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2014년 국내 온실가스 배출량이 6억 9000만톤으로 전년보다 0.8%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에너지 연소 내 발전 부문의 배출량이 2013년 대비 1300만 톤이나 줄어들어 국가 총 배출량 감소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조사됐다.
산업통상자원부는 2014년 국내 온실가스 배출량은 전년보다 590만 톤 감소한 6억 9000만 톤으로 집계됐다고 28일 밝혔다. 지난 1998년 이후 처음으로 감소한 것이다.
발전부문 배출량이 줄어든 이유는 화력발전이 줄고 온실가스 배출이 없거나 적은 원자력과 집단에너지 발전이 늘었기 때문이라고 산업부는 설명했다.
◇ 분야별 배출 현황
![]() |
(단위: 백만톤) / ‘에너지 연소’ 분야는 발전, 지역난방(열), 제조업, 수송, 건물(상업, 가정), 탈루 등을 포함 |
원자력 발전은 온실가스 배출이 없는 발전원으로, 2013년 가동되지 않았던 신고리 1·2호기 등이 2014년 가동돼 발전량이 2013년 대비 12.7% 증가(1만7623GWh↑)한데 따른 것이다.
집단에너지 발전은 석탄화력에 비해 온실가스 배출이 적은 발전원으로 2014년 중 공급 지역이 확대돼 발전량이 37.8% 증가(9231GWh↑)하면서 온실가스 감축에 간접적으로 기여했다.
화력발전은 2013년보다 6.9%, 석유·액화천연가스(LNG) 화력발전량은 58% 감소했다.
2014년 중 산업공정에서 배출된 온실가스량은 5400만톤으로 전년보다 5.0% 늘었다.
시멘트 클링커와 석회 생산에 따른 배출량은 2700만톤, 반도체·디스플레이 공정 가스 소비에 따른 배출량은 970만톤, 냉매 사용에 따른 배출량은 810만톤, 석회석 소비에 따른 배출량은 530만톤으로 각각 집계됐다.
문의 : 산업통상자원부 온실가스감축팀 044-203-5370
[자료제공 :(www.korea.kr)]
'정책 뉴스 >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충북 청주에 뉴스테이 2600가구 들어선다 (0) | 2016.11.29 |
---|---|
항공교통흐름 관리시스템 도입…항공안전 확보 (0) | 2016.11.28 |
블랙프라이데이 ‘대박과 쪽박’ 사이 (0) | 2016.11.28 |
서민금융 상품 바꿔드림론 (0) | 2016.11.27 |
유아·성장·임신기 꼭 필요한 엽산, 김치로 해결 (0) | 2016.11.23 |
- 미국
- 호주
- 미얀마
- 올림픽
- 네델란드
- 이스라엘
- 필리핀
- 캐나다
- 프랑스
- 브렉시트
- 인도
- 전시회
- 삼성전자
- 화장품
- 홍콩
- 스페인
- 브라질
- 일본
- 러시아
- 삼성
- 독일
- 리우
- 싱가포르
- 코로나
- 말레이시아
- 터키
- 에콰도르
- 영국
- 칠레
- 콜롬비아
- 멕시코
- 자동차
- 태국
- 베트남
- 리우올림픽
- 이란
- 남아공
- 중국
- 인도네시아
- 이집트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