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우즈베키스탄, 위생용품 수요 점진적 증가세
- 위생관념에 대한 인식 변화와 소득수준 증가로 수요 증가, 고급품 사용 확산 추세 -
□ 우즈베키스탄 위생용품 시장 현황
○ 2016년 건강의 해를 맞아, 우즈베크 정부는 의료기술, 검진센터 등 의료부문 투자를 강화하고 있으며, 국민 역시 건강 및 위생에 대한 인식이 개선되고 있음.
- 우즈베크 위생용품 시장은 아직 활발하진 않지만, 최근 각 제품군의 꾸준한 수요 증가로 관련 제품 수입량 역시 매년 증가 추세임.
○ 위생관념에 대한 인식 변화로 샴푸, 보디워시, 칫솔, 치약 등 위생용품과 구강제품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음.
- 또한, 소득수준 증가로 삶의 여유가 생기면서 기존에 사용하던 제품을 더 고가 혹은 더 좋은 브랜드로 바꾸기도 함.
□ 우즈베크 시장 및 수입동향
○ (샴푸, 린스) 대표적 헤어제품인 샴푸는 필수재로서 모든 지역 및 연령층이 사용 중으로, 노년층의 수요만 낮은 것으로 추정됨. 그러나 린스는 필수재로 인식되지 않아 전체적인 수요가 낮고, 주요 타깃층은 젊은 여성으로 한정됨.
○ 2015년 우즈베크 샴푸 총 수입액은 716만 달러로, 수출국 중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국가는 러시아, 터키, 폴란드이며 각각 490만 달러, 113만 달러, 44만 달러를 기록함.
- 대표 브랜드로는 러시아의 Sinmar, 터키의 Colgate Palmolive 등이 있음.
우즈베크 샴푸(HS Code 3305 10) 국가별 수입 동향
(단위: 천 달러)
| 2011 | 2012 | 2013 | 2014 | 2015 |
합계 | 6,421 | 8,926 | 10,477 | 12,189 | 7,169 |
러시아 | 2,510 | 3,024 | 4,434 | 4,282 | 4,905 |
터키 | 2,468 | 4,333 | 3,407 | 5,206 | 1,134 |
폴란드 | 463 | 423 | 357 | 647 | 446 |
자료원: Trademap
○ 2015년 우즈베크 린스 총 수입액은 404만 달러로, 수출국 중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국가는 러시아, 인도, 리투아니아이며 각각 302만 달러, 45만 달러, 24만 달러를 기록함.
- 대표 브랜드로는 러시아의 Alliance 등이 있음.
우즈베크 린스(HS Code 3305 90 1000) 국가별 수입 동향
(단위: 천 달러)
| 2011 | 2012 | 2013 | 2014 | 2015 |
합계 | 3,860 | 4,971 | 10,100 | 7,130 | 4,041 |
러시아 | 485 | 1,152 | 874 | 1,754 | 3,024 |
인도 | 58 | 404 | 651 | 196 | 459 |
리투아니아 | 190 | 388 | 233 | 293 | 242 |
자료원: Trademap
○ (보디워시) 보디워시는 반필수재 정도로 인식되고 있음. 최근 퍼퓸 형식의 보디워시 제품이 세계적으로 유행 중이어서 우즈베크 또한 그 영향을 받으며 소비 증진이 기대되고 있음.
- 여전히 완전한 필수재는 아니며, 비누가 대체품으로 인식되고 있음.
- 보디워시 또한 일반 여성들의 수요가 높으며, 보통 남성들은 비누를 이용하고 있음.
○ 2015년 우즈베크 보디워시 총 수입액은 15만5000달러로, 수출국 중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국가는 러시아, 인도, 리투아니아이며 각각 7만8000달러, 5만5000달러, 9000달러를 기록함.
- 대표 브랜드로는 이탈리아의 PARISIENNE ITALIA, 러시아의 LTB 등이 있음.
