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 프랑스 관세청, 지난해 11월까지 대한 무역수지 흑자 4억7000만 유로로 70.8% 감소 -
- 국내 관세청은 대프랑스 무역수지 적자 14.3% 감소 -
- 양국 간 통계 격차, 서로 다른 통계기준 및 결제방법의 소산 -
□ 프랑스 관세청, 대한국 무역수지 흑자 대폭 감소
ㅇ 지난해 들어 한국의 대프랑스 수출(프랑스의 대한국 수입)이 전년보다 늘어난 반면, 대프랑스 수입(프랑스의 대한국 수출)은 크게 줄어 전년보다 무역수지가 크게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음.
ㅇ 프랑스 관세청이 최근 발표한 한-프랑스 간 무역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1~11월 사이 프랑스의 대한 수입(한국의 대프랑스 수출)은 29억7100만 유로로, 2015년 같은 기간의 28억5200만 유로보다 4.2%(1억1900만 유로) 증가했음.
ㅇ 반면에 같은 기간 중 프랑스의 대한 수출(한국의 대프랑스 수입)은 34억3900만 유로로, 2015년 같은 기간의 44억5400만 달러보다 22.8%(10억1500만 유로) 감소했음.
ㅇ 이에 따라, 프랑스의 대한 무역수지 흑자 규모는 2015년 같은 기간 중 16억200만 유로에서 4억7000만 달러로 70.8%(11억3400만 유로) 감소했음.
□ 한편, 국내 관세청이 발표한 한-불 간 무역통계는 프랑스의 것과 다소 차이
ㅇ 국내 관세청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11월까지 한국의 대프랑스 수출은 22억6400만 달러로 2015년 동기(23억8600만 달러)보다 5.1% 줄었고, 대프랑스 수입은 50억9600만 달러로 2015년 동기(56억9000만 달러)보다 10.5%(5억9400만 달러) 감소했음.
ㅇ 이에 따라 한국의 대프랑스 무역수지는 여전히 28억3100만 달러 적자(프랑스 입장에선 흑자)로, 2015년 같은 기간의 무역수지 적자 33억500만 달러보다 14.3%(4억7500만 달러) 감소했음.
국내 관세청, 유로스타트 및 프랑스 관세청의 한-프랑스 무역통계 비교표
자료원 | 단위 | 2016년(11월) 한국의 대프랑스 무역 현황 | ||||
수출액 | 증감률 | 수입액 | 증감률 | 수지 | ||
프랑스 관세청 | 백만 유로 (백만 달러) | 2,971 (3,298) | 4.2 | 3,439 (3,817) | -22.8 | -468 (-519) |
한국무역협회 | 백만 달러 | 2,264 | -5.1 | 5,096 | -10.5 | -2,831 |
격차(한-불) | 백만 달러 (%) | 1,034 (45.7) | | 1,279 (25.1) | | 2,312 (81.8) |
□ 시사점
ㅇ 프랑스와 한국 측 통계상의 무역수지 감소율 및 감소액이 큰 차이를 보이는 현상이 지속되고 있음. 서로가 무역수지 적자를 보고 있다고 주장하는 상황이 나타날 정도로 양국 간의 무역통계가 큰 차이를 보임.
ㅇ 실제로 한-불 관세청의 무역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11월 기준 프랑스의 대한국 수입(CIF)이 한국의 대프랑스 수출(FOB)보다 약 46% 높았으며, 같은 기간 한국의 대프랑스 수입(CIF)이 프랑스의 대한국 수출(FOB)보다 25% 높았음. 이에 따라 프랑스의 대한국 무역수지가 한국의 대프랑스 무역수지보다 약 82% 낮았음.
ㅇ 수출은 FOB(본선 인도) 가격으로, 수입은 CIF(FOB+해상 운송료+보험료 포함) 가격으로 거래하는 관행상 행상운송료와 보험료만큼의 격차(약 8%)가 나타난다는 점을 감안하더라도 그 격차는 여전히 큰 상태여서, 이를 보충 설명해줄 수 있는 다른 어떤 요인이 있음을 알 수 있음.
ㅇ 무역 전문가들에 의하면, 수출국은 물품의 목적지를 수출국으로 보지만 수입국은 원산지 국가를 수출국으로 보기 때문이기도 함.
ㅇ 실제로 한국 및 프랑스의 20대 수출입 품목 가운데 양국의 수출입 통계 차이가 심하게 나타난 품목은 항공기, 자동차, 의약품, 화장품 및 선박이었음.
- 자동차 및 선박은 한국의 대프랑스 수출이 프랑스의 대한국 수입보다 많았으며, 항공기·의약품 및 화장품은 한국의 대프랑스 수입이 프랑스의 대한국 수출보다 많았음.
- 공교롭게도 선박과 화장품의 통계 차이는 5000만 달러였으며, 선박과 의약품은 1억 달러였음. 그런데 항공기의 경우는 통계 차이가 3억6000만 달러로 대프랑스 항공기 수입액의 91%를 웃돌았음.
- 무역 전문가들의 설명대로 지난 11월까지 한국이 프랑스로부터 수입한 항공기(3억9500만 달러)의 90% 이상이 에어버스 항공기를 제작하는 독일, 영국 등 유럽연합 회원국들을 경유해 한국에 수출됐을 가능성이 큼.
ㅇ 다국적 기업이나 글로벌 기업 제품들일수록 이러한 현상이 심하게 나타난다고 한다면, 양국 간의 수출입 통계 격차는 수출업체들의 세계화 수준을 가늠할 수 있는 일종의 지표라고 할 수 있음.
- 하지만, 이러한 판단은 통계 격차가 본격적인 세계화가 이전에 비해 더 심해졌음을 입증해야 하는 과제를 남겨두고 있어 좀 더 광범위한 비교 분석이 필요한 상황임.
자료원: 프랑스 관세청 무역통계, 한국무역협회 무역통계 및 KOTRA 파리 무역관 자료 종합
'글로벌 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페인, 여전히 ‘고령 자동차’의 나라 (0) | 2017.01.24 |
---|---|
케냐 싱글윈도시스템 도입 현황 (0) | 2017.01.23 |
Galaxy Note7: What We Discovered (0) | 2017.01.23 |
파라과이, 건설붐에 따른 PVC 바닥재시장 성장 (0) | 2017.01.23 |
말레이시아, 보건의료서비스산업 육성 (0) | 2017.01.23 |
- 남아공
- 터키
- 태국
- 삼성
- 독일
- 이란
- 콜롬비아
- 베트남
- 전시회
- 칠레
- 캐나다
- 인도네시아
- 필리핀
- 멕시코
- 러시아
- 올림픽
- 브라질
- 이집트
- 브렉시트
- 스페인
- 인도
- 에콰도르
- 말레이시아
- 코로나
- 영국
- 홍콩
- 프랑스
- 삼성전자
- 네델란드
- 리우
- 미국
- 호주
- 중국
- 화장품
- 일본
- 이스라엘
- 리우올림픽
- 자동차
- 싱가포르
- 미얀마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