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 높은 고소득층 비율, 지속적인 인구성장률 및 관광객 유입 증가로 UAE 식료품 시장규모 확대 예상 –
- 식료품시장 이미 진입한 유럽 및 서아시아 기업으로 인해 경쟁이 치열함 -
□ UAE 식음료 시장 규모 및 전망
ㅇ 식음료부문 가계 소비 현황
UAE 가계 소비 현황
구분 | 2015 | 2016 | 2017f | 2018f |
총 가계 지출(십억 달러) | 168.12 | 176.96 | 188.13 | 199.57 |
총 가계 지출 전년대비 증감률(%) | -3.10 | 5.26 | 6.31 | 6.08 |
필수적 지출(십억 달러) | 133.31 | 140.28 | 149.13 | 158.20 |
비필수적 지출(십억 달러) | 34.81 | 36.68 | 39.00 | 41.37 |
식음료 지출(십억 달러) | 24.48 | 25.75 | 27.37 | 29.04 |
주: 1) f는 예상치, 2) 자료원: BMI
UAE 가계 소비 구조
자료원: Euromonitor, 2016년도 Dubai 기준
- 2016년 UAE 소비자의 주택, 식음료, 교통, 통신 등 필수적인 지출비가 79%를 차지하고 있음. 시장조사기관 BMI는 이 중 식음료(알코올, 담배 등 제외)의 2017년 지출은 27억3700만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함.
- UAE의 주요 도시인 아부다비, 두바이는 주택과 식음료 등에 연간 약 10만 달러를 지출하고 있음. 이는 세계에서 높은 수준의 물가를 기록하고 있는 뉴욕, 런던과 비슷함.
- 글로벌 시장조사기관인 유로모니터에 따르면 2016년도 UAE의 주요 도시 가구당 소득이 아부다비는 13만 달러, 두바이는 12만5000달러로 추정됐으나 지니계수(Gini index)가 40% 이상으로 인구별 소득 격차가 높은 편임.
- 이는 오일머니로 부유한 자국민과 일부 고소득 외국인을 제외하고, UAE 인구의 85%를 구성하는 외국인 중 저소득층 남아시아 인구가 높은 비중을 차지하기 때문
- 그러나 2021년까지 45%의 UAE 가구의 소득이 5만 달러 이상으로 상회할 것으로 예상, 또한 20세에서 39세까지의 젊은 층 인구 구성이 50% 내외일 것으로 전망
- 이와 같은 소득 상승을 통한 구매력 상승은 필수 가계지출인 식음료 소비 확대로 이어져 식음료 시장규모의 지속적 성장이 예상됨.
ㅇ 식품 매출 시장 규모
주요 식품 매출 현황
(단위: 백만 아랍에미리트 디르함)
구분 | 2015 | 2016 | 2017f | 2018f |
전체 식품 매출 | 81,261.6 | 85,485.3 | 90,808.8 | 96,328.7 |
빵·쌀·곡물 매출 | 10,917.2 | 11,493.7 | 12,221.4 | 12,977.4 |
육류 및 가금류 매출 | 19,990.2 | 21,001.4 | 22,272.2 | 23,585.7 |
생선 및 생선가공제품 매출 | 7,003.6 | 7,387.9 | 7,874.9 | 8,382.9 |
유제품 매출 | 10,552.4 | 11,146.8 | 11,902.0 | 12,692.0 |
과일 매출 | 8,688.6 | 9,094.7 | 9,600.7 | 10,118.4 |
야채 매출 | 10,374.5 | 10,911.1 | 11,587.0 | 12,287.4 |
주: 1) f는 예상치, 2) 자료원: BMI
ㅇ 음료 매출 시장 규모
주요 음료 매출 현황
(단위: 백만 아랍에미리트 디르함)
구분 | 2015 | 2016 | 2017f | 2018f |
알코올 전체 매출 | 220.0 | 230.0 | 240.0 | 260.0 |
비알코올 전체 음료 매출 | 8,644.7 | 9,090.6 | 9,653.4 | 10,237.1 |
커피·차·기타 핫드링크 | 1,547.2 | 1,635.6 | 1,754.3 | 1,879.7 |
청량 음료 | 7,097.5 | 7,454.9 | 7,899.1 | 8,357.3 |
과일·야채 주스 | 2,078.1 | 2,200.2 | 2,330.1 | 2,461.3 |
미네랄·생수 | 395.9 | 449.2 | 521.7 | 601.2 |
탄산 음료 | 4,623.5 | 4,805.5 | 5,047.3 | 5,294.9 |
주: 1) f는 예상치, 2) 자료원: BMI
- 2018년도 부가가치세(5%)제도 시행에 따른 가격 인상은 시장 성장성 측면에서 불리한 요소이지만,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관광객과 외국인 노동자 유입이 동력이 돼 전체 식음료 시장이 매년 6% 성장할 것으로 전망함.
- 2018년도 전년대비 커피·차·기타 핫드링크는 7.10%, 청량 음료는 5.80%, 과일·야채 주스는 5.60%, 미네랄·생수는 15.20%, 탄산 음료는 4.90% 각각 성장할 것으로 전망함.
