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올해 한국·베트남 교역이 자유무역협정(FTA)이 발효되기 전인 지난해보다 17%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주형환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7일 서울 영등포구 콘래드호텔에서 쩐 뚜언 아잉 베트남 산업무역부 장관과 제1차 FTA 공동위원회 및 제7차 산업공동위원회를 개최했다.
FTA 공동위는 지난해 12월 20일 발효된 한·베트남 FTA 1주년을 맞아 열린 첫 장관급 이행위원회다. 지난 1년간 FTA 성과를 되짚고 경제·통상 관계를 강화하기 위한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산업부에 따르면 지난 1∼10월 베트남으로의 수출은 264억달러, 수입은 104억달러로 전년 같은 기간보다 각각 13%와 28% 상승했다.
이에 따라 수출입을 합친 양국 간 교역 규모는 368억달러로 전년 1∼10월 대비 17% 증가했다.
두 번에 걸친 관세 인하로 인해 FTA 특혜 품목을 중심으로 수출입이 증가한 점도 FTA의 성과로 평가된다.
화장품과 자동차 부품 수출은 각각 34%와 30% 늘었고, 라이스 페이퍼와 기타 목재류 수입은 78%와 6% 증가했다.
양국은 각 국의 자유무역협정(FTA)협상 동향을 공유하는 한편, 공동으로 참여하고 있는 역내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RCEP) 등 다자 협상에서도 지속 협력해 나가기로 했다.
주형환 장관은 이날 공동위에서 “이번 공동위는 지난 1년간 양국이 일궈온 구체적인 이행성과에 대해 평가하는 한편 양국 정부의 적극적인 이행협조 덕분에 한-베 교역관계가 한층 업그레이드 되었음을 확인했다”고 평가했다.
이어 “양국이 변함없는 신뢰를 토대로 자유무역협정(FTA)을 통해 더 많은 성공사례를 만들어 낼 수 있도록 계속해서 노력해 나가자”고 당부했다.
한편, 이번 공동위원회 주요 논의결과는 공동발표문(영문) 형태로 자유무역협정(FTA) 누리집(http://www.fta.go.kr/)에 게재한다.
문의 : 산업통상자원부 아주통상과 044-203-5713, 5762
[자료제공 :(www.korea.kr)]
'정책 뉴스 >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형 신도시로 중남미 수출 가교 놓는다 (0) | 2016.12.09 |
---|---|
보금자리론 문턱 높여 서민 실수요층 집중공급 (0) | 2016.12.08 |
세종 행복도시, 세계적 녹색 모범도시로 비상 (0) | 2016.12.07 |
차량용 블랙박스 성능 비교해보니… (0) | 2016.12.07 |
돼지고기 이력조회 꿀팁! (0) | 2016.12.06 |
- 삼성전자
- 홍콩
- 멕시코
- 스페인
- 네델란드
- 독일
- 필리핀
- 코로나
- 프랑스
- 베트남
- 브라질
- 인도
- 러시아
- 칠레
- 이집트
- 에콰도르
- 이스라엘
- 화장품
- 미얀마
- 말레이시아
- 올림픽
- 캐나다
- 삼성
- 호주
- 남아공
- 미국
- 콜롬비아
- 리우올림픽
- 태국
- 인도네시아
- 중국
- 이란
- 터키
- 영국
- 브렉시트
- 전시회
- 자동차
- 싱가포르
- 일본
- 리우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