거쳐 바다로 흘러들어가는 플라스틱 폐기물이 무려 176톤에 달한다고 함.
2017년 폐기물 종류별 일평균 중량 및 비율
(단위 : 톤)
자료 : 홍콩 환경보호국
ㅁ 플라스틱 사용에 대한 홍콩 시민들의 인식과 실 사례
ㅇ 국제적인 환경 보호 단체 WWF(World Wildlife Fund) Hong Kong에서 홍콩 10개 지역 내 약 3천 명의 시민을 상대로 진행한 설문 결과, 80% 정도의 응답자가 식당의 일회용 식기 사용 규제에 대해 찬성하는 것으로 나타남.
ㅇ 응답자 중 76%의 답변자는 음식을 포장할 때 일회용 식기 사용을 거절한 적이 있으며, 약 60%의 응답자는 일회용 식기를 사용하는 식당에 가는 것을 자제한 적이 있다고 답함.
ㅇ 주요 카페에서도 빨대, 그릇, 숟가락, 포크 등 플라스틱 식기 사용을 자제하고 있음.
|
| |
2020년까지 플라스틱 사용률 30% 줄이기 캠페인 중인 S카페 | 플라스틱 식기구 대신 옥수수를 소재로 한 빨대를 사용중인 P카페 |
자료 : 홍콩무역관 직접 촬영
ㅁ 현지 시장의 플라스틱 프리 캠페인 사례와 판매중인 상품들
ㅇ Plastic-free 제품을 판매하는 홍콩 S상점의 매니저는 무역관과의 인터뷰에서 "과다한 플라스틱 사용에 따른 환경 문제가 화두로 떠오르면서 이를 대체할 수 있는 상품을 찾는 고객들 뿐 아니라 상점에서 진행하는 BYOB(Bring Your Own Bottle) 캠페인에 참여하는 고객이 점차 늘고있어 Plastic-free 대체품 시장에 대한 전망이 밝을 것"이라고 답함.
ㅇ S상점에서 진행중인 'BYOB(Bring Your Own Bottle)' 캠페인
- 상점 내 'Refill station'에서 친환경 성분을 사용하여 만든 세제, 샴푸 등을 직접 가져온 폐 용기에 담고 무게를 재어 구매하는 것으로 5% 할인을 받을 수 있음.
- 구매자 참여형 행사로 꾸준히 고객 참여도가 증가하고 있음.
자료 : 홍콩무역관 직접 촬영
ㅇ 친환경 성분으로 제작된 생활용품들
| |
옥수수와 대나무를 소재로 한 주방용품 | 식물성분으로 만든 식품보관 포장지 |
| |
비료로 사용가능한(compostable) 쓰레기 봉투 | 재 사용이 가능한 종이 타월(towel) |
| |
대나무 소재로 만든 음료 텀블러 | 스테인리스 소재의 빨대 및 세척 솔(brush) |
자료 : 홍콩무역관 직접 촬영
ㅁ 홍콩에서 진행한 'Plastic-Free in July' 캠페인
ㅇ Plastic-Free 재단은 홍콩에서 7월 한 달간 플라스틱 사용량을 줄이는 'Plastic-Free in July' 캠페인 행사를 진행함.
ㅇ 이 행사는 전 세계적으로 문제가 되고있는 과도한 플라스틱 사용에 대한 경각심을 일깨워주며, 소비자들 스스로 플라스틱 사용을 줄이는 노력을 할 수 있도록 함.
Plastic-Free July challenge
자료 : Plastic free foundation 홈페이지
ㅇ 홍콩의 유명한 생활매거진 'Hong Kong Tatler'에서는 Plastic-Free를 실천하는 다섯가지 방법을 제시함.
- 대나무 식기, 스테인리스 빨대 등 재사용이 가능한 제품 사용(Switch to reusable items)
- 원하는 만큼만 재어서 구매하기(Shop in bulk)
- 유투브 DIY 채널이나 각 브랜드에서 제공하는 일일 클래스 등에 참여하여 DIY 제품 만들기(DIY)
- 주말 등 휴일에 홍콩의 비영리 단체에서 진행하는 활동 참여하기(Join local initiatives)
- 다큐멘터리 등 환경오염과 관련된 영상을 보며 친환경 실천방법 알리기(Spread the word)
ㅁ 시사점
ㅇ 플라스틱 사용에 따른 환경문제에 대한 인식이 점차 확산하면서 이를 대체하는 상품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음.
ㅇ 주요 카페나 식당에서도 플라스틱 사용을 줄이는 캠페인을 시행하고 있거나 식기류를 대체함으로써 소비자들에게 플라스틱 사용에 따른 환경문제를 인식시키고 있음.
ㅇ 이에 따라 대나무, 식물, 옥수수 등 천연 성분으로 만든 플라스틱 대체재에 대한 관심도가 증가하고 있으며, 다양한 상품이 시장에 출시되고 있음.
ㅇ 빨대, 컵, 포크, 그릇, 포장용지 등 다양한 상품들이 있지만 가격이 다소 비싼 편으로 플라스틱 사용의 대체재 역할을 하면서 가격 부담을 줄일 수 있는 상품 출시에 대한 국내 기업들의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임.
ㅇ 홍콩 시장 진출 시에도 현재 확산하고 있는 플라스틱 사용 줄이기 캠페인에 맞춘 상품 또는 패키징 등으로 현지 소비자들의 이목을 끌 요소를 찾는 것이 필요함.
자료 : 홍콩환경보호국, WWF홍콩 기사, KOTRA 홍콩무역관 자료 종합
'글로벌 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도 산학협력의 최전선, 인도 최고의 대학 IIT Madras Research Park를 방문하다 (0) | 2019.09.04 |
---|---|
케냐, 2019/20년 예산안 발표 (0) | 2019.09.03 |
폴란드 유로화 도입 시기, 여전히 불투명 (0) | 2019.09.03 |
건강과 맛, 두 마리 토끼를 다 잡는 홍콩의 다양한 '채식식품' 탐구 (0) | 2019.09.03 |
방글라데시 뎅기열 관련 제품 수요 폭증 (0) | 2019.09.02 |
- 에콰도르
- 리우올림픽
- 베트남
- 캐나다
- 브라질
- 미국
- 이란
- 멕시코
- 이집트
- 브렉시트
- 자동차
- 남아공
- 중국
- 터키
- 칠레
- 스페인
- 태국
- 화장품
- 인도
- 리우
- 프랑스
- 독일
- 삼성전자
- 홍콩
- 일본
- 인도네시아
- 미얀마
- 올림픽
- 삼성
- 말레이시아
- 싱가포르
- 콜롬비아
- 전시회
- 필리핀
- 영국
- 네델란드
- 이스라엘
- 러시아
- 코로나
- 호주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