- 2017년 10월에 시행되는 특별 소비세로 인해 청량음료 및 에너지음료의 가격이 각각 50%, 100% 증가해 수요가 주춤하겠지만 건강 음료 수요의 성장세로 비타민 음료·주스 시장이 약진할 것으로 예상됨.
현지업체 온라인 소매점 사이트(www.supermart.ae) | 현지 한인업체 운영 소매점 사이트(my1004mart.com) |
자료원: KOTRA 두바이 무역관
□ 소비자에게 보다 손쉽게 구매하도록 노력하는 식음료 소매업체
ㅇ 전자상거래 발달로 대량 식료품 소매업체 성장 기대
- UAE의 여성 취업률은 46.40%로 MENA 지역에서 여성 노동 참여율이 가장 높은 국가 중 하나임. 따라서 일하는 여성에게 온라인 주문 서비스는 상당한 인기를 끎.
- 대중적인 쇼핑몰 중심으로 식품 소매업은 확장되고 최근 아부다비에서 알푸타임 캐릴리온(Al Futtaim Carillion) 사가 10억 달러의 림몰(Reem Mall) 건설 프로젝트를 시행함.
- 먼 거리의 쇼핑몰과 달리 주거지역에 위치한 작은 소매단위의 커뮤니티 쇼핑센터는 접근성에 대한 편의 제공으로 비교적 높은 구매율를 기록하고 있음.
- 사우디에 기반을 둔 포장식품 회사 구디(Goody)는 UAE 교역업체인 GULFCO사와 파트너십 체결, 이는 UAE에서 커가고 있는 서양문화와 바쁜 생활에 따른 편의성 식품 수요 증가로 포장식품 시장이 성장하고 있음을 시사
□ 시사점
ㅇ (시장 환경) 향후 UAE의 가계 지출의 성장은 식음료시장 성장의 동력이 될 것임. 또한 UAE의 사막 기후의 자연 여건상 취약한 농업부문과 늘어나는 인구 수에 따른 식량 수요 상승을 고려 시 전적으로 수입에 의존할 수밖에 없는 UAE의 특수한 식료품 시장 환경은 지속될 것으로 예상
- 수입 의존성이 높은 UAE 시장은 분명히 수출에 적합한 기회의 장임은 분명함. 그러나 이미 진입한 다수 경쟁자와 대다수 소비자가 동서남아시아 및 유럽인 점을 감안해야 함.
- 신선도를 유지해야 하는 식료품인 만큼 상대적으로 가까운 유럽과 동 서남아시아와 달리 극동아시아 경우 지리적으로 불리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유통과정의 효율성도 고려해야 함.
- 따라서 UAE 시장 진입의 위험요소를 최대한 제거할 수 있는 전략적 접근이 무엇보다 중요함.
ㅇ (시장탐색) UAE는 세계 각국 식음료 기업의 제품을 한눈에 볼 수 있는 식품 관련 박람회가 매년 두바이에서 매년 개최되며 참여 시 현지 시장을 직접 탐색하기 좋은 기회가 될 것
- 'Speciality Food Festival 2017' 박람회(www.speciality.ae)가 Dubai World Trade Centre에서 9월 18일부터 20일까지 개최됨.
- 간접적 현지 시장 탐색 방법으로는 UAE 유명 전자상거래 사이트인 www.supermart.ae와 uae.souq.com를 통한 식료품 검색을 추천함.
ㅇ (MENA 수출 교두보) 시장 진입의 원론적인 접근 방법으로 완제품 수출도 방안이 될 수 있지만, 식음료 수출 시 제조 생산 기술력이 탁월하고 제품의 시장성이 높은 경우 현지 또는 가까운 원재료 국가에서 수입해 제조 단계를 거친 뒤 현지 내수 판매 및 제3국으로 수출하는 사례도 상당함.
- 따라서 우리 기업 식료품 수출시 현지 제조 시설 기반을 통한 해외 진출 가능성을 열어 둘 필요가 있음.
자료원: BMI, Euromonitor, 국내외 언론, KOTRA 두바이 무역관 자체조사 및 자료 종합
'글로벌 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국 모바일 게임시장 진출, 이 점을 유의해라 (0) | 2017.10.10 |
---|---|
영국 런던의 교통서비스 이모저모 (0) | 2017.10.10 |
베트남의 품질검사 품목 리스트 폐지는 품질관리 강화의 서막 (0) | 2017.10.10 |
내륙 유일 중앙정부 후원의 2017 중국식품요식업박람회 (0) | 2017.10.02 |
이집트 카이로, 2017 충북 중동 무역사절단 그 현장 속으로! (0) | 2017.10.02 |
- 프랑스
- 태국
- 리우
- 이집트
- 이란
- 올림픽
- 이스라엘
- 인도
- 인도네시아
- 삼성전자
- 에콰도르
- 코로나
- 홍콩
- 베트남
- 칠레
- 필리핀
- 삼성
- 미국
- 터키
- 콜롬비아
- 네델란드
- 화장품
- 독일
- 싱가포르
- 자동차
- 리우올림픽
- 전시회
- 미얀마
- 일본
- 브렉시트
- 남아공
- 브라질
- 멕시코
- 호주
- 영국
- 말레이시아
- 러시아
- 스페인
- 중국
- 캐나다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