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美 월마트, 온라인에 매월 100만 개 제품 등록
- 아마존보다 훨씬 뒤진 경쟁력 만회하기 위해 총력 -
- 제품 구색, 셀러 등록, IT기반 확대 등 3대 전략 추진 -
월마트가 아마존과의 경쟁에서 온라인(월마트닷컴) 판매 열세를 만회하기 위해 총력을 기울이고 있음. 제품 구색을 갖추기 위해 매월 100만 개 제품을 새롭게 업로드하고, 셀러 등록도 박차를 가하고 있으며, IT 플랫폼 확대를 위해 전 세계에서 가장 큰 기술팀을 신설해 향후 2년간 20억 달러를 투자할 계획. 이를 통해 본격적으로 아마존과의 온라인시장 패권 경쟁에 나서고 있음. |
□ 월마트 온라인(월마트닷컴) 기반, 아마존 대비 취약한 수준
○ 월마트닷컴, 미국 내 2위 온라인 판매사이트지만 아마존에 비해 경쟁력 절반 수준
- 월마트닷컴, 매월 8787만 명 고정고객 방문. 이는 아마존의 절반 수준(comScore, 2016년 2월 기준)
· 월 고정고객 수 아마존 1억7183만 명, 이베이 9621만 명
- 미국 온라인시장, 2020년 6842억 달러 규모 전망, 2016년(3967억 달러) 대비 72.5% 성장 전망
· 월마트, 온라인(월마트닷컴) 판매가 향후 기업의 성장 여부 결정할 전망
미국 온라인시장 매출액 전망
(단위: 십억 달러)
연도 | 2014 | 2015 | 2016 | 2017 | 2018 | 2019 | 2020 |
매출액 | 298.26 | 342.96 | 396.72 | 457.02 | 524.66 | 600.21 | 684.24 |
자료원: eMarketer, Fortune
○ 월마트닷컴, 매출액과 매출액 증가율에서 아마존 대비 매우 저조
- 2016년 1분기 매출액 125억 달러 기록, 아마존(828억 달러) 대비 1/7 수준
- 2016년 1분기 매출액 증가율 7%(2015 회계연도 10%), 전체 온라인시장(15.1%)의 절반 수준
- 월마트닷컴(온라인) 판매액은 월마트 전체 판매액의 약 3% 차지, 전체 소매업(7.8%)의 절반 수준
자료원: Fortune
□ 월마트닷컴, 제품 구색, 셀러 확대, IT기반 구축이 3대 전략
○ 월마트닷컴, 매월 100만 개 제품 등록 추진
- 월마트닷컴, 1000만 개 제품 판매 중이나 아마존(3억 개) 대비 1/30 수준
· 소비자들, 아마존에서는 제품구색 깊이 느끼나 월마트닷컴에서는 못 느껴
- 매월 100만 개 제품 등록 추진해 소비자들에게 다양한 제품 구색 제공을 추진 중
- 아마존, 마켓플레이스 수익률 한계로 자체 브랜드 개발 및 판매로 이동 중
○ 월마트닷컴, 마켓플레이스 역할 증대에 총력 기울여
- 아직 마켓플레이스 역할보다 월마트 온라인 사이트로서 역할 중
- 자사 온라인판매에서 벗어나 마켓플레이스로 변신해야 아마존에 대응할 제품구색 구축 가능
- 월마트닷컴, 새로운 셀러 등록(5월 100개 업체, 6월 150개 업체) 박차 가해
- 연말시즌 대비해 수백 개 셀러 등록 추진. 예) 명품브랜드 Kors 핸드백 재고분을 판매 중
○ 월마트, 온라인 IT기반 구축 총력, 향후 2년간 20억 달러 지출 계획
- 본사에 전 세계에서 가장 큰 규모(8000명)의 테크부서(Walmart Technology) 구축
- 실리콘밸리에 월마트랩(WalmartLabs) 설치, 최신 IT 기술 입수 및 적용 계획
- 월마트, IT면에서 아마존과 이베이에 뒤지지만 가장 빠른 속도로 성장 중(Channel Advisor)
- 월마트페이 출시로 모바일 쇼핑고객 편의 대폭 증대, 2200만 고객 사용(아마존 4900만 명)