우즈베크 보디워시(HS Code 3307 30) 국가별 수입 동향
(단위: 천 달러)
| 2011 | 2012 | 2013 | 2014 | 2015 |
합계 | 88 | 45 | 81 | 264 | 155 |
이탈리아 | 6 | 0 | 0 | 151 | 78 |
러시아 | 48 | 16 | 59 | 45 | 55 |
독일 | 22 | 7 | 4 | 10 | 9 |
자료원: Trademap
○ (칫솔 및 치약) 칫솔과 치약은 타슈켄트, 사마르칸트 같은 도시지역뿐만 아니라 농촌지역에서도 필수재이며, 최근 치아 관리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높아짐에 따라 수요량 및 수입량이 증가 추세임.
- 하지만 치실, 가글 등 기타 구강 제품에 대한 수요는 여전히 낮으며, 대체품목으로 일반실을 사용해 치실처럼 사용하는 경우가 많아 치실의 필요성을 크게 느끼지 못함.
○ 2015년 우즈베크 칫솔의 총 수입액은 29만2000달러로 수입국 중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국가는 중국, 스웨덴, 러시아이며 각각 13만6000달러, 8만7000달러, 4만2000달러를 기록함.
- 대표 브랜드로는 터키의 Colgate Palmolive, 러시아의 Great distribution 등이 있음.
우즈베크 칫솔(HS Code 9603 21) 국가별 수입 동향
(단위: 천 달러)
| 2011 | 2012 | 2013 | 2014 | 2015 |
합계 | 575 | 305 | 539 | 231 | 292 |
중국 | 266 | 106 | 365 | 65 | 136 |
스웨덴 | 29 | 0 | 52 | 48 | 87 |
러시아 | 15 | 8 | 36 | 11 | 42 |
자료원: Trademap
○ 2015년 대우즈베크 치약의 총 수입액은 576만 달러로, 수입국 중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국가는 터키, 러시아, 프랑스이며 각각 469만 달러, 58만4000달러, 23만1000달러를 기록함.
- 대표 브랜드로는 터키사의 Colgate Palmolive, 러시아의 Unilever Rus 등이 있음.
우즈베크 치약(HS Code 3306 10) 국가별 수입 동향
(단위: 천 달러)
| 2011 | 2012 | 2013 | 2014 | 2015 |
합계 | 2,854 | 1,848 | 2,274 | 2,543 | 5,766 |
터키 | 55 | 8 | 174 | 1,562 | 4,694 |
러시아 | 378 | 464 | 742 | 460 | 584 |
프랑스 | 60 | 6 | 74 | 37 | 231 |
자료원: Trademap
□ 한국 기업 진출 현황 및 가능성
○ 우즈베크 현지에 납품 중인 한국 구강제품 기업과의 인터뷰에 따르면, 한국 제품에 대한 품질, 가격 등에 대한 좋은 인식에도 불구하고 상대적으로 저렴한 편이 아니기 때문에, 한국 방문 시 핸드캐리해 현지에 공급하는 보따리상이 많이 유통하고 있음.
- 또한, 한국 제품을 거의 그대로 베껴 짝퉁을 만들어 판매하는 경우도 있지만 칫솔모, 그립 등은 완벽히 재현해내지 못함.
○ 한국의 몇몇 기업은 Makro, Sunday, Korzinka 등 현지 대형마트에 납품해 판매하고 있음.
□ 우즈베키스탄으로 수출하기 위한 절차와 인증
○ (샴푸, 보디워시) 우즈베크로 정식 수출을 하기 위해서 제품명, 제품 성분 등 모든 제품 라벨링을 우즈베크어로 표기해야 함. 또한, Uzstandart(품질 검사기관)로부터 품질인증서, 우즈베크 보건부로부터 위생증명서를 획득해야 함.
- (린스) 라벨링 표기, 품질인증서, 위생증명서 및 자연보호부로부터 허가를 받아야 함.
