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2016년 알제리 신차시장 초토화 직면
- 2016년 쿼터, 작년 판매량 대비 현대차 90%, 기아차 55% 격감 -
- 신차시장 규모 65% 급감 전망 -
□ 알제리 신차시장 현재 상황
○ 알제리 정부의 새로운 자동차 수입쿼터제 도입으로 2016년 알제리 국내 신차시장이 초토화 직전에 있음.
- 최근 저유가 기조가 지속됨에 따라 전체 수출의 98%를 원유 및 천연가스 수출에 의존하고 있는 알제리는 외환 감소 및 재정 악화로 대대적인 수입규제와 함께 외국인투자 유치를 통한 제조업 육성을 최우선하고 있음.
- 이에 따라 완성차 수입은 최대한 억제하고, 현지 조립생산차량에 대해서는 각종 혜택을 부여하고 있음(세금 감면, 할부 구입 허용 등).
○ 시장조사 전문기관인 BSCB는 2016년 알제리 신차 판매대수(수입완성차 + 현지조립생산차)는 전년대비 65%나 급락한 10만 대에도 미치지 못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음.
- 알제리 정부는 브랜드별 신차 수입쿼터를 2015년 판매량과 재고분을 반영해 결정함.
○ 이와 함께 지난 5월 10일, 최종적으로 40개 자동차 딜러들에게 올해 신차 수입 라이선스가 발부됐음.
2015년 판매량 대비 2016년 알제리 브랜드별 신차 쿼터
(단위: %)
순위 | 브랜드 | 2016년 쿼터 | 2015년 대비 증감률 | 2015년 판매량 | 순위 |
1 | Renault | 15,000 | -70 | 49,494 | 1 |
2 | Dacia | 15,000 | -63 | 40,688 | 2 |
3 | Toyota | 8,500 | -57 | 19,627 | 5 |
4 | Peugeot | 7,000 | -81 | 36,323 | 3 |
5 | Kia | 6,800 | -55 | 15,099 | 6 |
6 | Volkswagen | 4,600 | -63 | 12,455 | 7 |
7 | Hyundai | 3,140 | -90 | 31,306 | 4 |
8 | Skoda | 3,100 | -64 | 8,514 | 8 |
9 | Seat | 2,400 | -63 | 6,551 | 10 |
10 | Audi | 700 | -62 | 1,860 | 15 |
11 | Suzuki | 0 | -100 | 6,578 | 9 |
12 | Ford | 0 | -100 | 1,520 | 16 |
13 | Citroen | n/a | n/a | 6,500 | 11 |
14 | Nissan | n/a | n/a | 5,500 | 12 |
15 | Chevrolet | n/a | n/a | 3,128 | 13 |
16 | Mitsubishi | n/a | n/a | 1,973 | 14 |
- | 배정 확정대수 | 66,240 | - | 270,000 | - |
자료원: BSCB
주: 알제리 정부는 2016년 완성차 수입쿼터를 8만5000대로 확정하고 위의 표와 같이 12개사에 총 6만6240대 배정을 완료했으며, 미배정된 1만8760대는 Citroen 등 4개사에 추가 배정할 예정임.
□ 주요 브랜드별 쿼터 배정 현황
○ 로노자동차그룹은 Renault와 Dacia 브랜드로, 2015년에 비해 각 70%와 63% 감소한 1만5000대를 브랜드별로 배정받음.
- 이와 별도로 르노자동차는 알제리 Qued Tlelat에 소재한 현지공장에서 Symbol 브랜드로 5만 대를 조립·생산해 알제리 국내시장에 공급하고, 일부는 수출 예정임.
- BSCB에 따르면, 2016년 르노자동차그룹은 신차 수출분과 현지 생산분을 합해 2015년 판매대수 9만 여 대에 비해 40% 가량 감소한 최대 5만5000여 대를 알제리에서 판매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음.
○ 알제리 현지공장 건립과 관련, 파트너십 계약을 미룬 바 있는 푸조에 대해 알제리 정부는 징벌적인 쿼터를 배정함.
- 푸조는 2015년 알제리에서 3만6323대의 신차를 판매했으나, 2016년에는 전년도 판매대수보다 80% 이상 삭감된 7000대의 쿼터를 배정받음.
- 푸조는 쿼터 배정 전 이미 9000대를 주문했으나 쿼터 축소에 따라 2000대를 취소해야 하고, 올해 더 이상 수출할 수 없는 상황에 처함.
