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모로코, 냉간압연강판 및 도금강철판에 반덤핑 관세 예정대로 20% 부과
- 유럽, 미국, 일본, 터키, 인도가 주요 부과 대상 -
- 2018년까지 매년 2%씩 감소된 관세 부과 예정 -
□ 모로코 반덤핑 관련 규정
○ 모로코 반덤핑제도는 세계무역기구 무역보호규정 15-09의 13항∼39항에 근거해 조사 및 결정
○ 모로코 반덤핑 관세는 모로코 상공부 및 재무부에서 담당
○ 모로코 반덤핑 관세 부과 결정 진행 방식은 아래와 같음.
- 모로코 국내 업체의 제소 → 모로코 상공부의 덤핑 여부 조사 진행 → 조사 결과 덤핑 판정 시 모로코 상공부가 모로코 재무부에 요청해 반덤핑 관세 부과
□ 냉간압연강판 및 도금강철판 반덤핑 관세 부과 전개 요약
○ 2014년 6월 11일, 모로코 대표 철·강철 생산업체 Maghreb Steel의 제소로 유럽 및 아시아산 냉간압연강판 및 도금강철판 수입품의 덤핑 여부 조사 착수
○ Maghreb Steel는 2014년 기준, 최근 3년간 약 120억 디르함의 손실 발생 주장. 이 중, 2013년 1년간 판매 손실이 약 6억 디르함 상승. 반면 2013년 총매상고는 28억의 손실 기록
○ 모로코 상공부의 조사 결과, 2011년 대비 2012년 냉간압연강판의 수입은 100%, 2012년 대비 2013년 수입은 89% 증가했으며, 도금강철판은 2011년 대비 2012년 수입이 77% 상승
○ 2014년 1~2월 냉간압연강판 및 도금강철판의 총수입량은 2만8146톤으로, 2013년 동기대비 62% 증가
○ 모로코 상공부에서 조사 결과를 근거로 덤핑 판정. 모로코 재무부에서 반덤핑 관세 시행을 2015년 9월 7일 발표했으며, 해당 관세 부과 조치는 2018년 12월까지 시행될 예정
□ 해당 대상 품목 및 국가, 반덤핑관세 부과 일정
○ 해당 대상 품목
품목 | HS Code(모로코 기준) |
냉간압연강판 | 7209, 7211, 7225, 7226(7211.13, 7211.14, 7211.19는 제외) |
도금강철판 | 7210, 7212, 7225, 7226 (7210.11, 7210.12, 7210.90.21.00, 7210.90.22.00, 7210.90.23.00, 7212.10은 제외) |
○ 해당 대상 국가
- 유럽: 독일, 벨기에, 스페인, 헝가리, 이탈리아, 네덜란드, 영국, 러시아, 스위스
- 기타: 미국, 인도, 일본, 터키
○ 해당 모로코 수입업체: Batifer, Casa Profil, Comaprom, Gilmarfer, Hachani, Manar, Maroc Fer, Ocid Metal Longofer, Socodam Davum, Sofafer, Somachame, Toufer, Tube & Profil et Etaf
○ 반덤핑 관세 부과 일정
- 1년 간격으로 반덤핑 세율을 축소해 2019년부터 해당 관세 0%로 전환
- 2015년 9월에 발표된 반덤핑 세율, 2016년 6월 기준 현재 변동 없이 유지
(단위: %)
기간 | 반덤핑 세율 |
2015년 12월 31일까지 | 22 |
2016년 1월 1일∼12월 31일 | 20 |
2017년 1월 1일∼12월 31일 | 18 |
2018년 1월 1일∼12월 31일 | 16 |
2019년 1월 1일부터 | 0 |
□ 모로코 철강 및 반덤핑 관세 해당 제품 수입 동향
○ 2010∼2014년 모로코 철강 제품 수입 추이
(단위: ㎏)
연도 | 2010 | 2011 | 2012 | 2013 | 2014 |
수입량 | 2,235,896,579 | 2,665,560,603 | 2,349,138,025 | 2,572,820,981 | 2,351,150,855 |
자료원: 모로코 외환청
○ 2014년 모로코 철강 수입은 냉간압연강판 및 도금강철판 수입 관련 반덤핑 관세 조사 공지 및 발표에 영향을 받아, 2013년 대비 약 2억㎏ 감소. 반면, 2015년 강철 제품 수입은 2014년 8월 확정된 열간압연강판 대상 반덤핑 관세에도 불구하고 30억2607만6309㎏으로 증가
○ 모로코 상공부의 통계에 따르면, 냉간압연강판 제품의 총수입 비율은 2010∼2013년 사이 65% 증가. 도금강철판의 경우 2012년 대비 2013년 수입이 1% 감소했으나, 2011년 대비 2012년 수입이 77% 상승했으며, 2014년 상반기 이후 2013년 동기대비 113%의 증가율을 기록하며 증가세 지속
□ 시사점
○ 최근 모로코 철강 관련 제품의 해외 수입이 증가함에 따라, 모로코 정부가 모로코 국내 기업의 보호를 위해 철강 관련 제품에 대한 반덤핑 관세 부과를 적극적으로 고려
○ 대모로코 수출이 이루어지는 철강 관련 제품은 주로 유럽 및 터키산으로, 기존에 비관세·저관세 혜택을 받아 모로코 시장에서 가격경쟁력이 뛰어난 제품들이었음. 해당 제품들에 대한 반덤핑 관세 부과로 기존에 관세 관련 혜택을 받지 못한 국가들의 제품에 모로코 진출 기회 확대 예상
2010∼2014년 대모로코 한국 철강제품 수출 추이
(단위: ㎏)
연도 | 2010 | 2011 | 2012 | 2013 | 2014 |
수출량 | 1,199,223 | 82,735 | 226,378 | 42,132 | 239,599 |
○ 한국 철강제품의 경우 대모로코 수출에서 2010년 이후 꾸준히 하락세를 유지. 반면 열간압연강판, 냉간압연강판, 도금강철판 등에 대한 반덤핑 관세 부과가 활성화되면서 2015년 124만9108㎏으로 수출 증가 추세
○ 모로코 시장은 제품의 품질뿐만 아니라 가격에 민감하게 반응하므로, 반덤핑 관세가 부과되는 기간 동안 경쟁력 있는 가격 제시를 통한 모로코 시장 진출 확대 고려 가능
자료원: KOTRA 카사블랑카 무역관 자료 종합, 모로코 외환청
'글로벌 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네덜란드가 그려보는 가상현실(Virtual Reality) 미래 (0) | 2016.11.28 |
---|---|
中 사이버보안법 시행 예정, 인터넷 단속 강화된다 (0) | 2016.11.28 |
중국 크로스보더 전자상거래 수입통관 전용 통합 플랫폼 등장 (0) | 2016.11.27 |
고공 행진하는 한국 화장품, 내년부터 캐나다서 무관세 (0) | 2016.11.27 |
이탈리아인의 입맛을 사로잡은 에스닉푸드 (0) | 2016.11.23 |
- 영국
- 싱가포르
- 호주
- 미얀마
- 브렉시트
- 콜롬비아
- 삼성
- 칠레
- 자동차
- 남아공
- 캐나다
- 코로나
- 리우
- 독일
- 에콰도르
- 홍콩
- 이집트
- 인도
- 멕시코
- 태국
- 중국
- 브라질
- 스페인
- 말레이시아
- 일본
- 올림픽
- 터키
- 인도네시아
- 프랑스
- 전시회
- 삼성전자
- 화장품
- 필리핀
- 러시아
- 미국
- 이스라엘
- 베트남
- 리우올림픽
- 이란
- 네델란드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