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中 공업 소프트웨어 시장동향
- 연내 130억 달러에 육박할 전망 -
- 정책지원, 시장수요 확대가 급성장의 주요 원인 -
- 원천기술을 우선시하고 시장맞춤형 전략을 펼쳐야 -
자료원: 중화공업망(中華工業網)
□ 시장 개황
○ ‘15년 중국 정부가 제조업 강국으로 도약하는 전략*들을 내놓기 시작하면서, 공업 소프트웨어 산업이 주목을 받고 있음.
* 중국제조2025, 인터넷 플러스 전략 등
- 중국 제조업이 스마트화를 실현하는데 있어 공업용 소프트웨어의 발전수준이 핵심과제로 자리매김
○ ‘16년 중국 공업 소프트웨어 산업은 전년대비 31% 증가해 130억 달러에 육박할 전망
- 최근 몇 년간의 성장세를 살펴보면, ‘13년 주춤했다가 다시 안정적으로 상승세를 타고 있음.
중국 공업 소프트웨어 시장 규모
자료원: 사이디 컨설팅(賽迪智庫)
○ ‘14년 중국 스마트 설비시장의 발전과 더불어 공업 4.0개념이 중국 사회 전체에 영향을 주기 시작, 그중 임베디드 시스템 소프트웨어 시장의 발전이 가장 눈에 띔.
- ‘14년 임베디드 응용 소프트웨어는 22.7%의 고속성장을 구가했으며, 시장점유율도 ‘13년의 62.8%에서 64%까지 성장
- 경영 분야 소프트웨어는 모바일 인터넷의 폭풍의 영향으로 19.2%의 성장률 실현
- 이 두 분야는 전체 공업 소프트웨어 시장의 대폭 성장을 이끌고 있음.
- 상품 연구개발, 생산과정관리는 협력통합 소프트웨어보다 증가폭이 낮은 편. 시장점유율은 다소 하강했으며, 전통적인 소프트웨어 제품 판매는 산업 전체에서 성장이 둔화
중국 공업 소프트웨어 분야별 시장 규모
자료원: 사이디 컨설팅(賽迪智庫)
□ 분야별 산업동향
1) 일반 공업용 소프트웨어
○ 정책 추진, 혁신 가속, 시장수요 확대 등의 영향에 따라 공업용 소프트웨어산업의 응용 범위가 한층 확대됨과 동시에 시장 경쟁도 치열해짐.
- ‘13년부터 중국에서는 많은 정책 조치들을 통해 정보화와 공업화의 융합을 추진하고, 공업 소프트웨어 산업을 적극 발전시켜왔음.
- 또한, 왕성한 시장 수요에 발맞춰 소프트웨어 산업 기업들은 기술, 제품, 서비스의 혁신을 지속적으로 추진
- 따라서 각 공업 소프트웨어 기업들은 시장 변화에 강하게 대응했으며, 새로운 제품을 출시해 경쟁에 참여
2) 경영 관리 소프트웨어
○ ‘14년, 중국 경영 관리 소프트웨어 시장에서 각종 소프트웨어는 대체적으로 큰 폭의 성장을 이루었고, 전체 성장폭은 25.1%를 기록
- 클라우드 기술을 바탕으로 하는 경영 관리 소프트웨어는 성장률이 44.1%에 이름.
- 그 중 ERP 시장은 클라우드 서비스의 영향을 많이 받고 있는데, 중국 주요 ERP 제조업체는 ‘13년부터 클라우드 서비스 기술의 ERP 제품을 출시하기 시작
- 이에 힘입어 ERP 시장규모는 ‘13년 103억2000만 위안에서 ‘14년 136억2000만 위안으로 대폭 성장했고 경영관리류 소프트웨어 시장 점유율도 절반을 넘어섰음(53.7%).
- CRM 시장 역시 클라우드 기술의 주요 활용 대상 중 하나. 특히 모바일 CRM이 빠르게 발전 중으로, 모바일 CRM의 전체 수익(약 1억4000만 위안)은 상대적으로 낮으나 35% 이상의 증가속도로 전반 CRM 시장(24.5%)의 고속 성장을 견인하고 있음.
- SCM 시장 성장 폭은 23.4%, 나머지 유형 관리 소프트웨어 성장 폭은 조금 낮아 시장 점유율이 다소 낮아짐.
