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캐나다 자동차 시장, 트럭 및 SUV 인기로 두 자릿수 성장
- '16년 상반기 생산량 전년동기대비 13.3% 증가 -
- 한국 브랜드 점유율 11%로 소폭 증가 -
□ 2016년 상반기 북미지역 신차 생산 증가세
○ 올해 상반기 캐나다에서 생산된 신차는 124만 대로 전년동기대비 13.3% 증가
○ 포드(Ford)가 온타리오 주 윈저(Windsor) 공장에서 올해 새롭게 출시한 Linclon MKX 모델 2만5873대를 비롯해, 총 14만5000대를 상반기에 생산해 2015년 상반기에 비해 77.4% 생산 증가
○ 제너럴모터(GM)의 완성차 생산량은 10.7% 감소한 27만3250대에 그쳤는데, 온타리오 주 오샤와(Oshawa) 공장이 Chevrolet Camaro 모델 생산을 중단한 것이 주요 원인
○ 상반기(’16) 미국의 신차 생산은 608만 대를 기록해 작년 상반기 생산량에 비해서 2.6% 증가
- 저유가, 저금리, 고용증가 등 미국 경기가 호조인 점이 자동차 생산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 됨.
○ 미국 내 자동차 제조사 중 폴크스바겐(-13.6%), 크라이슬러(-14.8%)의 생산량이 크게 감소했으며 미쓰비시는 2016년부터 미국 내 생산 중단
○ 참고로 2015년 기준 캐나다, 미국, 멕시코 등 북미 3개국에서 생산된 신차는 총 1738만 대를 기록해 5년 연속 증가세를 유지했으며, 특히 멕시코의 생산량이 크게 증가
○ 자동차 시장조사 전문기관인 Desrosiers Automotive에 따르면, 멕시코의 북미 신차 생산비중이 2015년 19.5%에서 오는 2023년에는 26.9%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됨.
- 낮은 인건비와 물류비, 북미자유무역협정(NAFTA) 역내 무관세 혜택 등이 주요 요인
연도별 북미 신차 생산 동향
(단위: 천 대, %)
구분 | 2011 | 2012 | 2013 | 2014 | 2015 | 2016 상반기 | 증감률 |
캐나다 | 2,135 | 2,454 | 2,370 | 2,382 | 2,269 | 1,239 | 13.3 |
미국 | 8,662 | 10,063 | 10,792 | 11,325 | 11,724 | 6,088 | 2.6 |
멕시코 | 2,681 | 3,002 | 3,052 | 3,365 | 3,388 | 1,661 | -3.6 |
합계 | 13,478 | 15,519 | 16,214 | 17,072 | 17,381 | 8,988 | 2.7 |
주: 증감률은 전년동기대비
자료원: Desrosiers Automotive
□ 트럭, SUV 위주 생산 증가세
○ 2016년 상반기 기준, 캐나다 승용차 생산은 전년동기대비 감소한 반면, 트럭 및 SUV 생산이 크게 증가해 캐나다 자동차 시장을 견인하고 있음.
- 이 기간 승용차 생산량은 43만 대로 전년동기대비 9.0% 감소했으나, 최근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트럭 및 SUV 생산량은 81만 대로 29.9% 증가한 것으로 나타남.
차종별 캐나다 신차 생산 동향
(단위: 천 대, %)
구분 | 2013 | 2014 | 2015 | 2016 상반기 | 증감률 |
승용차 | 965 | 913 | 888 | 425 | -9.0 |
트럭 및 SUV | 1,404 | 1,468 | 1,380 | 813 | 29.9 |
합계 | 2,369 | 2,382 | 2,268 | 1,238 | 13.3 |
주: 증감률은 전년 상반기 대비
자료원: Desrosiers Automotive
□ 신차 판매에서도 트럭, SUV 강세 지속
○ 2016년 상반기 캐나다 신차시장 판매량은 전년동기대비 6.0% 증가한 약 99만 대를 기록
- 승용차는 약 35만 대가 판매돼 전년동기대비 6.8% 감소했으나, 트럭과 SUV의 판매가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남.
