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 터키 농기계시장, 유럽 표준규격에 부합하는 고품질·고성능 요구 -
- 세계 7위 농업대국으로 농기계산업과 시장 적극 육성 -
□ 터키 농기계 시장 현황
ㅇ 터키는 세계 7위 농업 대국이자, 세계에서 4번째로 큰 농기계 시장
- 연구개발(R&D)활성화 및 농업 생산성 향상의 중요성으로 인해 농기계 산업이 꾸준히 성장하고 있음.
- 기후, 토양, 지형조건에 따라 30개로 분화된 다양한 농업 구역이 형성돼 있어, 농사에 최적화된 환경을 가지고 있음.
- 이에 따라, 농기계 제조업자들은 다양한 농사 환경에 활용될 수 있는 농기계들을 생산하고 있으며, 터키 내 소비 및 수출을 적극적으로 주도하고 있음.
· 터키는 유럽 내 유일하게 목화 수확 기계를 자체 생산해 활용함으로써 섬유산업 성장을 견인하고 있음.
터키의 30개 농업구역도
자료원: 터키 농기계협회(TARMAKBIR, The Turkish Association of Agricultual Machinery)
ㅇ EU 규격에 맞춘 고품질·고성능 터키산 농기계
- EU 가입 후보국으로서, 터키 농기계들은 EU 규격에 맞춘 기술, 안전성, 환경기준을 고려해 제작되고 있음.
- 이로 인해 터키의 농기계들은 가격·성능 면에서 높은 경쟁력을 갖추고 있으며, 동시에 전 세계로 수출되고 있음.
- 특히, 소규모 경작지에서도 사용할 수 있는 다양한 크기의 농기계를 생산하며 소비자들의 요구를 충족시키고 있음.
□ 터키산 농기계 대외무역, 생산 현황
ㅇ 터키산 농기계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트랙터(HS Code 8701)는 생산대수가 2015년 중 전년대비 3.5% 증가한 6만6615대로 지속적인 증가세를 보이고 있음.
터키의 연도별 트랙터 생산 현황
연도별 | 트랙터 생산대수(대) |
2013 | 56,407 |
2014 | 64,342 |
2015 | 66,615 |
자료원: the Turkish Association of Agricultural Machinery and Equipment Manufacturers
- 현재 터키 내 약 30개의 기업에서 농기계를 집중적으로 생산하는 것으로 알려짐. 대표적인 기업으로 피아트(Fiat), 뉴홀랜드(New Holland), 매시(Massey)가 있으며 이들은 70%가 넘는 시장점유율을 차지하고 있음.
터키 트랙터 시장의 브랜드별 점유율 현황
자료원: Adana Cukurova University
ㅇ 터키산 트랙터는 주로 인도, 네덜란드, 프랑스, 이탈리아, 벨기에, 독일 등으로 수출되고, 수출규모가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있음.
- 2015년 기준, 터키는 총 1만7533대의 트랙터를 수출했으며 수출액은 약 3억7000만 달러에 달함.
터키의 연도별 트랙터 수출 현황
연도별 | 수출대수(대) | 수출액(백만 달러) |
2013 | 15,372 | 341 |
2014 | 17,739 | 434 |
2015 | 17,533 | 374 |
자료원: the Turkish Association of Agricultural Machinery and Equipment Manufacturers
ㅇ 한편, 터키의 트랙터 수입 또한 활발한 증가를 보임.
터키의 연도별 트랙터 수입 현황
연도별 | 수입대수(대) | 수입액(백만 달러) |
2013 | 11,166 | 244 |
2014 | 13,634 | 277 |
2015 | 20,659 | 397 |
자료원: the Turkish Association of Agricultural Machinery and Equipment Manufacturers
ㅇ 기타 농기계 중 터키 시장에 가장 많이 수입되는 것은 액체 또는 분말살포용 기계로, 2016년 1~9월 중 23%의 활발한 증가를 보임.
- 한편, 터키 리라화의 대미 달러화 환율이 최근 대폭 상승하면서 농기계 품목의 수입이 전반적으로 위축 추세를 보임.
· 터키 리라화 환율(‘15.1.2) 2.3449 → (’16.1.4) 2.9422 → (‘16.11.30) 3.4174
터키의 기타 농기계 수입 현황
기타의 농기계 | HS Code | 수입액(백만 달러) | 전년동기대비 증감률(%) | |
2015 | 2016.1~9 | |||
액체 또는 분말 살포용 기계 | 8424 | 203 | 186 | 23.4 |
농업용·원예용·임업용 기계 | 8432 | 21 | 15 | -10.4 |
수확기나 탈곡기 | 8433 | 188 | 164 | -0.5 |
그밖의 농업용·원예용·임업용 기계 | 8436 | 37 | 21 | -15.3 |
담배 조제 및 제조기 | 8478 | 66 | 17 | -68.7 |
착유기와 낙농기계 | 8434 | 21 | 18 | 49.2 |
트레일러와 세미트레일러 | 8716 | 162 | 112 | -8.9 |
자료원: Global Trade Atlas
□ 터키 농기계 시장 전망과 시사점
ㅇ 터키 정부, 최근 새로운 농업 장려책에 농기계 생산과 운영지원 시책 발표
- 지난 11월 15일, 이을드름(Yildrim) 터키 총리는 농업 육성을 위한 주요 사안들을 발표했으며, 농업 지구별 주요 농작물 (밀, 쌀, 올리브 등) 육성에 집중할 것이라 발표함.
- 농기계 연료로 사용되는 가스료의 절반을 정부가 지원해 농기계의 사용을 촉진함으로써 농기계 산업이 새로운 변화를 맞이할 것으로 보이며, 다양한 농작물 및 환경에 맞춰 농기계가 제작될 것으로 기대
ㅇ 터키의 농업은 국토의 절반 이상을 농경지로 사용하는 명실공히 기간산업으로, 이를 뒷받침하는 농기계 시장과 산업의 중요성은 매우 크다고 볼 수 있음. 이에 따라, 터키의 농기계 시장과 산업이 장기적으로 성장하는 유망 분야로 꼽히고 있음.
자료원: 터키 농기계 협회(http://www.tarmakbir.org/en/), Dailysabah지, 추쿠로바 대학교(http://www.cu.edu.tr/eng/) 및 KOTRA 이스탄불 무역관 자료 종합
'글로벌 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스트리아, 자율주행차 도로시험 주행 허용으로 관련 시장 성장 기대 (0) | 2016.12.07 |
---|---|
日, 확대되고 있는 100엔숍 경제권 (0) | 2016.12.07 |
2016년 알제리 신차시장 최악의 한 해 될 듯 (0) | 2016.12.06 |
중국 액체세제 온라인시장 인기 브랜드는? (0) | 2016.12.06 |
중국 해양레저식품 시장에 주목하라 (0) | 2016.12.06 |
- 콜롬비아
- 인도네시아
- 올림픽
- 전시회
- 브라질
- 화장품
- 미국
- 인도
- 프랑스
- 네델란드
- 말레이시아
- 이집트
- 브렉시트
- 칠레
- 자동차
- 태국
- 리우
- 남아공
- 싱가포르
- 멕시코
- 홍콩
- 영국
- 이스라엘
- 일본
- 필리핀
- 중국
- 터키
- 이란
- 삼성전자
- 코로나
- 호주
- 베트남
- 삼성
- 독일
- 에콰도르
- 러시아
- 스페인
- 미얀마
- 리우올림픽
- 캐나다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