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 칠레 내 자동차부품 수요는 대부분 수입에 의해 충당 -
- 시장점유율 확대를 위한 브랜드 마케팅 필수 –
- 교체 주기가 짧은 부품에 대한 수요가 높은 편 -
□ 칠레 자동차부품 시장동향
ㅇ 칠레는 제조업에 상대적 약세를 보이는 나라로 칠레 내의 자체 자동차 브랜드 생산은 전무하며, 자동차부품 또한 자동차와 같이 대부분 수입에 의존하고 있음. 이로 인해 칠레 자동차부품 시장규모는 수입규모를 통해 추측해볼 수 있으며, 2017년 자동차부품의 총 수입규모는 5억4070만 달러를 기록함.
칠레 자동차부품시장 수입동향
(단위: US$ 백만)
2013 | 2014 | 2015 | 2016 | 2017 |
543.2 | 518.1 | 485.6 | 488.5 | 540.7 |
주: HS Code 8706, 8707, 8708, 8709, 8714 합산 기준
자료원: Global Trade Atlas 자료, KOTRA 산티아고 무역관 재구성
ㅇ 최근 산티아고의 대기오염 문제 해결을 위해 자동차와 관련 업종에 대한 규제가 심해지고 있으며, 정책 변화에 따라 자동차부품시장도 영향을 받을 것으로 예상됨.
- 대기오염 문제해결을 위해 칠레 정부는 2018년 5월부터 촉매 컨버터가 없는 차량에 대해 벌금을 부과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관련 부품 교체에 대한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전망됨.
- 아울러, 차량 판매도 증가하는 추세로 자동차부품에 대한 수요도 높아질 것으로 보임.
ㅇ 칠레 소비자들은 자동차부품을 교체하기 위해 주로 브랜드별 공식 판매장 또는 일반 정비소를 찾고 있음. 다만, 최근 중산층 확대로 인해 정식 브랜드 지정 정비소의 인기가 점점 증가하고 있는 추세임.
- 칠레에 진출해 있는 한국 타이어의 관계자에 따르면 "칠레 소비자들의 경우 브랜드 이미지 및 지인의 추천, 개인의 경험에 의존하는 경향이 강하다"고 밝혔으며, 브랜드 충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남.
□ 수입동향
ㅇ 2017년 칠레 자동차부품(HS Code 8708)의 총 수입 규모는 5억2988만 달러로 전년대비 10.74% 상승함.
- HS Code별 주요 자동차 수입부품은 기타 자동차부품(HS Code 8708.99), 기어 박스(HS Code 8708.40), 제동장치(HS Code 8708.30), 차체 기타 부분품(HS Code 8708.29), 클러치(HS Code 8708.93) 순임.
- 2017년 클러치, 로드휠, 그리고 스티어링 컬럼의 수입 증가율이 각각 43.5%, 29.7%, 35.5%로 전년대비 급증함.
- 차량 제조가 없는 칠레 시장 특성에 따라 차량 제조 후 교체가 적은 부품(안전벨트, 에어백 등)보다는 꾸준한 교체가 필요한 소모품성 성격을 가진 부품 수요가 높은 것으로 파악됨.
