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 국제해사기구선박평형수관리협약본격 비준 -

- 전 세계국제항해선박평형수처리장치의무적설치필요 -

- 장기적인불경기의조선·해양기자재 시장새로운돌파구 -

□ 시장 현황


  ㅇ 싱가포르 선박 평형수 처리장치 시장규모

    - 2014년 기준 약 1억7400만 싱가포르달러 규모의 선박 평형수 처리장치 시장은 2015년 전년대비 59.1% 성장한 2억6100만 싱가포르달러의 총 시장 물동량을 기록함. 

 

  ㅇ 국제해사기구(IMO) 선박평형수 관리협약 발효와 함께 평형수 처리장치 시장 성장 전망

    - 2016년 9월 8일부로 선박 평형수 관리협약이 비준돼, 2017년 9월 8일 자로 본격 발효될 예정임. 발효 이후의 신조 선박은 건조될 때부터 선박 평형수 처리 장치를 설치해야 할뿐만 아니라, 국제 항해를 하는 전 세계의 모든 운용 선박이 2022년 9월 7일 전까지 해당 장치를 의무적으로 설치해야 함.

    - 현지 바이어의 인터뷰에 따르면, 장기적인 조선 해운시장 불경기에도 불구하고 신조 선박과 기존의 운용되고 있는 모든 선박에 설치돼야 하는 설비인 만큼, 해당 품목과 관련된 장치 및 기자재에 대한 높은 수요는 장기간 유지될 것으로 예상함. 특히, 전 세계 최대 물류 환적량을 기록하는 싱가포르 항과 조선 해운산업 인프라가 충분히 구축돼 있는 현지 상황에 따라, 빠른 속도의 시장 성장을 기대하고 있음.

 

최근 3년간 싱가포르 평형수 처리 장치 시장규모 및 성장률

                                                                                                                                (단위: 백만 싱가포르달러, %)

2013

2014

2015

시장규모

성장률

시장규모

성장률

시장규모

성장률

164.5

N/A

174.2

5.9

261.3

59.1

자료원: IE Singapore


□ 수입 동향


  ㅇ 수입규모 상승세

    - 2015년 기준 영국, 베트남, 미국, 말레이시아 등의 국가가 강세를 보이고 전체적인 시장점유율이 상승하고 있는 상황이나, 최근 3년간의 수입 통계를 기준으로 하면 중국, 일본, 독일을 포함한 다양한 국가의 큰 수입량 변동을 확인할 수 있음.

 

최근 3년간 수입 규모 및 상위 10개국 수입 동향(HS Code 842121)

                                                                                                                             (단위: 백만 싱가포르달러, %)

순위

국가

금액

점유율

증감률

2013

2014

2015

2013

2014

2015

14/15

1

영국

3.9

5.3

34.8

4.3

5.4

22.7

547

2

미국

17.7

19.7

20.9

19.5

20.0

13.4

6

3

베트남

0.1

0.04

27.3

0.1

0.04

17.4

55687

4

말레이시아

5.6

6.9

15.5

6.1

7.0

10.0

124

5

중국

7.9

9.7

9.4

8.7

9.7

6.0

-3

6

일본

20.3

13.3

7.4

22.3

13.4

4.7

-44

7

이탈리아

2.1

0.8

6.4

2.4

0.8

4.1

650

8

독일

6.4

7.2

6.2

7.1

7.3

4.0

-13

9

대한민국

4.3

5.1

5.9

4.7

5.1

3.8

16

10

프랑스

4.7

3.0

3.3

5.2

3.0

2.1

11

자료원: IE Singapore

 

□ 동종업체 경쟁 동향

 

  ㅇ 경쟁사 동향

    - 현지 에이전트 및 주요 선사와의 인터뷰 청취를 통해 확인한 바에 따르면, 싱가포르 국적의 업체는 대표적으로 3개사가 경쟁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함. 전 세계 선박 평형수 처리장치 시장을 선점하고 있는 기존의 한국, 미국, 유럽 업체들과 비교해 IMO의 1차 승인만을 통과한 기술을 보유하고 있으나, 싱가포르 유관기관의 지원을 통해 빠른 성장 중이라고 함. 특히 A사 경우, 싱가포르 해양 항만청(MPA)의 지원 아래, 싱가포르 국립대학교(NUS) 에서 자체 개발되고 있는 평형수 처리 장치(BlueSeas Ballast Water Treatment System)의 상업독점권을 보유하고 있는 유일한 업체임.

