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 2016년 기준 99만 달러 수입, 18% 성장세 기록 -
□ 시장규모 및 전망
ㅇ 시장규모
- 파라과이의 PVC 바닥재(HS Code 3918.10) 수입시장 규모는 2016년 기준 99만 달러로, 전년대비 18.3% 성장함. 파라과이는 자국 생산이 전무하기 때문에 수입규모를 시장규모로 볼 수 있음.
최근 3년간 파라과이 PVC 바닥재 시장규모 및 성장률
(단위: 천 달러, %)
2013 | 2014 | 2015 | 2016 | ||||
시장규모 | 성장률 | 시장규모 | 성장률 | 시장규모 | 성장률 | 시장규모 | 성장률 |
840,927 | 19.4 | 841,852 | 0.1 | 840,801 | -0.1 | 994,976 | 18.3 |
자료원: Penta Transaction Online
ㅇ 시장 전망
- 수요 증대 예상 요인
· 파라과이 중앙은행에 따르면, 2016년에 건설업이 전년대비 18%의 성장을 보였으며, 올해에도 지속적인 성장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하고 있음.
· PVC 바닥재의 수요는 건설과 밀접한 연관이 있는데, 최근 파라과이 주요 도시(아순시온, 시우닫 델 에스테, 엔카르나시온, 살토 데 과이라 등) 내에 고층빌딩, 쇼핑센터, 고급 아파트 등 건설 붐에 영향을 받아 수요가 증가하고 있음.
· 파라과이 시장 내에는 아직 세라믹 바닥재에 대한 수요가 매우 높으나, PVC 바닥재 또한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로 그 수요 또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됨.
□ 수입 동향
ㅇ 주요 수입국가
- 2016년 기준 브라질(43% 점유율), 중국(19%), 한국(14%) 등임.
- 2016년 달러화 높은 환율 때문에 한국 수입이 43% 하락세를 보였음. 중국 제품도 약 2% 덜 수입됐으며, 대신 주변국인 브라질산 바닥재 수입은 53% 증가한 것으로 보임.
· 남미공동시장(MERCOSUR) 회원국인 브라질과 파라과이 간의 무역은 무관세로 이루어짐.
파라과이 PVC 바닥재 주요 수입국가
(단위: 천 달러, %)
순위 | 국가 | 2014년 | 2015년 | 2016년 | 2016년 점유율 | |||
금액 | 증감률 | 금액 | 증감률 | 금액 | 증감률 | |||
| 합계 | 841,852 | 0.1 | 840,801 | -0.1 | 994,976 | 18.3 | 100.0 |
1 | 브라질 | 310,062 | -15.80 | 277,973 | -10.35 | 424,769 | 52.81 | 42.69 |
2 | 중국 | 183,312 | 21.50 | 194,874 | 6.31 | 190,280 | -2.36 | 19.12 |
3 | 한국 | 130,758 | 12.00 | 208,396 | 85.15 | 138,967 | -42.83 | 13.97 |
4 | 독일 | 90,200 | 2,898.67 | 25,799 | -71.40 | 41,310 | 60.12 | 4.15 |
5 | 벨기에 | 38,700 | -66.11 | 25,822 | -33.28 | 39,277 | 52.11 | 3.95 |
6 | 룩셈부르크 | 0 | - | 1,758 | - | 35,943 | 1,944.54 | 3.61 |
7 | 미국 | 47 | -99.90 | 4,385 | 9,229.79 | 35,718 | 714.55 | 3.59 |
8 | 말레이시아 | 0 | - | 0 | - | 30,857 | - | 3.10 |
9 | 이탈리아 | 28,527 | - | 5,116 | -82.07 | 26,203 | 412.18 | 2.63 |
10 | 홍콩 | 0 | - | 4,045 | - | 14,644 | 262.03 | 1.47 |
11 | 네덜란드 | 56,386 | 160.60 | 25,042 | -55.59 | 7,715 | -69.19 | 0.78 |
12 | 스페인 | 52 | - | 67,195 | 129,121.15 | 3,931 | -94.15 | 0.40 |
13 | 스위스 | 0 | - | 0 | - | 3,043 | - | 0.31 |
14 | 프랑스 | 0 | - | 0 | - | 2,097 | - | 0.21 |
15 | 파나마 | 0 | - | 393 | - | 216 | -45.04 | 0.02 |
자료원: Penta Transaction Online
ㅇ 주요 수입업체
- PVC 바닥재의 주요 수입원은 마무리 품목 분야 건설사들임.