칠레 자동차부품시장 품목별 수입동향
(단위: US$ 백만, %)
상품명 | HS Code | 2015 | 2016 | 2017 | 증감률 ('17/'16) | |||
수입액 | 점유율 | 수입액 | 점유율 | 수입액 | 점유율 | |||
자동차부품 | 8708 | 477 | 100 | 478 | 100 | 530 | 100 | △ 10.7 |
기타 자동차부분품 및 액세서리 | 8708.99 | 97 | 20.3 | 90 | 18.8 | 97 | 18.3 | △ 8.1 |
기어박스와 그 부분품 | 8708.40 | 99 | 20.7 | 95 | 19.9 | 91 | 17.2 | ▽ 4.4 |
제동장치와 그 부분품 | 8708.30 | 61 | 12.8 | 65 | 13.5 | 69 | 12.9 | △ 6.0 |
차체 기타 부분품 | 8708.29 | 56 | 11.7 | 59 | 12.4 | 66 | 12.5 | △ 11.4 |
클러치와 그 부분품 | 8708.93 | 40 | 8.5 | 38 | 7.9 | 54 | 10.2 | △ 43.5 |
서스펜션 시스템과 그 부분품 | 8708.80 | 29 | 6.2 | 37 | 7.6 | 43 | 8.1 | △ 17.1 |
로드휠 및 그 부분품 및 부속품 | 8708.70 | 29 | 6.0 | 26 | 5.4 | 34 | 6.4 | △ 29.7 |
완충기와 그 부부품 | 8708.10 | 23 | 4.9 | 24 | 5.0 | 26 | 5.0 | △ 9.9 |
섀시 | 8708.91 | 18 | 3.9 | 19 | 4.1 | 22 | 4.1 | △ 11.0 |
차동장치를 갖춘 구동 차축과 비구동 차축 및 그 부분품 | 8708.50 | 10 | 2.1 | 11 | 2.3 | 11 | 2.1 | ▽ 0.2 |
소음기(머플러)와 배기관 및 그 부분품 | 8708.92 | 7 | 1.4 | 7 | 1.5 | 7 | 1.4 | △ 1.2 |
운전대·스티어링칼럼 및 운전박스와 그 부분품 | 8708.94 | 5 | 1.1 | 5 | 1.0 | 6 | 1.2 | △ 35.5 |
에어백과 그 부분품 | 8708.95 | 1 | 0.2 | 2 | 0.5 | 3 | 0.6 | △ 43.2 |
안전벨트 | 8708.21 | 0.8 | 0.2 | 1 | 0.2 | 1 | 0.2 | △ 13.6 |
자료원: Global Trade Atlas 자료, KOTRA 산티아고 무역관 재구성
ㅇ 자동차부품 중 수입량이 가장 많은 기타 부품 및 액세서리(HS Code 8708.99)의 최근 3년간 수입규모는 상승과 하락을 반복하다 2017년에 전년대비 15.5% 상승한 9700만 달러를 기록함.
ㅇ 2017년 기준 자동차 기타 부품 및 액세서리의 주요 수입 대상국은 미국(33.2%), 중국(12.5%), 브라질(9.9%), 한국(7.1%), 일본(5.2%), 독일(5.0%), 이탈리아(4.5%) 순으로 나타남.
- 칠레 시장에 수입되는 자동차부품들은 물류비용이 적게 드는 미국산 및 브라질산 제품, 그리고 가격이 비교적 저렴한 중국산 제품이 많음. 한국산 제품은 주로 브랜드별 공식 정비소를 통해 유통되는 것으로 파악됨.
- 최근 비순정 부품시장을 통해 저가의 중국산 부품이 다량 수입돼 중국의 수입점유율이 점진적인 상승세를 보임.
ㅇ 한국의 경우 3년 연속 꾸준히 4위 수입국 자리를 지키고 있으나 미국, 중국 및 브라질 공장에서 생산되는 우리나라 제품도 통계상으로는 미국, 중국 및 브라질산 제품으로 집계돼 실질적인 한국 자동차부품의 수입 순위는 훨씬 높을 것으로 추정됨.
- 현대의 경우 미국, 브라질, 중국에 생산 공장을 가지고 있음.