    - 싱가포르 국적의 업체뿐만 아니라, 현지 시장에 이미 진출한 조선 기자재 품목을 취급하는 다수의 외국기업 또한 선박 평형수 시장에 본격적으로 뛰어들고 있는 상황. 다국적 선사, 선주사, 쉽 매니지먼트사의 아시아-태평양 본부가 밀집해 있는 싱가포르 조선·해운 시장의 특성상 경쟁은 더욱 치열해질 것으로 업계 관계자는 전망하고 있음.

    - 다소 후발주자로 해당 품목 시장에 뛰어든 외국기업의 경우, 약점을 보완하기 위한 전략적인 파트너십을 체결하고 있는 상황이 두드러짐. 실례로, 싱가포르에 아시아 거점 본부를 두고 있는 네덜란드 국적의 유명 조선 기자재 취급 B사의 경우, 평형수 처리장치 원천 기술을 가지고 있는 미국의 C 사와 상호 파트너십을 채결하여, 강점을 가지고 있는 현지 인프라와 3D 스캐닝 기술을 제공하고, 파트너사의 평형수 처리장치 설비를 설치하는 Win-Win 전략을 시행하고 있음.

 

□ 진출전략 시사점 및 참고사항

 

  ㅇ 싱가포르 시장 및 현지 바이어 특성 이해 필요

    - 싱가포르 조선·해양산업 구조 특성상, 신조 선박의 경우, 석유 및 가스 산업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는 해양 구조물, 드릴쉽, 시추선 같은 특수 목적선에 집중돼 있음. 일반 상선, 컨테이너선, 벌크선 등과 같은 선박의 경우, 수리 서비스, 내부 설비 및 장비 설치, 소모품목 기자재 공급에 대한 수요가 높음. 이러한 시장 특성상, 선박 평형수 처리장치로 진입 전 정확한 목표시장 선정(Targeting)을 확립한 후 시장을 공략하는 것이 주요해 보임.  

    - 위험부담을 지는 것을 극도로 꺼려하는 싱가포르 시장의 바이어 특성상, 제품 품질에 대한 공신력과 상호 간의 신뢰를 구축하는 것이 아주 중요한 사항으로 고려됨. 싱가포르 시장에 기존 판매이력이 없거나 또는 경쟁사에 비해 부족한 경우, 소규모 발주를 수용한 이력 확보가 하나의 방안이 될 수 있음. 특히, 필터, 밸브 등과 같은 예비품이나 소모 품목이 많은 평형수 처리장치의 특성상, 틈새시장을 공략할 수 있는 기회가 있으며, 축적된 현지시장 노하우와 바이어와의 관계를 바탕으로 해 좀 더 큰 발주 건으로 이어나갈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됨. 

 

  ㅇ 지속적인 제품 개발 및 투자 필요

    - 선박 평형수 처리장치의 경우 설비 종류와 처리방식에 따라 가격은 천차만별이나, 일반적으로 미국 및 유럽 브랜드 제품은 고가제품군으로 형성돼 있고, 저가제품 시장의 경우 주로 중국산이 대부분임. 현지 바이어에 따르면, 한국산 제품의 경우 중고가 시장에 포지셔닝하고 있으며, 가격 대비 효과적인 성능의 제품으로 시장에서는 평가를 받고 있다고 함. 

    - 다만, 실제 성능과는 별개로, 한국산 평형수 처리 장치의 경우, IMO보다 더욱 엄격한 평형수 처리 기준을 요구하고 있는 미국 해양경비대(USCG) 승인을 취득하기에는 미국 및 유럽 브랜드 대비 성능이 부족하다는 인식이 퍼져있다고 함. 현지 바이어가 언급한 바로는, 최근 한진해운 사태와 같은 한국 조선·해운산업에 대한 부정적인 이미지가 이러한 인식을 일정 부분 확산시켰다고 함.

    - 기술을 보유하고 있을 시, 보다 손쉽고 안정적인 시장 진출이 가능함. 실례로, 평형수 처리 장치 선두기업 중 하나로 꼽히는 미국 D사의 경우, 싱가포르 국적 최대 조선사인 K사의 수리 또는 개조 선박에 장치를 설치한다는 MOU를 체결함. 내년을 기점으로 해당 시장이 본격적으로 활성화될 것으로 예상되는 바, 지속적인 제품 개발을 통해 한국산 평형수 처리장치 품질에 대한 인식을 고급화시키는 것이 장기적인 관점에서의 높은 수익 달성과 성공적인 시장진출을 위해 권장됨.   

 

 

자료원: IE Singapore, Proquest, 국제해사기구, 싱가포르 해양항만청, 해양수산부 및 KOTRA 싱가포르 무역관 자료 종합




자료출처 : KOTRA 해외시장뉴스(경제 무역)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