- 최근 PVC 바닥재 수입을 하기 시작한 회사들이 존재함. 이들 중 몇 개사들은 자신들의 건설 및 리모델링 프로젝트에 필요해서 임시적으로 수입을 한 것으로 보이며, 이 외에도 최근 건설 붐 및 늘어나고 있는 PVC 바닥재 수요에 따라 최근 수입을 시작한 것으로 보임.
파라과이 PVC 바닥재 주요 수입업체
(단위: 천 달러, %)
순위 | 수입업체 | 2014년 | 2015년 | 2016년 | '16년 점유율 | |||
금액 | 증감률 | 금액 | 증감률 | 금액 | 증감률 | |||
| 합계 | 841,852 | 0.1 | 840,801 | -0.1 | 994,976 | 18.3 | 100.0 |
1 | SAN CARLOS SRL | 174,168 | 3.17 | 244,669 | 40.48 | 137,852 | -43.66 | 13.85 |
2 | MULTIRUBROS S.A. | 0 | - | 55,468 | - | 131,132 | 136.41 | 13.18 |
3 | CASA IMPERIAL S.A | 122,146 | 0.52 | 112,753 | -7.69 | 113,847 | 0.97 | 11.44 |
4 | TENDENCIAS S.A. | 0 | - | 0 | - | 73,859 | - | 7.42 |
5 | AAGVPISOS LAMINADOS S.A. | 0 | - | 0 | - | 61,714 | - | 6.20 |
6 | AURORA HOSPITALIDAD S.A. | 0 | - | 0 | - | 55,998 | - | 5.63 |
7 | G.G.R. S.A | 0 | - | 0 | - | 52,612 | - | 5.29 |
8 | ATENAS IMPORTACIONES S.A. | 0 | - | 0 | - | 40,160 | - | 4.04 |
9 | GIMENEZ CALVO SAC | 38,700 | -66.11 | 25,822 | -33.28 | 39,277 | 52.11 | 3.95 |
10 | URBIWORLD SA | 130,257 | 29.61 | 63,718 | -51.08 | 38,564 | -39.48 | 3.88 |
11 | DROP SOCIEDAD NONIMA | 0 | - | 0 | - | 35,926 | - | 3.61 |
12 | IMP PARANA SA | 17,183 | -26.72 | 32,490 | 89.08 | 33,693 | 3.70 | 3.39 |
13 | BLUE TOWER VENTURES S.A. | 0 | - | 0 | - | 30,225 | - | 3.04 |
14 | SPORT BUSINESS S.R.L. | 28,527 | - | 5,116 | -82.07 | 20,621 | 303.07 | 2.07 |
15 | CINEMARK PARAGUAY S.R.L. | 0 | - | 0 | - | 18,348 | - | 1.84 |
자료원: Penta Transaction Online
□ 시장 특성
ㅇ 주요 시장 특성
- PVC 바닥재의 주요 수입원은 마무리 품목 분야 건설사들임.
- 건설 프로젝트를 추진하는 건설사에서 필요 제품을 직접 수입하는 경우도 있음.
- 파라과이 소비자들은 아직 품질보다는 대부분 저렴한 제품을 선호하고 있음.
- 건설 프로젝트를 추진하는 건설사에서 필요제품을 직접 수입하는 경우도 있음.
ㅇ 주요 소비자 구매패턴
- 주요 소비자 계층
· 최근 붐인 고층빌딩, 쇼핑센터 등의 건설분야와 관련된 파라과이 건설업체
· 집을 소유한 일반 소비자 또는 PVC 바닥재의 중요한 소비자임.
- 소비자 구매동기
· 비교적 저렴한 가격 및 간편한 시공
· 제품의 다양성
· 재료 자체의 쿠션이 주는 안정감
□ 제품 트렌드
ㅇ 주요 제품 동향
- 파라과이 시장 내 가장 많이 쓰이는 PVC 바닥재 종류는 롤 형식으로 나오는 PVC 바닥재임.