○ 재규어의 신형 SUV 모델인 F-Pace, 마세라티 등 고급(Luxury) 차종이 캐나다 시장에서 연달아 출시되면서 소비자들 사이에서 큰 인기를 얻고 있음.
○ 2015년 캐나다 자동차 판매 시장규모는 약 190만 대로 전년대비 2.5% 증가했는데, 역시 승용차는 1.6% 감소한 반면 트럭과 SUV는 8.8% 증가
- 유가하락에 따라 연비보다는 성능을 중요시하는 신차 구매 성향이 지속되는 것으로 풀이됨.
○ 지역별로는 온타리오(41.2%)에서 신차가 가장 많이 판매됐으며, 퀘백(23.7%), B.C.(11.2%), 알버타(11.2%), 애틀랜틱 지역(8.6%), 매니토바 및 사스카치완(5.3%) 순으로 신차 판매 비중이 높게 나타남.
연도별 캐나다 자동차 판매 현황
(단위: 대, %)
구분 | 2012 | 2013 | 2014 | 2015 | 2016 상반기 | 증감률 |
승용차 | 759,795 | 764,382 | 763,792 | 751,719 | 346,584 | -6.8 |
트럭 및 SUV | 915,880 | 980,185 | 1,087,581 | 1,182,766 | 642,593 | 14.5 |
합계 | 1,675,675 | 1,744,567 | 1,851,373 | 1,898,485 | 989,177 | 6.0 |
주: 증감률은 전년동기대비
자료원: Desrosiers Automotive
○ 소형 SUV 및 대형 SUV 모델 판매량은 전년(‘15)동기대비 각각 87.9%, 51.2%씩 증가해 캐나다 신차시장에서 가장 큰 인기를 얻고 있음.
○ 소형 SUV 모델인 콤팩트 스포츠 유틸리티(CSU)의 경우, 토요타(RAV4), 포드(Escape), 혼다(CR-V) 등이 상위권을 차지했고, 대형 SUV 모델인 라지 스포츠 유틸리티(LSU) 부문에서는 닷지(Druango), 쉐볼레(Tahoe), 포드(Expedition) 등의 모델이 가장 많이 팔림.
캐나다 트럭 및 SUV 차종별 판매 현황
(단위: 대, %)
구분 | 2014 | 2015 | 2016 상반기 | 증감률 |
Small Pickup | 15,911 | 25,353 | 14,524 | 27.1 |
Compact Sporty Utility | 372,772 | 375,386 | 223,937 | 87.9 |
Small Van | 89,593 | 87,376 | 48,041 | 11.1 |
Intermediate Sport Utility | 154,316 | 164,366 | 86,125 | 12.2 |
Large Pickup | 317,611 | 324,222 | 176,482 | 12.0 |
Large Van | 31,128 | 36,010 | 20,420 | 17.5 |
Large Sport Utility | 12,427 | 14,426 | 10,427 | 51.2 |
Luxury CSU | 40,160 | 55,195 | 29,457 | 12.7 |
Luxury ISU | 43,533 | 45,157 | 25,367 | 24.7 |
Luxury LSU | 10,130 | 11,843 | 7,813 | 34.3 |
합계 | 1,087,581 | 1,182,766 | 642,593 | 14.5 |
자료원: Desrosiers Automotive
□ 한국 브랜드 시장점유율 11% 기록
○ 2016년 상반기 기준, 일본과 미국 브랜드가 전체 캐나다 자동차 판매시장의 78.4%를 차지하며 선두를 차지하고 있고, 한국(11.0%), 유럽(10.6%) 브랜드가 뒤를 따르고 있음.
○ 현대와 기아는 2015년에 각각 13만6000대, 6만8000대를 판매하며, 캐나다 시장에서 7.1%와 3.6%(-3.0% 하락)의 시장점유율 기록
○ 2012년부터 하향세를 보였던 한국 브랜드의 점유율은 2016년 상반기에 소폭 증가했는데, 이는 SUV 모델에 대한 수요가 늘어난 것이 주 원인으로 분석됨.
- 2016년 상반기 기준, 현대의 SUV 모델 판매량은 3만181대로 전년동기대비 22.5% 증가한데 비해, 현대 승용차의 판매량은 4만2444대로 전년대비 -0.8% 감소함.