· 2016년 7월 6일부터 미국 전역 모든 점포(4600개)에서 사용 가능해 IT 투자 결실로 간주
□ 시사점
○ 월마트 매장 숫자 줄이면서 온라인(월마트닷컴) 판매에 총력
- 2016년 1월 미국 내 154개 매장 문 닫아, 전 세계적으로 269개 매장 폐쇄
- 대형 매장 운영에 따른 기본 경비 증가, 소비자 쇼핑이 오프라인에서 온라인으로 이전한 것에서 기인
· 블랙프라이데이에도 오프라인 쇼핑 매력 줄어(전체 매출액 3% 증가, 온라인판매 9% 증가)
- 온라인시장 성장 가속화로 월마트닷컴 강화가 향후 월마트 기업의 성장 결정 전망
○ 월마트닷컴, 아마존 프라임데이 행사에 맞불 놓기 위해 롤백행사 실시
- 아마존 창립기념일(7월 12일) 맞아 1일간 프라임 회원 위한 대폭 할인(Prime Day) 추진
- 월마트닷컴, 7월 1일부터 30일간 롤백(Rollback)행사 대응 실시, 회원에게 2일 무료배송 제공
· 월마트닷컴 ShippingPass 회비 연간 49달러, 아마존 프라임멤버 회비 연간 99달러
- 2015년 롤백행사로 아마존에 가려 두각을 나타내지 못한 월마트의 온라인판매 홍보 효과와 월마트닷컴이 아마존 온라인 경쟁상대라는 인지도 구축에 성공
· 월마트닷컴 롤백과 아마존 프라임데이 행사로 '7월의 추수감사절 세일'이라는 신조어 탄생
○ 한국 중소기업, 월마트닷컴 진출 위해 미국 내 재고 및 벤더망 구축 필요
- 미국 대형 체인점들, 거래방식 변화로 현지 진출 또는 현재 벤더망 구축 필요
· 대형 체인점들은 직접 제품을 구입하는 재고보유(Consignment) 방식에서, 소비자가 제품 구입하면 셀러가 소비자에게 직접 제품을 배송하는 드롭십(Dropship) 방식으로 구매정책 변경
- 월마트닷컴 벤더/셀러 J사, 한국 업체가 미국에 재고 없이 대형 체인점과 거래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 현재 거래하는 대형 체인점의 80%와 Dropship 방식으로 거래하고 있음.
· 아마존은 셀러 등록 시 스크리닝이 거의 없으나, 월마트닷컴은 엄격히 사전 리뷰함.
· 월마트닷컴에 진출하기 위해 미국 업체와의 파트너십 정신으로 제품을 판매하려고만 하지 말고 월마트를 공략한다는 장기적인 전략과 정신으로 현지 업체와의 공조 절대 필요
자료원: 월마트, Fortune, WSJ, Supermarket News, CNN Money 및 KOTRA 뉴욕 무역관 자료 종합
'글로벌 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성장 예고된 베트남 의료시장 (0) | 2016.07.14 |
---|---|
페루, 영·유아용 기저귀시장 현황과 전망 (0) | 2016.07.14 |
日 기업, 외국인 인재 채용 가속화 (0) | 2016.07.14 |
일본, 이제는 생활밀착형 가전이다! (0) | 2016.07.13 |
말레이시아, 2015년 10대 건설기업과 건축설계사 (0) | 2016.07.13 |
- 미얀마
- 리우올림픽
- 이스라엘
- 베트남
- 프랑스
- 브렉시트
- 남아공
- 브라질
- 홍콩
- 미국
- 스페인
- 필리핀
- 이란
- 코로나
- 인도
- 리우
- 중국
- 인도네시아
- 화장품
- 멕시코
- 전시회
- 네델란드
- 캐나다
- 호주
- 터키
- 자동차
- 삼성
- 콜롬비아
- 칠레
- 삼성전자
- 러시아
- 에콰도르
- 일본
- 올림픽
- 영국
- 말레이시아
- 태국
- 이집트
- 싱가포르
- 독일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