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 미국 실리콘밸리 및 베이징 중관촌 지역 벤치마킹, 대대적 창업지원 예고 -
- 정부-기업 간 파트너십 통해 벤처기업 창업 기회 창출 -
□ 샹장신구 현황
ㅇ 위치 및 경제 규모
- 샹장신구(湘江新区)는 후난성 창사시 샹장 서안에 위치해 있으며, 웨루구(岳麓区), 왕청구(望城区) 그리고 닝샹구(宁乡区)를 포함하고 있음. 총 면적은 500㎢에 달함.
- 2015년 기준 상주인구 90만 명, 지역총생산 970억 위안, 재정총수입 167억 위안, 공업 증가액은 2110억 위안임.
ㅇ 중국 국가급 신구(新区)* 중 하나
- 2015년 4월 8일 중국 국무원으로부터 국가급 신구로 승인받음.
- 상하이 푸동(浦东), 톈진 빈하이(滨海), 충칭 량쟝(两江), 광저우 난샤(南沙), 칭다오 시하이안(西海岸) 등 창사 샹장(湘江) 포함 현재까지 총 17개의 국가급 신구가 설립됨.
· 국가급 신구(国家级新区): 국가급 신구는 1992년 이후 국가 경제 개발 및 개혁을 위해 국가전략 차원에서 설립한 경제특별구역임. 보통 지리적으로 우세하고 경제발전 조건이 양호한 지역에 설립돼 발전해왔음.
ㅇ 산업 현황
- 국가급 신구는 국가의 주요 전략을 실행하기 위해 설립된 특수경제구역으로, 17개 신구는 각각 서로 다른 역할을 부여받음.
- 샹장신구는 중국 중서부 지역의 유일한 국가급 신구로, 주요 전략 산업은 신재료, 친환경 신에너지, 생물의약, 이동통신 등의 하이테크 산업임.
- 국가급 신구로 선정된 후 현재까지 샹장신구 지역 내 120개 이상의 대규모 건설 프로젝트가 진행됐으며, 총 600억 위안이 투자됨.
- 장강 경제벨트 사업과 연계해 2018년까지 금융서비스, 무역·상업 유통 서비스 등 현대적 서비스업을 발전시키고 신흥산업을 집중적으로 육성할 계획임.
중국 국가급 신구 분포도 | 창사 샹장신구(보라색) |
| |
자료원: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 | 자료원: 长沙晚报 |
□ 우대정책 개요
ㅇ 샹장신구 관리위원회의 정책 발표
- 2016년 10월 28일, 후난 샹장신구 관리위원회(湘江新区管理委员会)는 베이징 중관촌(中关村) 지역을 벤치마킹해「샹강신구 국가 창업 시범지역 건설 방안(湘江新区国家创业示范基地建设工作方案)」을 발표함.
· 베이징 중관촌은 중국의 첫 국가급 하이테크산업 개발단지이자 미국 실리콘밸리에 이은 세계 2대 창업 지역임.
- 중국 국·내외 창업 인재 유치를 위해 2018년까지 15억 위안(한화 약 2540억 원) 수준의 직·간접적 투자 및 지원 계획을 표명함.
- 또한, 후난성 소재 기업 인센티브 지급 계획을 발표해 창업 유치를 위해서는 정부-기업 간 상호 협력이 중요하다는 것을 강조하고 있음.
ㅇ 세부 정책 계획
- 중국 과학기술부, 세무국, 재정부 등의 검증을 획득한 벤처기업에 대한 소득세 15% 감면. 후난성 핵심 신흥산업 관련 벤처기업일 경우 소득세 30% 감면
후난성 핵심 신흥산업
업종 | 세부 내용 |
첨단 장비 제조업 | 철로교통, 엔지니어링기계, 신에너지 장비, 도시 철로 장비 연구·제작 및 스마트 로봇 제조 |
제3세대 정보기술 | 정보 보안산업 단지 건설, 정보 통신 시설, 스마트 제조 소프트웨어 국산화. 전자회로·전자기초 산업 연구·개발 |
생물 산업 | 국내·외 선진기술 도입해 의료용 기계 연구 개발, 농업의 산업화 |
신소재 | 국내·외 신소재 제조업체와 협력개발, 서플라이 체인 구축 |
에너지 절약 및 환경보호 | 여열 에너지 활용 방안 연구. 최첨단 오염 처리 시설 및 재생 에너지 시설 구축 |
주택 산업 | 설계, 생산, 시공을 아우르는 공업화 기지 건설. 건축 설계 부문의 표준체계 수립. 주택 풀인테리어 보급 |
자료원: 湖南省人民政府
- 세전 연소득 50만 위안(한화 약 8500만 원) 이상의 해외 고급 인재의 경우, 연소득의 15~26%의 장려금 지급
- 신흥 산업 인프라 구축 및 공공서비스 증진에 공헌하는 공장 신축 시, ㎡당 10~15위안 보조금 지급
- 후난성 신규 진출 창업 기업일 경우 총 8만 위안(한화 약 1400만 원)의 운영 보조금 지급 및 150만 위안(한화 약 2억5000만 원)의 주택 보조금 지급
- 청년 벤처기업일 경우 학부생 1만5000위안(한화 약 254만 원), 석사 과정 2만5000위안(한화 약 424만 원), 박사 과정 3만 위안(한화 약 510만 원), 박사 학위 구득 후 5만 위안(한화 약 850만 원)의 주택·생활 보조금 지급
- 핵심 신흥산업 종사 국가급 고급인재*에게는 총 300만 위안(한화 약 5억1000만 원)의 창업 지원비와 최대 1000만 위안(한화 약 17억 원)의 프로젝트 지원금 지급
· 국가급 고급인재는 특정 산업 분야에서 국제적 권위가 있는 인재 또는 해외 유명대학의 석학을 뜻함.
