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국토교통부는 고속도로와 국도에 있는 터널에 대해 오는 2019년까지 안전시설 보완을 통해 관리수준을 완전한 단계로 높일 계획이라고 29일 밝혔다.
작년 한해 동안에만 약 650건의 교통사고가 터널내에서 발생, 1600명 가량의 부상자와 30여명의 사망자가 발생했다. 터널은 폐쇄공간이라는 특성상 대형사고로 연결될 수 있어 사고의 예방과 사고 발생 시의 대응이 매우 중요하다.
실제로 지난 1999년 프랑스 몽블랑터널 사고에서 가연성 물질 적재 화물차의 화재가 주변으로 확산돼 39명의 인명 및 시설피해가 발생한 사례도 있었다.
![]() |
터널 방재시설 |
국토교통부는 그동안 터널의 구조물과 방재·조명시설에 대해 지속적으로 시설을 보완·관리 해오고 있으며, 지난 8월 도로터널 방재지침을 개정해 CCTV 설치대상 터널을 1000m에서 500m이상으로 확대했다.
하지만, 보다 철저한 터널 안전관리를 위해 매년 약 650억원씩 2019년까지 약 1900억원을 투입해 안전수준을 획기적으로 개선하겠다는 것이다.
고속도로와 국도 터널 1424개에 터널통합관리망을 구축해 비상시 출동시간을 30분 이내로 단축하고 방재시설과 조명설비를 개선한다. 사고자동감지 능력도 향상시킨다.
우선, 2019년까지 터널 통합관리사무소 25개를 신설(440억원)해 국도터널의 98%에 대해 사고시 30분 이내 출동체제를 구축하며 소방서, 경찰 등과 협력체계를 강화한다.
고속도로의 경우에는 현재 도로공사 지사 및 민자사업자 관리사무소에서 사고발생시 30분내 현장 도착이 가능하다.
밝기 기준에 맞지 않는 터널 조명시설도 개선할 계획이다.
고속도로와 국도에 약 1400억원을 집중 투입해 2012년에 개정된 조명기준에 맞도록 터널 입구부의 조명을 보완해 운전자가 적응하는데 불편함을 없애 터널 내 사고를 예방할 계획이다.
터널사고에 대응하기 위한 방재시설 보완도 조속히 마무리한다.
터널방재지침이 제정된 2004년 이전에 건설된 터널들의 부족한 방재시설에 대해 국도는 2017년에 26억원을 투자하고 고속도로는 2019년까지 54억원을 투자해 시설 보완을 완료할 계획이다.
터널 사고 발생 시 감지능력을 높이기 위한 방안도 마련했다.
현재 터널 내에서 운영중인 사고 발생을 자동으로 감지해 알려주는 시스템을 2017년에 5억원을 투자해 성능을 개선, 자동감지능력을 높일 계획이다. 개선 후에는 사고 발생 시 보다 신속한 대응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국토교통부 최정호 제2차관은 “지속적으로 시설을 개선하고 사고 대응체계를 확립해 국민 모두가 안전하고 쾌적하게 터널을 이용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자료제공 :(www.korea.kr)]
'정책 뉴스 >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하도급거래 관행 전반적으로 개선 (0) | 2016.11.30 |
---|---|
‘능력중심’ 채용 앞장선 공공기관 10곳 선정 (0) | 2016.11.30 |
철도 운전·관제 종사자 분기별 6시간 안전교육 받아야 (0) | 2016.11.29 |
충북 청주에 뉴스테이 2600가구 들어선다 (0) | 2016.11.29 |
항공교통흐름 관리시스템 도입…항공안전 확보 (0) | 2016.11.28 |
- 브라질
- 화장품
- 미국
- 칠레
- 인도
- 말레이시아
- 캐나다
- 삼성
- 필리핀
- 홍콩
- 이스라엘
- 브렉시트
- 리우
- 프랑스
- 독일
- 이집트
- 태국
- 이란
- 싱가포르
- 일본
- 러시아
- 전시회
- 호주
- 미얀마
- 에콰도르
- 인도네시아
- 터키
- 스페인
- 영국
- 코로나
- 중국
- 멕시코
- 남아공
- 자동차
- 리우올림픽
- 올림픽
- 콜롬비아
- 베트남
- 삼성전자
- 네델란드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