2014년 중국 경영관리 소프트웨어 시장구조
자료원: 사이디 컨설팅(賽迪智庫)
3) 제품 연구형 소프트웨어
○ 제품 연구형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보조 설계 CAD, 컴퓨터 보조 공정 CAE, 컴퓨터 보조 공예 과정 설계 CAPP, 컴퓨터 보조 제조 CAM, 제품 생명주기 관리 PLM, 제품 수치 관리 PDM 등을 포함
- 중국 내 제품 연구형 소프트웨어 시장은 다년간 지속적이고 안정적으로 성장했고, ‘14년 성장속도가 완만해짐. 현재 시장규모는 72억6000만 위안, 전년대비 18.5% 성장
제품 연구개발 소프트웨어 시장 규모
자료원: 사이디 컨설팅(賽迪智庫)
4) 생산 관리 시스템(MES)
○ MES는 기계, 자동차/부품, 전자/전기, 화공, 금속제련 등의 제조 분야에서 광범위하게 응용되고 있음. ‘13년 MES 국내 시장규모는 21억8600만 위안에 달했고, 성장률은 28.6%에 달했음.
- ‘14년 성장 속도는 다소 둔화(26.3%)됐지만, 시장 규모는 27억5900만 위안에 달했음.
중국 MES 소프트웨어 시장규모
자료원: 사이디 컨설팅(賽迪智庫)
○ 중국 시장에는 여러 유형의 MES 제조업체가 존재하는데, 현재 업체 수는 100개 이상. 상대적으로 활발하게 활동하는 기업은 대략 50여 개에 달함.
- 이중에는 지멘스, GE, Rockwell, Honeywell 등 국제 자동화 하드웨어 설비 제조업체와 Wonder ware, 슈나이더 일렉트릭가 등 자동 통제 소프트웨어를 기초로 발전하기 시작한 제조업체가 있음.
- 또 일부 전문 분야로부터 발전하기 시작해 MES 전체 분야로 확장한 제조업체, 예를 들면 EpicHust, EWININFO, Suqi(速戚), shlwkm 등이 있음.
- MES 독립 개발업체인 Camstar과 중대형 제조업체 자동화 부문에서 파생된 MES 제조업체 BAOSIGHT, PCITC, 삼성SDS 등
- 전통적인 경영 소프트웨어 제조업체로는 오라클, 지멘스, BenQ Guru, kaimu 등
중국 주요 MES 소프트웨어 공급업체
업종 | 주요 공급업체 |
강철 | IBM,HP,PSI,BAOSIGHT,저장SUPCO,Oracle,Hollysys,Wonderware |
기계 | Apriso,Camstar,Wonderware,상하이 BALU,Tuota 소프트웨어, Caxa,상하이 BLUEBIRDME |
자동차/부품 | 지멘스,Rockwell,난징 bilin,상하이 BLUEBIRDME,상하이 BALU |
전자/통신 | 지멘스,IBM,Mox 그룹,BenQ Guru,난징 bilin |
화학공업 | 지멘스,Rockwell,Mox 그룹,Tuota 소프트웨어,Oracle,저장 SUPCON,Hollysys |
담배 | 지멘스,GE fanuc,FOTECH |
식품/제약 | 지멘스,GE Fanuc,Rockwell,Apriso,Camstar,Oracle,Hollysys,MESTIME |
자료원: 사이디 컨설팅(賽迪智庫)
5) 기업용 협업 소프트웨어 및 통합 소프트웨어
○ ‘14년 중국의 기업용 협업 소프트웨어 및 통합 소프트웨어 시장규모는 20.6% 증가한 161억 위안으로 집계
- ‘15년 기업용 협업 소프트웨어 및 통합 소프트웨어 시장의 총 규모는 200억 위안에 달할 것으로 예측
중국 기업용 협업 소프트웨어 및 통합 소프트웨어 시장규모
(단위: 억 위안)
자료원: 사이디 컨설팅(賽迪智庫)
○ 중국 기업용 협업 소프트웨어 및 통합 소프트웨어 시장은 주로 화북, 화동, 화남 등의 지역에 집중돼 있음.
- 그 중 수도권을 포함한 화북지역은 전체 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27.6%, 상하이 등을 포함한 경제발전수준이 높은 화동은 33.9%이고, 광저우 등 화남지역은 16.09%에 달함.