○ 현대자동차는 주요 자동차 브랜드 중 전년 판매량 대비 무려 90%나 감소한 쿼터 배정으로 가장 큰 타격을 받게 됨.
- 현대자동차의 2016년 쿼터는 2015년 한 달 판매량 정도에 불과한 3140대로 배정됨.
○ 이 밖에 폴크스바겐그룹(1만1000대, -63%)과 기아(6800대, -55%)의 쿼터 감소율도 상위에 랭크됨. 한편 스즈키, 포드자동차는 쿼터를 전혀 배정받지 못함.
2016년 쿼터가 대폭 축소된 푸조 | 쿼터를 전혀 배정받지 못한 스즈키 |
□ 최근 우리나라 대알제리 자동차 수출 현황
(단위: 천 달러, %)
구분 | 2014년 | 2015년 | 2016년 |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5월까지 누계 | |||
승용차 | 213,679 (-30.4) | 85,264 (-60.1) | 3,389 | 10,723 | 47 | 47 | 221 | 14,427 (-76.3) |
화물차 | 296,968 (57.3) | 55,860 (-81.2) | 2,194 | 2,924 | 2,669 | 2,013 | 4,978 | 14,778 (-71.4) |
특장차 | 25,808 (49.6) | 9,271 (-64.1) | - | 250 | 3,841 | 1,715 | - | 3,137 (-49.4) |
주: 괄호 안은 증감률
자료원: 한국무역협회
○ 우리나라 대알제리 승용차 수출실적은 올해 2월 이후 거의 중단 상태임.
○ 화물차도 올해 7월부터 현지 조립생산이 본격화됨에 따라 수출은 거의 이루어지지 않을 전망임.
- 알제리는 중고차의 수입을 금지하고 있음.
□ 쿼터 대폭 삭감으로 인한 영향
○ 2016년 알제리 신차시장은 전년에 비해 65%나 축소될 것으로 전망돼 수많은 딜러들이 폐업하고 대량 실직사태가 이어질 것으로 전망됨.
○ 알제리 신차시장은 수입쿼터제로 한때 시장을 위축시켰으나 최근에는 다소 완화되는 튀니지 시장의 전철을 밟고 있음.
○ 주요 자동차 제조사들은 알제리 정부의 신차 수입규제에 따라 현지 조립공장 건설을 적극 추진할 것으로 전망됨.
- 이미 2014년 11월, 알제리에 현지조립공장을 가동 중인 르노자동차는 알제리 시장을 석권하고 있음.
- 현대자동차는 7월부터 화물차(2종류) 현지생산을 시작했고, 하반기에는 승용차도 조립·생산 예정임.
○ 또한, 국산자동차(현대 및 기아)의 수입쿼터량 대폭 감소는 향후 국내 자동차부품 수출에도 악영향을 미칠것으로 전망되나, 현대자동차가 현지조립·생산을 본격 가동하면 다소 회복될 가능성도 있음.
르노자동차가 알제리에서 조립 생산 중인 Renault Symbol 모델
자료원: BSCB 및 KOTRA 알제 무역관 자료 종합
'글로벌 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6년 카스피해 석유·가스 전시회 열려 (0) | 2016.07.21 |
---|---|
이탈리아, 크라우드펀딩과 혁신 아이디어가 만나 이색상품 출시 붐 (0) | 2016.07.21 |
이란, 미디어 등 관련 콘텐츠 시장 (0) | 2016.07.21 |
중국의 새롭게 부상하는 키즈산업 트렌드 (0) | 2016.07.21 |
Final Stage of Myanmar Kpop Cover Festival 2016 (0) | 2016.07.21 |
- 콜롬비아
- 화장품
- 인도
- 에콰도르
- 리우올림픽
- 프랑스
- 브라질
- 터키
- 말레이시아
- 이집트
- 필리핀
- 태국
- 칠레
- 일본
- 미국
- 인도네시아
- 리우
- 남아공
- 미얀마
- 자동차
- 전시회
- 독일
- 러시아
- 삼성전자
- 호주
- 캐나다
- 브렉시트
- 스페인
- 영국
- 올림픽
- 이란
- 삼성
- 멕시코
- 이스라엘
- 네델란드
- 싱가포르
- 코로나
- 베트남
- 홍콩
- 중국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