- 현지 바이어들에 따르면, 최근 파라과이에 타일 형식으로 나오는 PVC가 알려지기 시작했으며, 향후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됨.
파라과이에서 많이 쓰이는 PVC 바닥재 예시
자료원: 수입업체 홈페이지
□ 수입관세 및 유통구조
ㅇ 수입관세
(단위: %)
HS Code | 품목명 | 관세 | 부가세 |
3918.10 | PVC 바닥재 | 16 | 10 |
자료원: Mercosur External Common Tariff 자료
- 남미공동시장(MERCOSUR)의 회원국에서 무관세로 수입됨.
ㅇ 유통채널별 점유율
- 파라과이 소비자들은 바닥재 전문점, 인테리어 디자인 및 데코레이션 전문업체 등에서 주로 구매하며, 바닥재 전문점에서 직접 수입·판매하는 경우도 많음.
□ 시사점
ㅇ PVC 바닥재 수입 시장 성장 지속될 전망
- 최근 경제 성장 및 건축경기 활성화에 따라 PVC 바닥재에 대한 수요도 꾸준하게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며, 특히 가정용 바닥재 및 쇼핑몰, 호텔 등 산업용 바닥재에 대한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전망됨.
ㅇ 강해지고 있는 브라질산 제품 경쟁력
- 파라과이 내 PVC 바닥재 시장은 주로 브라질산 제품으로 구성돼 있음. 최근 달러화 가치 상승으로 인해 중국 제품이나 한국 제품에 대한 선호도가 떨어져, 브라질 제품 수입은 50% 이상 증가한 것으로 보임.
- 또한, 주변국인 브라질에서는 남미공동시장(MERCOSUR) 회원국인 파라과이가 무관세로 수입하고 있으며, 이외에도 지리적 이점으로 소비자들의 브라질 제품에 대한 선호도가 증가하는 추세임.
ㅇ 가격의 중요성 및 한국 제품 현지 인지도
- 파라과이는 아직 품질보다는 가격에 민감한 시장이므로 가격경쟁력이 중요한 부분으로 작용하고 있음. 특히 PVC 바닥재의 경우, 주변 남미공동시장 회원국인 브라질 제조산은 무관세로 수입되고 있어, 시장 진입 이전에 가격경쟁력 확보에 대한 검토가 필요함.
- 이 소비패턴의 영향으로 한국 제품은 무관세로 들어오는 브라질 제품 및 저렴한 중국 제품에 비해 인지도가 떨어지나, 고품질 대비 가격경쟁력으로 꾸준한 인지도를 가짐. 2016년 기준 한국이 수입국가 중 3위를 차지했으며, 향후에도 비슷한 점유율을 유지할 것으로 전망됨.
자료원: Penta Transaction Online, Mercosur External Common Tariff 자료 및 KOTRA 아순시온 무역관 자료 종합
'글로벌 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프랑스, 지난해 對한 무역수지 흑자 감소 (0) | 2017.01.23 |
---|---|
Galaxy Note7: What We Discovered (0) | 2017.01.23 |
말레이시아, 보건의료서비스산업 육성 (0) | 2017.01.23 |
호주, 해외 생새우 수입제한 발표 (0) | 2017.01.23 |
영국의 하드 브렉시트 선언에 따른 각계 영향 전망 (0) | 2017.01.20 |
- 삼성
- 올림픽
- 자동차
- 전시회
- 일본
- 스페인
- 영국
- 중국
- 에콰도르
- 호주
- 미국
- 말레이시아
- 이집트
- 터키
- 미얀마
- 프랑스
- 베트남
- 브라질
- 삼성전자
- 이스라엘
- 인도
- 콜롬비아
- 필리핀
- 코로나
- 남아공
- 인도네시아
- 태국
- 네델란드
- 러시아
- 홍콩
- 독일
- 싱가포르
- 칠레
- 이란
- 화장품
- 캐나다
- 브렉시트
- 멕시코
- 리우
- 리우올림픽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