- 3개 지역이 중국 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총 77.74%, 3/4을 넘었음.
2014년 기업용 협업 소프트웨어 및 통합 소프트웨어 시장
자료원: 사이디 컨설팅(賽迪智庫)
○ ‘14년은 중국 모바일 협력 발전의 원년으로, BAT는 기업급 집무 시장에 개입했으며 기업용 협업 소프트웨어 및 통합 소프트웨어 시장도 모바일화 되는 특색을 보였음.
- ‘13년 말, 중국 내외 기업용 협업 소프트웨어 및 통합 소프트웨어 시장은 급격하게 활성화
- ‘14년 기업용 협업 소프트웨어 및 통합 소프트웨어 제조업체는 잇따라 모바일 인터넷으로 전환을 시작했고, 모바일OA와 모바일CRM은 기업 모바일 협동의 첫 번째 애플리케이션이 됨.
- 모바일 인터넷, BAT의 관계, 클라우드 사무 플랫폼 서비스업체의 적극적인 추진하에 기업용 협업 소프트웨어 및 통합 소프트웨어 시장도 확대 추세
□ 중국 소프트웨어 정책 및 제도
○ ‘14년 7월, 중국 공신부는 중국 핵심 분야의 미래 발전 방향에 대해 규획을 발표했는데, 다음과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함.
- 임베디드 소프트웨어와 시스템, 기업관리 소프트웨어 등 대형 응용 소프트웨어, 베이더우에 기초한 지리정보 시스템 소프트웨어, 공업 소프트웨어 및 업계 솔루션 방안 등의 연구개발 및 응용을 지원
- 모바일 인터넷, 빅데이터, 클라우드 컴퓨팅, 사물인터넷, 스마트 시티 등 신기술, 신모델, 신 유망업종의 혁신 발전을 가속 추진
- 클라우드 컴퓨팅, 모바일 인터넷 등 핵심 분야의 정보 안전 기술 제품의 연구개발 및 산업화를 중점 지원하며, 정보 안전 테스트, 평가, 운영 등 전문화된 정보 안전 서비스를 발전시키도록 함.
○ 이 외에도 당국은 공업 소프트웨어 산업뿐만 아니라 집적회로, 빅데이터 등 정보화, 스마트화 추진정책을 속속 발표해왔음.
2013~2015년 중국 공업 소프트웨어 관련 정책
부서 | 정책 | 발표 시기 | 공업 소프트웨어 관련 내용 |
공신부 | 국가 집적회로 산업 발전 추진 강요 | ‘14.6. | 스마트 카드, 스마트 전력망, 위성항법장치, 공업컨트롤, 금융전자, 자동차전기, 의료전기 등 핵심 집적회로 및 임베디드 소프트웨어를 혁신, 발전시키고 정보화와 공업화의 심도 깊은 융합을 추진할 것임. |
국무원 | 국무원의 생산형 서비스 발전 및 산업구조조정에 관한 지도의견 | ‘14.8. | 클라우드 컴퓨팅, 사물인터넷 등 정보기술을 적극적으로 활용해 제조업의 스마트화, 유연화, 서비스화를 추진하고, 맞춤 생산 등 새로운 생산모델을 만들 것이라고 밝힘. |
국무원 | 국무원의 과학기술서비스업 발전에 관한 의견 | ‘14.10. | 빅데이터, 클라우드 컴퓨팅, 모바일 인터넷 등 현대 정보기술을 적극적으로 활용해 과학기술자문기관, 지식서비스기관, 생산촉진센터 등을 지원함으로써 네트워크화, 통합화된 과학기술 자문서비스와 지식 서비스를 실현할 것임. 공업기술 자문서비스를 통해 기업들에게 통합화된 기술 솔루션을 제공할 것임. |
국무원 | 국무원의 클라우드 컴퓨팅 혁신 발전 및 정보산업 업무 발전에 관한 의견 | ‘15.1. | 전문 클라우드 발전을 통해 기업들이 정보화를 장려할 것이고, 전문적이고 안전한 공공 클라우드 서비스를 통해 기업들이 정보자원통합, 업무 프로세스 최적화, 경영관리 수준 향상 등을 실현할 것임. |
□ 중국 시장진출 전략
○ 중국은 공급자 위주 시장, 좋은 제품이라면 자본력을 동원해 어떻게든 구매하는 행태를 보임.