- 외국 국적 고급인재 거주권 개혁(外籍高端人才绿卡改革)에 따라 입국 및 체류 수속 절차 간소화. 행정 심사비준 소요 비용 일부 지원
□ 후난성 정부-기업 간 협력 현황(투자 기업)
ㅇ 협력 개요
- 기존 후난성 소재 기업들에게 ‘신규 벤처 기업 지원’ 인센티브를 지급해 신규 기업에 창업 기회 및 정보 제공을 하게 함으로써 샹강신구 창업의 진입장벽을 낮춤.
- 대표적으로는 기업 차원의 창업 카페 운영 및 앱 개발을 통한 신규 창업기업 지원 등이 있음.
· 창업 카페: 예비, 초기 창업가들의교류와 소통 및 육성 플랫폼 역할을 하는 공간. 노트북 한 대만 있으면 오피스이자 행사장이자 멘토링 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음,
ㅇ 샹장신구 창업 카페 현황
창업 카페명 | 면적(㎡) | 위치 | 관리 기관 | 운영 기관 |
弘德·创智空间 | 4,000 | 메이시후국제신청 (梅溪湖国际新城) | 위에루구 정부 (岳麓区政府) | 홍더유한공사 (弘德有限公司) |
58众创空间 | 25,000 | 위에루구 (岳麓区) | 위에루구 정부 (岳麓区政府) | 58간지그룹 (50赶集集团) |
创界星咖啡 | 1,500 | 가오신구 (高新区) | 가오신구관리위원회 (高新区管委会) | 가오신구창업서비스센터 (高新区创业服务中心) |
创咖啡 | 1,695 | 가오신구 (高新区) | 가오신구관리위원회 (高新区管委会) | 티엔허창업서비스유한공사 (天合创业服务有限公司) |
腾讯创客空间 | 13,000 | 가오신구 (高新区) | 가오신구관리위원회 (高新区管委会) | 벙쉰유한기업 (腾讯有限公司) |
湖南麓谷创客咖啡厅 | 5,500 | 가오신구 (高新区) | 가오신구관리위원회 (高新区管委会) | 증씨기업유한공사 (曾氏企业有限公司) |
“机会”创空间 | 3,500 | 가오신구 (高新区) | 가오신구관리위원회 (高新区管委会) | 생산력촉진센터 (生产力促进中心) |
湖大科技园 | 60,000 | 가오신구 高新区) | 가오신구관리위원회 (高新区管委会) | 후난대학 과학기술원 (湖大科技园) |
蓝月谷众创空间 | 15,000 | 닝샹구 (宁乡区) | 닝샹구관리위원회 (宁乡经开区管委会) | 닝샹구창업서비스센터 (宁乡区创业服务中心) |
绿野香田双创示范基地 | 8,000 | 왕청구 (望城区) | 왕청구정부 (望城区政府) | 뤼예샹티엔농업유한공사 (绿野香田农业有限公司) |
金桥国际未来城众创空间 | 24,000 | 왕청구 (望城区) | 왕청구정부 (望城区政府) | 진치아오유한공사 (金桥有限公司) |
주: 상장신구 내 총 30개 창업 카페 중 대표적인 10곳임.
□ 시사점
ㅇ 후난성 정부의 적극적인 외국인 창업 유치 의지와 기업들의 적극적인 투자로 향후 후난 샹장신구 내 창업 열풍이 일어날 것으로 예상됨.
ㅇ 특히 후난성 핵심 신흥산업(세부정책 계획 부분 표 참조) 관련 국내 기술 보유 업체는 후난성 정부의 외국인 창업 지원 정책을 활용해, 선점을 위한 적극적인 진출 전략이 필요할 것으로 보임.
ㅇ 샹장신구 내 청년 창업(대학생, 대학원생) 또한 적극 장려하는 것으로 보아 대학, 연구소 등 교육기관 차원의 관심도 필요할 것으로 보임.
자료원: 창사완바오(长沙晚报), 후난성 인민정부(湖南省人民政府),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 후난성 경제·정보화 위원회(湖南省经济和信息化委员会) 및 KOTRA 창사 무역관 자료 종합
'글로벌 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네덜란드 국가아이콘_3] 핵폐기물 없는 의료방사성 원소 생산 'Lighthouse' (0) | 2016.12.08 |
---|---|
트럼프 당선 이후 이란 핵 협상 관련 동향 (0) | 2016.12.08 |
요르단 건설장비시장 전망 (0) | 2016.12.07 |
2016 전남 요르단 사절단 현장 스케치 (0) | 2016.12.07 |
현지화·다양화되는 러시아 포장재 시장 (0) | 2016.12.07 |
- 인도네시아
- 독일
- 남아공
- 영국
- 말레이시아
- 브라질
- 캐나다
- 인도
- 홍콩
- 태국
- 칠레
- 리우
- 러시아
- 호주
- 일본
- 미국
- 이란
- 스페인
- 삼성전자
- 프랑스
- 코로나
- 자동차
- 이스라엘
- 네델란드
- 브렉시트
- 미얀마
- 터키
- 중국
- 베트남
- 화장품
- 리우올림픽
- 전시회
- 올림픽
- 콜롬비아
- 필리핀
- 에콰도르
- 멕시코
- 이집트
- 싱가포르
- 삼성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