칠레 자동차부품 국가별 수입동향(HS Code 8708.99 기준)
(단위: US$ 백만, %)
순위 | 국가명 | 2015 | 2016 | 2017 | 증감률 ('17/'16) | |||
수입액 | 점유율 | 수입액 | 점유율 | 수입액 | 점유율 | |||
- | 총계 | 96.79 | 100 | 89.80 | 100 | 97.11 | 100 | △8.1 |
1 | 미국 | 35.61 | 36.8 | 27.74 | 30.9 | 32.25 | 33.2 | △16.3 |
2 | 중국 | 10.75 | 11.1 | 11.73 | 13.1 | 12.16 | 12.5 | △3.7 |
3 | 브라질 | 8.02 | 8.3 | 8.11 | 9.0 | 9.62 | 9.9 | △18.7 |
4 | 한국 | 7.28 | 7.5 | 7.23 | 8.1 | 6.85 | 7.1 | ▽5.3 |
5 | 일본 | 4.93 | 5.1 | 4.55 | 5.1 | 5.07 | 5.2 | △11.5 |
6 | 독일 | 3.42 | 3.5 | 4.42 | 4.9 | 4.85 | 5.0 | △9.9 |
7 | 이탈리아 | 4.33 | 4.5 | 3.66 | 4.0 | 4.34 | 4.5 | △18.5 |
8 | 프랑스 | 3.37 | 3.5 | 3.02 | 3.4 | 3.52 | 3.6 | △16.7 |
9 | 벨기에 | 2.46 | 2.5 | 2.03 | 2.3 | 2.09 | 2.1 | △2.8 |
10 | 터키 | 1.79 | 1.9 | 1.62 | 1.8 | 1.87 | 1.9 | △15.5 |
자료원: Global Trade Atlas 자료, KOTRA 산티아고 무역관 재구성
□ 경쟁동향 및 유통구조
ㅇ 칠레의 자동차부품 유통시장은 브랜드별 공식 딜러들이 정식적으로 판매 차량 부품을 수입하는 경우(순정 부품시장)와 중소 독립 부품수입상들이 수입하는 경우(비순정 부품시장)로 구분할 수 있음.
칠레의 자동차 수입상이 부품을 직접 유통하는 경우(예: Gildemeister)
자료원: KOTRA 산티아고 무역관 자체 시장조사
ㅇ 칠레의 자동차 수입상이 부품을 직접 유통하는 경우 상품들은 칠레 자동차 수입업체를 통해 업체 지정 자동차 정비소, 해당 브랜드 제품 판매 업체 및 부품 판매점으로 유통됨.
- 자동차부품 공장이 없기 때문에 각 유통회사들은 일반 소비자들에게 판매할 수 있는 물량만을 보유하고 있는 것이 특징임.
칠레의 도소매 업자가 유통하는 경우(예: Derco 등)
자료원: KOTRA 산티아고 무역관 자체 시장조사
ㅇ 도매 혹은 소매업자가 직접 부품을 유통하기도 하며(예: Derco) 도매업자가 직접 소비자에게 판매하는 경우는 거의 없음.
ㅇ 현재 칠레 자동차부품협회(CAREP)에 등록된 업체는 아래와 같으며, 크게 특정 브랜드 중심의 차량부품 판매점과 차량 부품 중심의 판매점으로 구분할 수 있음.
주요 자동차부품 판매점
구분 | 업체명 | 품목 |
브랜드 중심 자동차부품 수입상 | Bernardo Ballerines Yuing | 폴크스바겐 부품 전문 |
Ciper Repuestos Ltda. | 쉐보레, 스즈키, 현대, 닛산, 도요타 전문 부속품, 펌프, 케이블 및 전선, 차체, 문손잡이, 점화 및 전기, 브레이크, 조명, 윤활유, 엔진, 완충장치 및 방향장치, 변속장치 | |
Carlos Bolomey y Cía. Ltda. | 르노, 푸조, 시트로엥 부품 전문 판매 업체 | |
Imp. Costabal y Echenique S.A. | ISUZU, CHAMPION, ACDelco, CHEVROLET 부품전문 | |
Indumutora One | KIA, SUBARU, TOYOTA, PEUGEOT, BYD, ZX AUTO, GAC Motor, DFSK, DAIHATSU, HINO, HYUNDAI, JMC, SHACMAN, HIGER 부품 및 액세서리 판매 | |