- 시장에 대해 충분히 조사, 이를 바탕으로 자사 제품에 대한 호기심을 유발시켜 단계적으로 진행해나가는 것도 좋은 방법임.
○ 레퍼런스가 없으면, 고객에 대한 신뢰도가 없기 때문에 악순환이 진행됨.
- 해외에서 국내 레퍼런스를 제시해봤자 그다지 관심을 갖지 않음. 처음에는 현지에서 공식 BMT나 객관적인 평가를 받을 수 있는 곳을 찾아 부지런히 움직여야 함.
- 또한, 지속적으로 확보해나가면서 적절한 곳에 활용해야 함. 나라가 크다 보니 한 곳에서는 유명해도 다른 곳에서는 인지도가 없을 수도 있음,
○ 국내에서 영위했던 비즈니스 모델을 고집할 필요는 없음.
- 해외시장에는 우리의 기술로 승부를 보는 것이지, 꼭 제품을 그대로 가져가야만 한다는 법은 없으며 해당 시장에 맞춰 기술을 어떻게 포장하느냐가 관건
○ 원천기술이나 원조기술이 우선시 돼야 하며, 응용기술의 경우라도 독특한 콘텐츠가 반드시 필요
한국 기업 현지진출 현황
회사명 | 진출현황 |
TMAX | - 2003년에 정식으로 중국에 진출해 베이징에 총본부를 설립하고, 상하이와 광저우에 자회사를 설립 - SOA와 미들웨어를 중국에서의 발전방향으로 4세대 Framework 기반 SOA 솔루션과 Intra-SOA, Inter-SOA 기반의 SOA 프레임워크 제품을 판매하고 있음. - 10년 이상 중국에서 활동하며 금융, 텔레콤, 정부, 기업, 에너지, 항공, 제조, 서비스 등 여러 방면에서 성공적인 경험을 가지고 있고, 여러 파트너들이 있음. |
알티 베이스 | - 대량의 데이터를 빠른 속도로 분석, 처리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Data Performance Solution 분야의 세계적인 선도기업 - 2015년 중국 푸젠성 차이나 모바일사 BBS(Business Supporting System)의 빌링시스템에 DBMS를 공급 - 2015년 중국 GIS 분야 1위 기업 'SuperMap'과 기술제휴를 체결 |
데이터스트림즈 | - 데이터 매니지먼트 전문업체, 설립 초기부터 대용량 데이터를 염두에 두고 솔루션을 개발해 왔음. - 지난 2011년 대용량 데이터의 처리·활용 수요가 많은 중국 시장에 중국 현지법인을 세우며 공략을 본격화 - 중국 2위 SI기업인 아이소프트스톤과 2014년 12월 업무협약(MOU)를 체결. 이를 발판으로 데이터 통합 솔루션 ‘테라스트림’, 빅데이터 솔루션 ‘테라스트림포하둡’ 등 주력 제품의 중국 SW시장 공략에 박차를 가함. |
자료원: 중국 공업과 정보화부(工業和信息化部), 사이디 컨설팅(賽迪智庫) 및 KOTRA 베이징 무역관 자료 종합
'글로벌 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베트남 인기식품과 최신 식품 소비 트렌드는? (0) | 2016.09.02 |
---|---|
위기의 사물인터넷, 돌파구는? (0) | 2016.09.02 |
소비시장 불황에도 홍콩 마스크팩 시장은 ‘그린 라이트’ (0) | 2016.09.02 |
EU 1등 성장국가 루마니아 (0) | 2016.09.01 |
인도네시아 국영 기차 제조업체 (PT. INKA) 한국 제품에 관심 높아 (0) | 2016.09.01 |
- 멕시코
- 터키
- 삼성전자
- 코로나
- 리우올림픽
- 싱가포르
- 브라질
- 일본
- 브렉시트
- 삼성
- 이란
- 콜롬비아
- 스페인
- 인도
- 러시아
- 베트남
- 홍콩
- 남아공
- 전시회
- 자동차
- 캐나다
- 독일
- 올림픽
- 이스라엘
- 태국
- 영국
- 말레이시아
- 화장품
- 에콰도르
- 칠레
- 인도네시아
- 미얀마
- 필리핀
- 네델란드
- 중국
- 호주
- 이집트
- 리우
- 프랑스
- 미국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