- (치실 및 기타 구강제품, 치약) 라벨링 표기, 품질인증서, 위생증명서 및 보건부로부터 허가를 받아야 함.
- (칫솔) 수출을 위한 절차 또는 인증이 필요하지 않음.
· 샴푸와 치약은 구매가격이 각각 1㎏당 1달러, 0.5달러 미만 시 1달러로 계산을 해 그 금액에서 30%의 관세율을 적용함.
우즈베크 위생용품 수입 세율
(단위: %)
HS Code | 품목 | 관세율 | 부가가치세 | 소비세 | |
3305 10 | 샴푸 | 30 | 20 | 15 | |
3305 90 1000 | 린스 | ||||
3307 30 | 보디워시 | ||||
3306 20 | 치실 및 기타 구강제품 | ||||
9603 21 | 칫솔 | 20 | |||
3306 10 | 치약 | 없음. |
자료원: fmc.uz
□ 전시회 정보
○ 2015년부터 개최된 우즈베키스탄 국제 미용 전시회에서 미용제품뿐만 아니라, 각종 개인위생용품 및 보디제품을 전시해 관련 정보를 얻을 수 있음.
전시회명 | 한글 | 제2회 국제 미용 전시회 | |
영문 | 2th International exhibition Beauty Industry | ||
개최기간 | 2016년 10월 6~8일 | ||
홈페이지 | http://www.beautypro.uz | ||
연혁 | 2년 | ||
전시분야 | 미용 및 위생 제품 | ||
전년 규모 | 11개국 40여 개 기업 | ||
전년 참관객 | 5000여 명 |
□ 시사점 및 전망
○ 최근 소득수준 증가에 따라 미용·위생에 대한 관심이 높아져 관련 제품의 수요 및 수입이 증가하는 추세
- 위의 품목들이 위생용품이란 점을 고려했을 때, 향후 완전한 필수재로서 인식될 가능성이 높아 잠재성은 충분하다고 판단됨.
○ 대부분 제품에 대해 현재 이용자 수가 적은 큰 이유는 사용해본 적이 없기 때문
- 기업은 샘플 판매 및 시용 행사 등 다양하고 획기적인 마케팅 방법을 사용해야 함.
○ 또한, 우즈베크 금융시스템, 외화송금, 환전 문제뿐만 아니라 관세 부담이 크다는 것이 취약점
- 우즈베크로 완제품 수출 시 세금부담이 크기 때문에, 현지 생산을 위한 원재료, 반제품을 따로 수출해 부가가치세를 면제하는 방법을 고려해볼 만함.
- 최근 시장(비공식) 환율이 지속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소비자 구매력이 약화되므로 가격경쟁력 확보 필요
자료원: Trademap, fmc.uz, ITE-UZ, 전시회 사이트 및 KOTRA 타슈켄트 무역관 자료 종합
'글로벌 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홍콩의 커피시장, 원두커피와 인스턴트 커피로 잡아라 (0) | 2016.08.08 |
---|---|
2016 플로리다 의료기기 전시회 참관기 (0) | 2016.08.08 |
벨라루스 프랜차이즈 산업은 성장 중 (0) | 2016.08.07 |
러시아 경제 안개 속, 안경시장은 맑음 (0) | 2016.08.07 |
에콰도르 국유자산 매각 – 매물 분석(2) (0) | 2016.08.07 |
- 미얀마
- 태국
- 독일
- 브렉시트
- 홍콩
- 캐나다
- 코로나
- 스페인
- 미국
- 이란
- 일본
- 러시아
- 칠레
- 리우올림픽
- 인도
- 콜롬비아
- 인도네시아
- 네델란드
- 남아공
- 멕시코
- 올림픽
- 호주
- 브라질
- 싱가포르
- 전시회
- 필리핀
- 화장품
- 에콰도르
- 프랑스
- 베트남
- 영국
- 중국
- 이스라엘
- 자동차
- 삼성전자
- 이집트
- 터키
- 말레이시아
- 리우
- 삼성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