독립부품 수입상 | Adriazola Repuestos S.A. | 차체, 좌석, 방향장치, 브레이크, 전력장치 및 에어컨, 클러치 및 기어, 모터장비, 엔진, 옆문, 완충장치 및 전기엔진, 전면 및 후면장치 |
Central Frenos S.A. | 브레이크, 배터리, 타이어, 부속품, 윤활유 | |
Emasa Comercial S.A. | 부품 및 부속품, 알람장치, 발전기, 충격흡수장치, 자동차 라디오, 배터리, 코일, 스피커, 스파크 플러그, 벨트, 필터, 브레이크, 조명, 디젤분사기, 가솔린분사기, 엔진, 와이퍼, 전기시스템 | |
Imp. Automarco S.A. | 벨트, 패킹, 엔진, 펌프, 센서, 변속장치, 앞유리와이퍼, 부속품, 기름, 앰풀, 전기장치 | |
Imp. Transagro S.A. | 반지, 오일펌프, 워터펌프, 블록들, 부싱, 실린더의 내부 엔벨로프, 파이프, 크랭크축, 실린더헤드, 패킹, 기어, 선반대, 크랭크, 피스톤, 터보, 광학장치, 마크, 범퍼, 와이퍼, 문, 손잡이, 부속품, 위성장치, 톱니바퀴관, 차동장치, 굴대베어링 |
자료원: 칠레 자동차부품협회(CAREP)
□ 칠레 자동차부품 수입·인증규제 및 관세율
ㅇ 칠레의 일반관세율은 6%이나 한국산 차량용 부분품과 부속품(HS Code 8708.99)은 한-칠레 FTA에 의해 무관세 혜택이 적용됨.
- 1위 수입국인 미국산 자동차부품의 경우도 무관세 혜택이 적용됨.
ㅇ 자동차부품과 관련한 수입규제는 없으나, 칠레는 공기오염으로 인한 우려로 석면 수입을 전면 금지하고 있기 때문에 브레이크패드 중에 석면(asbesto)으로 된 제품은 수입이 제한되고 있음.
□ 시사점
ㅇ 최근 칠레 내 차량 판매가 늘어나고 있어 차량 부품에 대한 수요 또한 함께 증가할 것으로 예상됨. 또한 차량 제조가 없는 칠레시장 특성에 따라 차량 제조 후 교체가 적은 부품(안전벨트, 에어백 등)보다는 꾸준한 교체가 필요한 소모품성 성격을 가진 부품 수요가 더 증가할 것으로 전망됨.
- 브레이크 부품, 타이어, 클러치, 로드휠 관련 상품시장은 앞으로도 꾸준한 상승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됨.
ㅇ 칠레 소비자들의 경우 브랜드 이미지가 상품 선정에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기 때문에 칠레 시장으로의 진출을 위해서는 지속적인 브랜드 마케팅 및 유통채널 확장을 통해 시장 점유율을 넓혀가는 것이 필요함.
ㅇ KOTRA의 지사화 서비스 및 조사 서비스를 통해 칠레 시장에 진출하는 것을 추천함.
자료원 : KOTRA Web DB, Global Trade Atlas, Thomson Reuters Checkpoink, El Mercurio 일간지, La Tercera 일간지 및 KOTRA 산티아고 무역관 자체자료 종합
'글로벌 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란, 수입품목 분류(Ⅰ~Ⅳ) 신규 기준 발표 (0) | 2018.06.28 |
---|---|
2018년 중국(다롄) 조선기자재 비즈니스 상담회 현장 탐방 (0) | 2018.06.28 |
떠오르는 영상 콘텐츠 마켓 mip china 참관기 (0) | 2018.06.28 |
중남미 FTA 발효3국 신재생에너지 쇼케이스 참관기 (0) | 2018.06.28 |
2018 한미 투자포럼 참관기 (0) | 2018.06.27 |
- 칠레
- 자동차
- 이란
- 필리핀
- 인도네시아
- 브렉시트
- 리우
- 인도
- 콜롬비아
- 화장품
- 러시아
- 프랑스
- 이집트
- 독일
- 네델란드
- 브라질
- 싱가포르
- 코로나
- 올림픽
- 멕시코
- 홍콩
- 남아공
- 전시회
- 삼성전자
- 미얀마
- 삼성
- 리우올림픽
- 캐나다
- 에콰도르
- 미국
- 중국
- 호주
- 태국
- 이스라엘
- 스페인
- 베트남
- 영국
- 말레이시아
- 터키
- 일본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