- 마찬가지로 기아의 SUV 모델은 전년동기대비 25.9% 증가한 1만5521대가 판매됐는데, 이와 반대로 승용차 판매는 전년동기대비 11.3% 적게 판매됨.
2016년 상반기 캐나다 자동차 판매시장 Top 10 기업 현황
(단위: 대, %)
순위 | 기업명 | 판매량 | 증감률 | 점유율 |
1 | FCA(Chrysler) | 152,439 | 2.9 | 15.4 |
2 | Ford | 149,842 | 11.7 | 15.1 |
3 | General Motors | 130,202 | 2.3 | 13.2 |
4 | Toyota | 102,971 | 8.8 | 10.4 |
5 | Honda | 80,325 | 11.8 | 8.1 |
6 | Hyundai | 72,625 | 7.7 | 7.3 |
7 | Nissan | 63,822 | 10.3 | 6.5 |
8 | Kia | 36,318 | 1.5 | 3.7 |
9 | Mazda | 34,291 | -1.9 | 3.5 |
10 | Volkswagen | 31,722 | -14.2 | 3.2 |
합계 | 989,177 | 6.0 | 100.0 |
자료원: Desrosiers Automotive
연도별 캐나다 자동차 판매시장 점유율
(단위: %)
자료원: Desrosiers Automotive
□ 시사점
○ 2016년 상반기 기준, 캐나다 자동차 생산량 증가로 부품 수요도 증가할 전망. 이에 따라 한국의 주력 수출품인 자동차부품에 대한 수출 증가로 이어질 것으로 기대됨.
- 다만, 글로벌 자동차 생산시설이 멕시코로 옮기는 현상이 계속되고 있기 때문에, 캐나다 자동차 생산 증가세가 유지될지는 아직 미지수
- 또한, TPP가 발효되면 현행 관세와 역내가치포함요건(62.5%) 등 캐나다 내 생산 이점이 무효화돼 캐나다 자동차 제조 및 부품 시장에 큰 악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임.
○ 캐나다를 포함한 북미 자동차 시장 내 점진적으로 승용차 판매 비중은 줄어들고, SUV 및 픽업트럭의 인기가 지속될 전망
- 주요 도시를 제외하고는 대중교통 시설이 미미하고 겨울이 매우 추운 캐나다는 많은 짐을 실을 수 있고 날씨에도 끄떡없는 픽업트럭 및 SUV가 큰 인기를 끌고 있음.
- 벤츠(X-Class), 폴크스바겐(Amarok) 등 럭셔리 브랜드도 픽업트럭 시장을 관심 있게 보고 생산 및 출시를 준비 중에 있음.
- 우리나라에서는 픽업트럭(소형 트럭)이 ‘짐차’라는 개념이 강해 판매 비중이 미미하고 생산하고 있지 않은데, 우리나라도 픽업트럭 및 관련 부품을 개발해 경쟁에 뛰어들 필요가 있음.
자료원: Desrosiers Automotive, 캐나다 통계청 및 KOTRA 토론토 무역관 자료 종합
'글로벌 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집트, IMF 구제금융 예비합의 (0) | 2016.08.29 |
---|---|
중국 반려동물용품 시장 트렌드 ① (0) | 2016.08.29 |
하청으로 최고가 된 폭스콘, 화려한 변신을 꿈꾸다 (0) | 2016.08.26 |
전자결제 활성화, ‘Digital India’로 거듭나는 인도 (0) | 2016.08.26 |
인도에 부는 자국상품 선호주의, 2016년판 스와데시 (0) | 2016.08.26 |
- 인도네시아
- 베트남
- 이란
- 칠레
- 싱가포르
- 태국
- 말레이시아
- 독일
- 캐나다
- 미얀마
- 화장품
- 네델란드
- 멕시코
- 프랑스
- 브렉시트
- 자동차
- 리우
- 삼성
- 브라질
- 미국
- 에콰도르
- 필리핀
- 이집트
- 인도
- 리우올림픽
- 삼성전자
- 러시아
- 일본
- 중국
- 스페인
- 콜롬비아
- 영국
- 남아공
- 올림픽
- 전시회
- 홍콩
- 코로나
- 이스라엘
- 호주
- 터키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