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정부가 콘텐츠산업 전체 수출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게임산업의 생태계 조성에 나선다.
문화체육관광부는 수출 주력 산업이자 한류 콘텐츠의 핵심인 게임산업의 활성화를 위해 지난 상반기부터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게임산업의 규제를 개선하는 노력을 하반기에도 이어나간다고 24일 밝혔다.
문체부는 지난 5월 게임물 ‘자체등급분류제’ 도입을 주요 내용으로 개정된 게임산업 진흥에 관한 법률의 내년 1월 1일 시행을 앞두고 새로운 제도의 운영을 위해 필요한 세부사항을 담은 같은 법 시행령 및 시행규칙 개정안에 대한 입법예고를 12월 5일까지 실시하고 국민들의 의견을 수렴한다.
게임물 ‘자체등급분류제’는 기존의 ‘사전등급분류제’가 VR과 스마트 텔레비전(TV) 등 새로운 기술과 플랫폼의 등장, 플랫폼 간 융합과 같은 급변하는 게임산업 환경을 적시에 뒷받침하지 못한다는 제도적 한계를 해소하기 위해 지난 5월 게임산업법의 개정을 통해 도입이 결정됐다.
게임물 ‘자체등급분류제’는 창의적인 게임산업 생태계 조성을 위해 게임물에 대한 정부의 사전심의를 시장의 자율심의로 전환하는 과감한 규제개혁 조치로서 큰 의미가 있다고 문체부는 설명했다.
이번 입법예고를 실시하는 게임산업법 시행령 및 시행규칙 개정안의 주요 내용은 게임물 자체등급분류사업자의 지정요건과 지정절차 등 상위법으로부터 위임된 사항이다.
구체적으로는 ▲자제등급분류사업자 지정·재지정 절차 ▲자체등급분류사업자 매출액 요건 ▲자체등급분류사업자 전담인력 요건 ▲자체등급분류사업자 외부전문가 요건 ▲자체등급분류사업자 온라인 업무처리 시스템 요건 ▲자체등급분류사업자에 대한 교육과 평가에 관한 세부사항 등이다.
문체부는 ‘사전규제’에서 ‘사후관리’로 규제 패러다임의 전환, 기업의 창의성이 최대한 발휘될 수 있는 산업 환경 조성이라는 법률의 개정 취지를 적극 살리기 위해 자체등급분류사업자의 최소 연간 매출액 기준을 1천만 원으로 규정하는 등 외형적 요건은 최소화한다.
이를 통해 자체등급분류사업자의 진입장벽을 낮추고 국내 게임산업에 새로운 혁신 기업이 출현할 수 있는 경쟁적 시장 환경을 만들어 나간다는 계획이다.
다만 기업의 자율 등급심의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부적정 등급분류 게임물의 유통을 방지하기 위해 자체등급분류사업자에게 인력, 전산 시스템 등 투명한 등급분류 업무 처리 시스템을 갖추도록 한다. 문체부는 주기적인 교육과 평가를 통해 부적격 자체등급분류사업자는 지정을 취소하는 등 건전한 게임물 유통질서를 철저히 확립해 나갈 방침이다.
아울러 게임산업의 미래 먹거리 콘텐츠로 떠오르는 VR 게임 산업의 활성화를 가로막는 각종 규제를 발굴·개선할 계획이다.
현행 법령상 ‘도심 속 소형 테마파크(기타유원시설)’에는 가상현실 시뮬레이터의 설치가 불가능한 부분을 개선한다.
문체부는 소규모 가상현실 시뮬레이터를 대형 유기기구와 분리하고 합당한 합리적인 안전규제를 적용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관련 사업자의 부담을 경감하고 기타 유원시설에도 설치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현재 관련 법령 개정안은 입법예고 중이다. 입법예고 기간 중 수렴된 의견을 종합적으로 검토해 연내 조치를 완료할 계획이다.
가상현실 시뮬레이터 게임기 등급 심의, 가상현실 시뮬레이터 게임기 결제 수단 등 가상현실 게임산업 활성화를 위한 규제 개선 과제 발굴을 위해서 산업 현장의 애로사항을 적극 수렴하고 합리적 개선방안을 마련해 나갈 계획이다. 현장 의견수렴 간담회는 오는 27일에 개최될 예정이다.
문의 : 문화체육관광부 게임콘텐츠산업과 044-203-2442
[자료제공 :(www.korea.kr)]
'정책 뉴스 > 문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문체부 “모든 의혹 털고 투명하게 재출발하겠다” (0) | 2016.10.31 |
---|---|
태진아·김지미 등 6인 문화훈장 받는다 (0) | 2016.10.25 |
폴란드 한국문화원, 바르샤바 한국영화제 개최 (0) | 2016.10.24 |
낭만이 있는 가을 캠핑 (0) | 2016.10.21 |
더 나은 미래를 꿈꾸다…‘실학 한마당’ 행사 (0) | 2016.10.20 |
- 삼성전자
- 이스라엘
- 전시회
- 스페인
- 자동차
- 말레이시아
- 터키
- 리우올림픽
- 싱가포르
- 호주
- 남아공
- 이집트
- 미국
- 멕시코
- 인도
- 화장품
- 에콰도르
- 코로나
- 프랑스
- 브라질
- 일본
- 삼성
- 영국
- 러시아
- 중국
- 브렉시트
- 캐나다
- 리우
- 이란
- 베트남
- 태국
- 칠레
- 독일
- 콜롬비아
- 홍콩
- 네델란드
- 미얀마
- 올림픽
- 필리핀
- 인도네시아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