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전국 143개 지방공사·공단 가운데 서울시 산하 5개사와 대전 1개사를 제외한 137개의 기관이 성과연봉제의 도입을 완료했다.
행정자치부는 지난달 31일 기준으로 지방공기업 96%가 성과연봉제를 도입했다고 1일 밝혔다.
미도입 6개 기관은 서울메트로·서울도시철도공사·SH공사·서울농수산식품공사·서울시설공단 등 서울시 산하 도입대상 5개사와 대전도시공사다.
행자부는 지난 5월 성과연봉제 확대방안을 발표한 후, 제도의 조기도입을 위해 경영평가 가점과 평가급을 연봉월액의 최대 50%까지 추가로 주는 인센티브를 제시하며 연내에 도입하지 않으면 경영평가 때 감점하기로 했다.
또 도입완료 기관에 대해서는 지방공기업평가원과 합동으로 성과평가시스템 개선을 위한 정책연구를 진행한 후, 그 결과물을 전 지방공기업이 활용할 수 있도록 제공할 예정이다.
미도입 기관에는 경영평가 감점(3점) 외에도 도입시기에 따라 총인건비 인상률을 단계적으로 삭감하고 연내 미도입시 총인건비를 지속적으로 동결할 계획이다.
김성렬 행자부 차관은 “성과중심의 조직운영을 위해 반드시 성과연봉제를 도입해야 하고 동시에 평가체계를 혁신하는 계기로 삼아야 한다”며 “성과연봉제의 차질없는 시행을 위해 적극적으로 지원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문의 : 행정자치부 공기업과 02-2100-3571
[자료제공 :(www.korea.kr)]
'정책 뉴스 >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버릴수록 얻는 미니멀라이프 (0) | 2016.08.03 |
---|---|
항공교통서비스 평가…국적 항공사들 성적은? (0) | 2016.08.02 |
“어여 와서 10% 환급 받으세요~” (0) | 2016.08.01 |
탄소 제로 청정섬으로 탈바꿈 (0) | 2016.08.01 |
ESS로 에너지 저축시대 연다 (0) | 2016.08.01 |
댓글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링크
TAG
- 이스라엘
- 홍콩
- 네델란드
- 코로나
- 중국
- 터키
- 프랑스
- 리우
- 브라질
- 영국
- 칠레
- 태국
- 인도
- 삼성전자
- 스페인
- 이집트
- 자동차
- 러시아
- 캐나다
- 일본
- 필리핀
- 호주
- 베트남
- 리우올림픽
- 에콰도르
- 콜롬비아
- 싱가포르
- 삼성
- 전시회
- 남아공
- 화장품
- 인도네시아
- 브렉시트
- 멕시코
- 이란
- 말레이시아
- 미국
- 올림픽
- 미얀마
- 독일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